[제주포럼] 제주-북한 연결 크루즈 개설 위한 특별세션…3단계 추진전략 제시

1.jpg
▲ 22일 열린 '북한 연계 동북아 평화크루즈의 실현과 과제' 특별 세션. ⓒ제주의소리
제주도가 구상하고 있는 북한연계 동북아 평화크루즈가 실현되려면 5.24조치 이후 얼어붙은 남북관계가 먼저 개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10회 제주포럼 마지막 날인 22일 열린 ‘북한 연계 동북아 평화크루즈의 실현과 과제’를 주제로 한 특별 세션에서는 크루즈를 통한 남북교류 및 동북아 평화정착을 위해 북한전문가와 크루즈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댔다.

첫 주제발표에 나선 김의근 제주국제대 교수는 “동북아 크루즈 라인에서 북한만 제외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크루즈로 북한을 연결할 수 있다면 동북아 긴장완화는 물론 북한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연계 동북아평화 크루즈 구상은 지난해 열린 제2회 제주국제크루즈포럼에서 원희룡 지사가 공식 제안했다. 당시 원 지사는 “북한으로 가는 크루즈에는 설렘, 사랑, 낭만뿐 아니라 평화의 메시지까지 함께 승선하게 될 것”이라며 평화크루즈 구상을 밝혔다.

성사될 경우 남북교류 및 동북아 평화의 물꼬를 트고, 동북아 크루즈관광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의근 교수는 북한 연계 평화크루즈 실현 방안으로 3단계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1단계 중국인 관광객이 탑승한 외국 크루즈 선사의 북한 기항, 2단계 한국인 관광객이 승선한 외국 크루즈 선사의 북한 기항, 3단계 한국인 관광객이 승선한 한국 국적 크루즈의 북한 기항 순으로 단계를 밟아가는 방안이다.

김 교수는 “1단계 크루즈 라인 개설만으로도 서해 NLL 긴장 완화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예상된다”며 “북한 입장에서도 금강산 관광 사례에서 봤듯 막대한 관광수입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교수는 특히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감귤 북한보내기 운동이 재개되면 이에 대한 보답으로 제주도민이 항공기를 이용해 북한에 초청됐듯 항공기 대신 크루즈를 이용해 북한을 방문하는 것으로 첫 물꼬를 트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구체적인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2.jpg
▲ 22일 열린 '북한 연계 동북아 평화크루즈의 실현과 과제' 특별 세션. ⓒ제주의소리
심상진 경기대학교 교수는 ‘북한 연계 동북아 평화 크루즈 실현을 위한 과제와 전망’을 통해 “상당히 좋은 구상이지만 크루즈 1척 당 1년에 300억~400억씩 발생하는 적자 폭을 감당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크루즈 사업이 실패한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정부의 정책자금 확보라는 선결 과제가 해결돼야 가능성이 있다고도 했다.

심 교수는 제주-북한 관계에 대해서는 “제주는 남북교차관광을 실시한 유일한 지방자치단체이자, 98년 이후 감귤·당근 지원으로 북한도 제주도에 대해 고마움을 가지고 있다”며 “제주도는 정치적인 부분이 아닌 관광으로 관계 개선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 교수는 “‘백두에서 한라로’라는 말은 한반도, 한민족의 상징이 됐고, 제주도는 대북협상 실무경험과 협상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세계평화의 섬으로서 평화크루즈의 출발항이라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정치적으로 가능한 환경인가”, “제주도 차원에서 북한연계 동북아 평화크루즈를 실현하려는 의지는 충분한가”, “도민, 도의회, 도민사회의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구상이 실현되기까지는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승신 통일부 남북경협과장은 “뜻 깊은 논의다”고 전제한 뒤 “북한으로 취항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끊긴 대화가 시작돼야 한다”며 “대화가 시작되기 전에는 크루즈 개설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과장은 또 “북한에 크루즈가 입항하려면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 북한의 항만 인프라는 열악한 상황”이라며 “사업이 단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박인효 외교부 대북정책협력과 사무관은 “기존 개성공단 등 경협사업 추진되고 있지만 크루즈는 새로운 경협모델이라는 의미가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박 사무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것은 남북관계의 진전이라고 본다”며 역시 5.24조치 이후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이 사업 추진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김영윤 남북물류포럼 회장은 “북한의 입장에서 크루즈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관광객을 받아들이는데 대해 경제적으로 이득이 된다면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또 “대북관계에 있어 지방자치단체, 민간 차원의 교류에 정부가 너무 관여하지 말아야 한다”며 “지자체가 자율성을 가지고 추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스타크루즈 Tim Wang 매니저는 “제주도가 구상하고 있는 북한 연계 동북아 크루즈가 출항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항만 인프라 등 타당성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또 현지에서의 도로, 숙박시설, 관광지, 수송문제 등까지 전부 파악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크루즈는 대부분 가족과의 여행이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문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안전문제를 위협요인으로 꼽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