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6년 구성된 이후 매년 <아시아협력프로젝트>를 추진해오고 있는 제주평화봉사단(단장 강상철)이 올 여름엔 ‘대초원의 나라 몽골’을 찾아 봉사활동을 펼쳤다. 지난 8월22일부터 30일까지 몽골 중하라 지역에서다. 이번 구성된 제9기 봉사단은 도민 공모를 거쳐 25명이 선발됐고 대학생 6명을 포함해 자연치유팀, 환경개선팀, 문화교류팀, 실무팀으로 구성됐다. 지난 7월초 확정된 단원들은 6회에 걸쳐 사전교육과 팀별 주 1회 이상 준비와 연습 시간을 가졌다. 제9기 제주평화봉사단이 초원의 나라 몽골에서 펼친 봉사와 칭키스칸의 땅 몽골 이야기를 총 10회에 걸쳐 차례로 나눠 싣는다. [편집자] 

[양영길 시인이 본 몽골](2) 대초원의 나라…길이 없는데 길을 간다 

#길1.jpg
▲ 몽골의 대초원은 끝이 없다. 가도 가도 차찬 너머엔 초원이다. 길이 아닌 길을 따라 가는 길, 그 길을 가고 있다.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제주평화봉사단 제9기 아시아협력 프로젝트의 주제는 ‘만달시와 제주시, 하나 되는 평화캠프!’였다. 8월 22일 밤 울란바토르로 가는 비행기에는 우리 단원 이외에 한국 사람들도 많았지만 대만 적십자봉사단 유니폼을 입은 사람들도 있었고 몽골 사람들도 많은 것 같았다. 

내 옆자리 승객은 몽골인이었다. 인천에서 5년 동안 가야금 공부를 하고 돌아가는 길이라고 했다. 이름을 ‘바상구’라고 소개한 그녀는 귀국해서 울란바토르 예술대학에서 전통음악을 가르칠 거라고 했다. 몽골에도 전통 악기가 있는데 한국의 해금 비슷한 2줄 현악기 모린후르가 있다고 했다. 말가죽을 붙이거나 머리 장식을 한 것도 있어 한국에서는 마두금으로 알려져 있다고 했다. 

만달시 중하라에 머물면서 봉사활동을 할 거라고 했더니, 교통편이 불편해서 울란바토르에서 꽤 먼 곳이라는 이야기와 야채 생각이 간절할 거라고 이야기해 주었다. 몽골은 인구 증가의 둔화, 저성장, 도시집중화, 일자리 구하기 어려움 등으로 젊은이들이 이웃나라로 나가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걱정했다. 
#도심외곽3.jpg
▲ ▲시내 중심가를 벗어나자 높지 않은 산과 초원이 가까이 다가오고 산 중턱까지 집들이 즐비하게 서 있었다.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길3.jpg
▲ 초원 위에 물줄기 처럼 나있는 길. 시작도 끝도 어딘지 가늠이 되질 않는다. 초원 위에서 휴식을 취하는 차량이 눈에 띈다.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또 연간 강수량이 200mm 정도라면서 사막화도 빨라지고 있는 이야기, 기후 변화로 겨울이 한 달 정도 짧아지고 있어 삶의 방식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려주었다. 학교는 9월 1일부터 시작되는데, 입학식 준비 일정에 맞춰 서둘러 귀국하게 되었다고 했다. 

8월 23일. 아침 식사는 현지 빵으로 간단한 식사를 하고 어제 숙소로 이동했던 버스 편으로 만달시 중하라로 향했다. 울란바토르에서 중하라까지는 300킬로미터. 도로 사정이 안 좋아 5시간 이상 걸릴 거라는 이야기를 들으며 출발했다. 시내 중심가를 벗어나자 높지 않은 산과 초원이 가까이 다가오고 산 중턱까지 집들이 즐비하게 서 있었다. 산허리마다 전기를 송전하는 철탑이 있었으며 초원의 끝에는 제주의 오름같은 봉우리들이 즐비하게 낮은 자세로 있었다. 울란바토르를 벗어나자 허허벌판에 게르 한두 채와 SUV 차량, 풀을 뜯는 소와 말들이 떼를 이루고 있었다. 

