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 21일 오후 제주시 삼도2동 주민센터 2층 회의실에서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 제주문화관광포럼(대표의원 이선화) 주최로 열린 '2017 원도심 문화재생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의 정책간담회. ⓒ제주의소리/제주도의회 제공
7개 행정부서·기관별 제각각 추진…“발주방식, 입찰→사업별 독립·독창성 확립 필요”

2300억원이 투입되는 제주시 도시재생사업이 도-행정시 4개 부서와 3개 출연기관에서 제각각 추진되면서 컨트롤 타워 부재 논란이 일고 있다.

무엇보다 주민들은 ‘기존 도로·지형 활용’ 등 지역의 정체성을 살린 재생사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커뮤니티를 유지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해야 하는 문제가 선결과제로 떠올랐다.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제주문화관광포럼(대표의원 이선화)은 21일 오후 2시 삼도2동 주민센터 2층 회의실에서 ‘2017 원도심 문화재생사업,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김태일 제주대학교 교수(건축학과)는 ‘원도심 재생을 위한 도시공간적 접근’을 위해 주민 162명을 대상으로 거주환경개선 요구를 분석한 결과, 주거환경개선에 있어 가장 우선해야 할 사항으로 기존도로 및 지형 활용을 꼽았다. 이어 △커뮤니티의 지속성과 △지역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이를 “급격한 환경변화를 유발하는 개발보다는 지역의 정체성과 기존의 커뮤니티를 유지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주거형태별 주택개량 수법에 대해서는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거주민의 경우 단독부분 개량과 일부 세대 공동개량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아파트 거주민의 경우는 지구 전면철거 후 중·저층 개발과 단독부분 개량에 대한 응답 높았다.

이는 대규모 개발보다는 소규모 개발 또는 부분 개량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것으로,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는 게 김 교수의 판단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김 교수는 “각 구역 여건별 재정비 방안이 달라야 하고, 각 조건에 맞는 개발계획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도시재생 추진방향에 대해서는 △주민 복지 증대 △에코뮤지엄의 실현과 체류 공간·시간의 연장 △주민·관광객 보행·산책로 확보 △안전성과 접근성 확보 △재래시장과의 보완적 관계 형성 △경관 개선 △역사문화의 가치존중과 보존 등 7대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김 교수는 지역의 매력 포인트를 갖기 위한 핵심공간으로 이전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옛 제주대학교 병원 부지에 쇼핑아웃렛 또는 면세점 유치를 통한 집객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보행자 중심의 도로개선을 위해 노면전차(트램)와 같은 tlosua 교통수단 도입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원도심 재생을 위한 핵심과제로는 △제주읍성 내 역사문화경관 형성을 위한 ‘특별건축구역’ 지정 관리 △핵심광장과 옛길 중심의 공공 공간 기능재편 △교통환경 재편 △옛길을 중심으로 주거와 소공원+문화공간 중심의 정주기능 재편을 제시했다.

문제는 도시 문화재생사업이 도·행정시, 출연기관별로 제각각 진행되면서 자칫 ‘산으로 갈’ 우려가 높다는 점. 사업추진 부서만 제주도 도시재생과, 문화정책과, 세계유산본부, 제주시 문화예술과를 비롯해 제주문화예술재단, 도시재생센터, 영상위원회 등 7개 부서(기관)나 된다. 2308억9600만원이나 되는 사업비가 각 부서·기관별로 흩어져 있어 사업의 우선순위, 통합·조정을 놓고 갈등 소지를 안고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제시된 사업의 우선순위, 각 부서별로 추진될 수밖에 없는 사업들을 누가, 책임 있게 통합·조정하며 진행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라며 “핵심주체는 도시재생센터가 되어 전문가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행정기관의 역할에 대해서는 “제도개선과 예산확보, 지원기능에 중점을 두고 도시계획의 수립과 집행이라는 큰 틀 속에서의 도시재생센터를 지원하는 협의 조직으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사업추진 및 발주방식과 관련해서는 “도시재생센터가 추진하는 사업의 경우 매우 전문적이고 복합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입찰 중심의 발주방식보다는 사업추진 방식에 있어서도 전문성과 독창성이 담보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