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연구소-2.28사건기념기금회, 26일 대만서 공동학술심포지엄 개최

KakaoTalk_20170227_101419298.jpg
▲ 제주4․3연구소와 대만2․28사건기념기금회가 지난 26일 개최한 국제공동학술심포지엄 포스터. 제공=4.3연구소. ⓒ제주의소리
1947년 2월 27일과 같은 해 3월 1일, 1000km 넘게 떨어진 두 도시에서는 끔찍한 핏빛 역사를 알리는 사건이 벌어졌다.

27일 대만 타이페이, 담배 전매국 단속원이 담배를 팔던 좌판 상인 노인을 구타하자 군중이 이를 말리려 했고, 이 과정에서 단속원이 쏜 총에 한 사람이 숨졌다. 이틀 뒤 3월 1일 제주도 관덕정, 기마경찰에 의해 어린아이가 다치자, 흥분한 군중과 무장경찰이 충돌해 민간인 6명이 사망했다. 그 뒤로 두 섬에는 3만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며 지울 수 없는 큰 상처가 새겨졌다. 그리고 70년이 흘렀다. 

한 자리에 모인 제주4.3연구소(이하 연구소), 대만2.28사건기념기금회(이하 기금회)는 너무나 비슷했던 지난 시간을 공유하면서 올바른 역사를 후세에 남기는데 뜻을 모았다.

제주4․3연구소와 대만2․28사건기념기금회는 지난 26일 대만 2․28기념관에서 국제공동학술심포지엄을 열었다. 심포지엄 주제는 ‘제주4․3과 2․28사건’이다. 올해는 2.28이 열린지 70주년을 맞는 해다. 1년 차이로 대만과 제주 두 섬 지역에서 대규모 학살이 벌어진 셈이다. 연구소와 기금회는 지난 2007년 협약을 맺고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심포지엄에서는 두 사건을 비교한 발표가 이어졌다. 주립희 박사(지한문화협회 집행장)는 ‘대만2․28사건과 제주4․3’이란 주제로, 박찬식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학센터장(연구소 이사)이 ‘4․3과 2․28: 제주의식과 대만의식’을 발표했다. 대만 공영방송(PTS)에서도 취재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 http://news.pts.org.tw/article/350714 )

주 박사는 4.3과 2.28 모두 여러 가지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양 쪽 모두 군정 고위층을 외래 인사로 충당했고, 새 식민 정권의 반공이라는 이름 아래 벌어진 대학살이다. 사회 변화적인 시각에서 보면 새 통치 집단의 무능과 부패가 벌어졌고, 물가와 생필품 가격이 폭등했다”며 “사건 발생 이후 대만은 38년 동안 계엄령이 이어졌으며, 제주는 40년 동안 4.3이 금기시 당했다. 동영상 같은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점도 같다”고 꼽았다.

KakaoTalk_20170227_095310962.jpg
▲ 대만에서 열린 국제공동학술심포지엄 모습. 제공=4.3연구소. ⓒ제주의소리

주 박사는 “대만은 1980년대 정치적으로 민주개혁이 일어나면서 1987년 ‘2.28평화일 촉진 위원회’가 정식으로 출범했고, 제주는 4.19혁명과 5.16군사정변 때 진상 조사가 요구됐고 이후 1992년 다랑쉬오름 동굴에서 유체 11기가 발견되면서 사건을 세상에 크게 알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두 사건 모두 독점 권력이 관리들의 부패·실정으로 경제 혼란을 불러왔고, 지역민이 새로운 정부에 대해 실망과 불만이 커지면서 후속 충돌이 야기시켰다”며 “사건 발단이 하루 차이인 2.28은 형이고 4.3은 동생”이라고 비유했다.

박 센터장 역시 “진상규명, 명예회복, 역사청산의 과정도 비슷한 경로를 밟았다”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은 정치 환경에서 4.3과 2.28 모두 현재 진행형인 사안임을 강조했다.

대만은 대륙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경제를 성장시키겠다던 국민당 마잉주(馬英九) 총통의 뒤를 이어, 양안 간 대등한 관계와 대만 독립 노선을 천명한 민진당 차이잉원(蔡英文)이 지난해 총통에 당선됐다. 한국은 2008년과 2013년 연이어 보수적인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했지만, 최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탄핵 심판 결과를 앞두고 있어 보수정권이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이한 상황이다.

박 센터장은 “2.28과 4.3의 해결 과정에 적극적인 집권자의 등장과 새 정권의 태동 가능성에 따라 과연 대만과 제주의 독립, 자치의 의지가 되살아날지 대만인들과 제주인들은 지켜보고 있다”며 “결국 2.28은 대만의 상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중국-대만 문제뿐만 아니라 미묘해지는 동아시아 현실에서 풍운을 불러일으킬 폭발력을 가진 살아있는 현재적 사안"이라고 밝혔다.

특히 "고도의 자치를 지향하는 ‘특별자치도’는 제주, 제주인들에게 4.3과 제주역사에 대한 자치지향적 인식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가능하지 않은 일임도 분명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