휴게소에 들러 볼 일을 보는데, 농기계를 수리하고 있는 농부가 있었다. 목초를 묶는 기계인 것 같은데,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기계였다. 날씨는 더웠으나 건조하여 그늘에만 가면 더운 줄을 몰랐다. 하늘은 눈부시게 푸르렀다. 조금 더 달려 점심을 먹기 위해 호수가 있는 길가 쪽에 차를 세우고 물 가까이에 다가갔다. ‘작은 바이칼 호수’라고 누군가 이야기해 주었다. 한국식 배달 도시락으로 점심을 먹었는데 아주 푸짐했다. 
#호수.jpg
▲ 만달시 중하라로 가는 길에 우연히 마주친 호수 풍경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게르1.jpg
▲ 만달시 중하라로 가는 도중 차창 밖에 보이는 유목민들의 이동식 주거지 '게르'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단원들은 오랜만에 물 구경하듯 호숫가에서 탄성을 지르기도 했다. 우리 자연치유팀에서는 그 동안 연습한 ‘단지기공’을 시연하면서 단원들을 즐겁게 했다. 햇빛이 너무 강해서 카메라가 역광을 이겨내기에 버거워 카메라에 선글라스를 씌우고 사진의 깊이를 더 해보려 했지만 눈으로 보는 것과 카메라 파인더로 보는 프레임의 차이만 실감해야 했다. 그러나 카메라에 잡힌 하늘에는 햇빛과 구름이 마술을 부리고 있었다. 

초원은 끝이 없었다. 가도 가도 차창 너머에는 초원밖에 보이지 않았다. 초원에는 언덕 너머를 향하여 차들이 지나간 자욱이 강줄기 그리듯 그려져 있었다. 멀리 언덕을 넘을 때쯤 ‘어워’가 보이기도 하고 가축들이 길을 가로막는 일들도 있었지만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은 계속되는 비슷함 때문인지 지루하고 졸렸다. 단원들은 점심 후라 거의 잠들었는데, 나는 ‘길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랄 것도 없는 것에 멍 때리고 있었다. 
#가축1.jpg
▲ 차창 밖에 펼쳐진 초원의 풍경. 방목 중인 가축들이 몽골의 대초원에서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다.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양생화3.jpg
▲ 초원위 야생화가 하염없이 낮은 자세로 끝 모르게 피어 짧은 여름의 끝자락을 누리고 있다. / 사진=양영길 ⓒ제주의소리
얼마를 더 가서 길이 아닌 초원으로 진입하여 가게 되었다. 흙먼지가 좀 날리긴 했지만 다른 차들이 달렸던 길과 그 길을 피해서 옆으로 가는 길을 달리는데, 길이 아닌 길을 가는 기분은 좀 묘했다. 길을 새로 내면서 가는 것처럼 느껴졌다. 드넓은 초원에 우리가 가는 길이 곧 길이 된다는 기분이란, 좀 두렵기도 하고 호기심에 두리번거리기도 했다. 아무데든 가기 편한 길로 가면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언덕을 오르내릴 때는 위험한 고비를 많이 넘기기도 하였다. 한 번에 가지 못
양영길200.jpg
▲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하고 두세 번 만에 겨우 지나는 경우도 있었는데, 조마조마하면서 마음 졸였던 순간을 한호와 박수로 격려하기도 했다. 

가끔 차에서 내려 쉴 때면, 야생화가 하염없이 낮은 자세로 끝 모르게 피어 짧은 여름의 끝자락을 누리고 있는 걸 보느라 정신이 없었다. 밀밭도 있었는데, 키가 아주 작고 잡초가 많았으나 그 넓이는 제주 사람으로서는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넓고 넓었다. 

오전 10시에 출발했는데, 오후 2시가 넘어서야 중하라가 보인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우리는 1시간 반을 더 달려 3시 30분이 돼서야 만달시 중하라에 도착했다. 300킬로미터의 거리를 5시간 반 동안 달려온 셈이다. 


시(詩)

길이 없는데 길을 간다
           시인 양영길

초원의 나라에는 길이 없다 
내가 가는 길이 곧 길이다
여러 사람이 다녀 좀 길이 되었다 싶어도
긴 긴 겨울 지나고 나면 
계절 바뀌듯 
길은 있다가도 없어지고 만다 

길이 없음으로 길을 잃지는 않는다 
가끔 방향을 잃으면 
들판의 향기를 찾거나 
잘 불지도 않는 바람의 냄새를 맡거나 
잠시 어두울 때를 기다려
머리 위에 별빛 잔치가 벌어지면
별자리 찾듯 별빛 폭포 속을 가면 
또 길이 된다 

초원의 나라 사람들에게는 
막다른 골목이라느니
길이 끊겨 더 이상 갈 수 없다는 
그런 말은 없다 
그러나 밤길은 가지 않는 게 
초원의 법칙이다 

생각의 길도 그런 것 같다
급할 것도 없고 막힐 것도 없다 
좀 부대끼면 조금만 돌아서 가면 또 길이 된다
초원의 나라 사람들은 
언덕 너머가 궁금하면 
길을 낸다 
그리고 또 길을 간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