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 “아시아의 번영, 고등교육 덕이지만...이젠 바꿔야”

aaa.jpg
▲ 제11회 제주포럼 둘째 날인 26일 제주대 주관으로 열린 '아시아의 새로운 질서와 대학' 세션. ⓒ 제주의소리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 대학들이 정부로부터 강한 압박을 받으면서 학문과 연구의 자유를 제한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시아 공동체’를 지향점으로 대학의 사명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제11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둘째 날인 26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시아의 새로운 질서와 대학’ 세션에서 나온 논의들이다. 제주대 주관으로 진행된 이 세션에서 참석자들은 ‘아시아의 새로운 질서’를 키워드로 대학의 시대적 사명과 과제를 모색했다.

핵심은 강한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아시아권 대학들이 지닌 한계였다.

오카가키 토모코 일본 도쿄대 교수는 “오늘날 아시아의 번영은 고등교육이 기인한 바가 크다”고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는 동시에 “아시아 고등교육의 공통점은 연구나 교육에서 실용주의에 치중하는 데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는 아시아 대학들이 국가발전, 사회기여라는 임무가 있었던 데 기반한다”며 “아시아의 많은 대학들은 혼란스런 시기에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또 “아시아 대학의 연구 과제는 국가발전에 많이 치중돼 있는 등 고등교육 형성 과정에 국가의 개입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비정부기구 ‘프리덤하우스’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인 자유도에서 아시아의 성과는 좋지 않았다”며 “근원적으로는 이론적인 개발과 연구가 이뤄져야 하는데 실용성을 유지하라는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고 아시아 대학들의 현주소를 조명했다.

대학에서 자유가 제한되고 있다는 분석은 그만의 생각이 아니었다.

레이프 에릭 이슬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아시아의 정부는 대학의 자유로운 생각을 존중해줘야 한다”며 “가끔 너무 애국주의적인 교육사상을 주입시키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학생들이 균형 잡힌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사회에서 대학을 엘리트 양성 차원에서 바라보는 기존 패러다임을 바꿔야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민호 제주대 교수는 “한국에서는 고등학생 대부분이 대학에 진학하는 상황”이라며 “대학교육을 엘리트 지도자 양성이 아닌 대중 시민교육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이번 포럼에서 줄곧 화두가 되어온 ‘아시아 공동체 형성’과도 밀접하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아시아 공동체 형성 과정에서 엘리트 양성 대학만을 중심으로 접근하면 대중교육의 성격이 강한 다수의 대학을 배제하게 된다”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학의 시민교육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 공동체를 염두에 두고 ‘아시아 시민’의 지위의 동등성을 인정하고, 아시아 이주민들에 대한 차별을 배제해야 한다”며 “이는 아시아 시민들의 지역적 문화적 정체성이 다양함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의미를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국가에 대한 충성만이 아니라 국가의 경계를 넘어 각국 시민들이 상호 연대하고 책임지는 ‘시민적 덕목’을 기르는 일”이라며 “지적·정서적으로 아시아 시민이 되는 것을 넘어 아시아 시민으로서 참여하고 행동할 기회를 갖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