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오승학 제주4.3 70주년기념사업회 교육위원장  

내년이면 4.3 70주년이다. 필자는 내년 4.3기행 준비를 위해 지난 9월23일 안덕면 동광리 4.3올레길 현장을 방문했다. 80세가 되시는 어르신이 반갑게 4.3길을 안내해 주었다. 어르신은 11살에 4.3을 겪었는데 큰넓궤에서 피신했던 상황을 어제 일처럼 막힘없이 전했다. 

큰넓궤는 ‘지슬’영화의 배경이기도 했는데, 당시 생활은 영화의 상황보다 더 참혹했다고 한다. 인근의 무등이왓은 130여 가구가 오순도순 행복하게 살았던 마을이다. 그러나 4.3 이후 토벌대의 가혹한 탄압과 학살로 집들이 모두 불타 없어졌고, 무등왓 주변 마을주민 160여명이 희생됐다. 

어르신은 무등이왓 토벌대의 진입으로 한꺼번에 마을 주민 19명이 학살당한 곳을 가리키며 당시의 기막힌 상황을 설명해줬다. 가족의 시신을 수습하러 온 주민들을 토벌대가 다시 학살을 가했던 잠복 학살터와 해안마을로 내려가지 않겠다는 늙은 어머니와 함께 남아 있다 학살당한 아들, 이후 어머니는 돼지우리에 숨어살다 굶어 죽은 참혹했던 사연, 일가족이 모두 몰살당해 후손이 없는 집안 등 제주도민이기에 겪었던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전했다. 

요즘 5.18 영화 택시운전사 영화가 천만관객 돌파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주 5.18의 상황을 전한 독일기자 힌츠페터 못지않게 4.3의 상황을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는 이 어르신이야 말로 4.3의 증인이요 제주의 영웅이라고 생각한다. 

제주4.3 70주년을 앞두고 역사적 장소를 찾는 탐방객과 청소년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제주서부지역의 잃어버린 마을과 4.3피해의 상징이 된 동광리의 4.3 터에 대한 역사보존이 절실하다. 해가 지날수록 당시의 모습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무엇보다 찾아오는 방문객을 위한 4.3길 안내센터와 기념관이 필요하다. 인근의 제주역사신화공원은 이름처럼 제주의 역사·신화보다 콘도시설과 카지노 시설, 놀이공원 등의 휴양시설 위주이다. 

위정자들이 4.3교육과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동광리는 마을 복지회관에 간단한 안내판과 4.3해설사 2명이 배치된 것이 전부이다. 제주도는 4.3 70주년을 맞아 ‘제주방문의 해’ 등 외형적 행사와 홍보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는데 막상 탐방객들이 동광리 등 4.3 현장을 찾아왔을 때 당시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시설물은 부족한 편이다.

제주 서부지역은 4.3 역사의 상징인 동광리 잃어버린 마을과 큰넓궤. 인근 구억초등학교에 토벌대와 무장대의 평화회담 장소, 섣알오름 학살터 등 4.3과 관련된 중요한 현장이 곳곳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곳의 4.3 유적지 보존과 방문자 센터, 교육시설 확충을 통한 역사교육장화가 필요하다. 

무등이왓의 잃어버린 마을 복원, 소규모 전시시설 설치, 폐교시설 활용 방문자센터 건립, 큰넓궤 등 인근의 평화회담 4.3유적지 보전사업 등은 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와 도의회는 조례제정과 행정적 조치를 통해 사라져가는 역사현장을 보존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KakaoTalk_20170925_143614092.jpg
▲ 오승학 제주4.3 70주년기념사업회 교육위원장
마을별로 4.3 당시를 잘 알고 있는 어르신을 통한 상세한 증언 채록과 스토리텔링화 작업, 이를 토대로 한 마을복원과 4.3교육인프라 구축과 활용이 절실하다. 연로해 유명을 달리하고 있는 유족 1세대들을 우대해 줘야 한다. 이분들 생전에 구슬증언에 맞는 4.3역사 현장보존과 학생과 탐방객들이 찾아 체험할 수 있는 여건조성도 필요하다. 

앞으로 10년 후 4.3 80주년이 되었을 때, 우리는 4.3 당시를 증언할 수 있는 어르신은 거의 찾고자 해도 찾아 볼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