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복리 "양돈장 이설 선행하라"며 공사진입로 막아...제주도 “주민대화 계속 하겠다”

'쓰레기 대란'을 해결할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건설을 앞두고 마을주민들이 협약 이행을 먼저 하라며 공사장 출입구를 가로막으면서 결국 착공이 또 연기되는 사태를 맞았다.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마을회는 2일 새벽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공사장 입구에 25t 덤프트럭을 세워 진입로를 막고 오전 8시부터 주민 50여명이 현수막을 들고 항의에 들어갔다. 

시공을 맡은 건설업체 직원들과 공사 중장비가 진입에 실패하자 제주시 공무원과 경찰 50여명까지 투입돼 주민들 설득에 나섰다.
▲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2일 오전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공사 현장 진입로를 가로막고 "양돈장 이설 약속을 선행하라"며 착공에 반발했다. ⓒ제주의소리

김방훈 제주도 정무부지사와 고경실 제주시장, 김양보 환경보전국장, 홍충효 구좌읍장도 현장을 찾아 주민들과 대화에 나섰지만 설득에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들은 2014년 민선5기 제주도정과 맺은 협약서를 내세우며 협의내용 선행을 주문하고 있다. 당시 협약서에는 우근민 전 도지사와 김상오 전 제주시장이 서명했다.

3.jpg
▲ 이날 동복리 주민 60여명은 오전 8시부터 공사현장 진입로에 나와 공사현장 차량들의 진입을 막았다. ⓒ제주의소리
8.jpg
▲ 이날 현장에는 고경실 제주시장(사진 오른쪽) 등 관계공무원들이 다수 나와 마을주민들을 설득했지만 완강한 주민반대에 부딪혀 착공이 또 연기됐다. ⓒ제주의소리
7.jpg
협약서에서 양측은 동복리에 위치한 A양돈장 등 악취 유발시설의 이설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 주민들은 착공 전 양돈장 이전, 제주도는 착공후 점진적 이행을 주장하고 있다.

동복리마을회는 이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 2월28일 마을임시총회를 열었지만 주민간 찬반 의견이 갈리면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제주도는 더 이상의 착공지연은 불가피하다며 양돈장 이설 대신 일정 비용을 마을 발전 사업에 투자하겠다는 대안도 제시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동복리 주민들은 “양돈장 이설은 이미 3년 전 지역주민 지원사업 협약서를 통해 약속한 것”이라며 “제주도와 제주시가 이를(양돈장 이설을) 먼저 지켜야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양측의 대치가 계속되자 김방훈 부지사는 정동면 동복리장 등 마을주민과 5대5 대화를 요구하고 현재 공사장 내 컨테이너 사무실에서 약 30분만 비공개 면담을 진행했다.

5.jpg
▲ 김방훈 제주도 정무부지사(사진 오른쪽)도 이날 현장에서 직접 주민설득에 나서며, "앞으로도 주민들과 꾸준히 대화로 해법을 찾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의소리
2.jpg
▲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유치 협약 당시 이행사항인 '양돈장 이설'부터 선행해야 착공할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공무원들을 향해 항의하는 마을 주민 모습 ⓒ제주의소리
4.jpg


김방훈 부지사는 “행정의 입장을 주민들에게 잘 전달했다. 일단 오늘 예정했던 착공 공사는 진행하지 않겠다”며 “마을주민들이 의견을 모아줄때까지 대화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양돈장 이설과 관련해서도 “제주도에서도 신중하게 입장을 정리해 추후 마을주민들을 다시 만나겠다”며 “이장을 중심으로 마을 개발위원 등과도 충분히 대화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동면 동복리장은 이에 “양돈장 이설이 우선이라는 마을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공사를 하려면 약속을 먼저 지켜야 한다. 슬기롭게 해결 방안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환경자원순환센터는 쓰레기 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산56-34번지 일원 26만7095㎡ 부지에 매립(21만299㎡)과 소각(4만7227㎡) 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국비 878억원과 지방비 1156억원 등 총사업비 2034억원을 들여 당초 2016년 11월 착공 예정이었지만 사유재산인 양돈장 이설 등의 문제로 착공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