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음료 사업 진출 공식화...‘공공재 사익화’, ‘제주자원 노린 대기업 우회 진출’ 비판도

1.jpg
▲ 오리온은 26일 제주 용암해수를 활용한 기능성음료 생산 계획을 밝혔다. 사진은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는 허인철 오리온 부회장. ⓒ 제주의소리

대형 제과 업체인 오리온이 제주 용암해수를 원료로 한 음료사업 추진을 공식화했다. 도민 채용을 늘리고 영업이익 일부를 제주에 환원한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대기업이 제주의 공공재를 활용해 사업화하는 데 대한 우려도 나온다.

오리온은 26일 오전 11시 베스트웨스턴 제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 제주용암해수단지 내에 위치한 (주)제주용암수를 통해 음료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리온은 작년 11월 (주)제주용암수 지분 60%를 21억2000만원에 인수하면서 대주주가 됐다. 제주용암수는 2013년 4월 제주용암해수단지 부지를 분양받은 뒤 작년 공장 인허가 절차를 밟았지만 착공하지 않다가 오리온에 지분을 매각했다.

오리온은 (주)제주용암수의 3만3000㎡ 부지 위에 내년 6~7월까지 공장을 완공한 뒤 용암해수를 원료로 기능성 음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첫해 1000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총 3000억원이 투입된다.

상품의 주 타깃은 중국 시장. 오리온은 중국 전역에 270여개의 영업소와 7000여명의 영업사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사업 추진과 함께 △5년 내로 제주도민 300명 채용 △영업이익 5%를 제주발전기금으로 환원 △영업이익 발생 전 사업 초기 매년 5억원 환원 △용암해수단지가 위치한 한동리 주변 인프라 확대 지원 △제주대학교와의 산학협력 등을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다.

허인철 오리온 부회장은 “2년 전 용암해수 얘기를 들었을 때 우리에게도 도움이 되고 제주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제주의 자원을 갖고 하는 사업인 만큼 이익의 상당 부분을 제주의 발전과 제주도민의 행복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오리온이 ‘지역과의 상생’을 강조했지만 ‘대기업의 제주 공공재 사유화’라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주도 차원에서 물이라는 공공재에 대해 하드웨어와 인프라를 조성해 놓고는 (그 이익이)다 사기업에게로 가 버리는 셈”이라며 “(제주도 차원에서)물 산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음에도 이 기회를 사기업에게 넘겨준다는 것은 너무 아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또 “이런 식이라면 지하수 증산을 원하는 한진 등을 무슨 논리로 막을 수 있겠냐”면서 “당장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는 용암해수를 체계적으로 개발해 1, 3차 산업에 편중된 취약한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기 위한 제주도 차원의 물 산업 육성 프로젝트다. 2013년 조성 당시 핵심 취지는 ‘자립경제 기반 구축’이었다.

기반 시설과 부지 조성에만 176억원이 들어갔다. 총 사업비는 260억원 규모다.

제주의 공공재를 바탕으로 큰 그림을 그려야 할 도정이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가능한 대목이다.

현재 제주용암해수단지 내 입주 기업이 대기업에 인수되는 것을 막는 조례 등 법적 장치는 전무하다. 제주자원을 노린 대기업의 ‘우회 진출’을 막는 방법이 없다는 점이 이번 사례에서 확연히 드러났다.

이날 간담회에서 허 부회장은 “취수량을 늘리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일반 지하수와 달리 염지하수(용암해수)가 사실상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는 부존자원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1일 2000톤의 취수권을 갖고 있는 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지원센터는 단지 내 기업들에게 이 한도 내에서 공급하고 있는데, 현재 오리온이 사용 가능한 취수량은 최대 1700톤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허인철 부회장은 “제주도와 협의해 취수량을 조금씩 늘려나가는 방안을 계획 중”이라며 “중국시장을 공략하는데 부족함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