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박창열 연구원, 제주국제안전도시 심포지엄서 언급...도민, NGO, 기업도 협력 체계 갖춰야

제주가 국제적인 안전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비일상적인 재난관리를 상시적으로 전환하고 관 주도의 재난안전관리를 도민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창열 제주연구원 환경도시연구부 책임연구원은 19일 오후 4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주국제안전도시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밝혔다.

박 연구원은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발표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기후 시나리오를 언급하며 재난 상황에 대비한 대책을 주문했다.

기후변호 시나리오에 따르면 2100년 연간 강수량은 현재 보다 38% 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이 경우 제주는 해수면이 50cm 이상 상승해 전체면적의 4.8%인 8.6㎢가 물에 잠긴다.

지진 위험에 따른 재난사고도 위험도 있다. 현재 제주지역 지진 옥외대피소는 68곳으로 수용 가능인원은 21만3555명이다. 제주도 전체 인구 67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주거지가 파손된 이재민의 거주시설인 지진 실내구호소는 4곳에 불과하다. 위치는 노형초등학교와 우도초등학교, 우도체육관, 추자체육관이다. 서귀포시는 한 곳도 없다.

제주지역 재난안전 의식조사에서 도민들은 재난안전관리를 위해 안전규제 강화 등 제도개선(31.2%)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 사회 안전의식 수준향상(30.7%)이 뒤를 이었다.

박 연구원은 대형재난에 대비해 제주도가 도민은 물론 민간기업과 NGO단체까지 아우르는 협력적 안전관리 시스템을 상시 운영하고 통합지휘체계로 권한을 명확히 할 것을 주문했다. 

박 연구원은 “기후변화 영향 등에 대비해 방재시설과 예보 체계를 강화하는 등 상시대응이 필요하다”며 “골든타임 확보를 통해 안전사각지대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민들의 자율방재능력을 강화하고 민간 자원을 활용한 재난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재난안전 정보 통합을 통해 민‧관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