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평화봉사단(단장 강상철)이 지난 달 ‘2017 국제개발협력사업’ 일환으로 아프리카의 진주 우간다(Uganda)에서 ‘평화의 씨앗 나누기’ 봉사활동을 벌였다. 지난 8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10박 11일에 걸쳐 쿠미(Kumi) 은예로(Nyero) 지역에서 12명 단원이 ‘쿠미와 제주, 하나 되는 평화 캠프’라는 주제로 활동했다. 제주특별자치도 평화대외협력과 주최, 제주평화봉사단 주관으로 이루어진 이번 사업은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t, ODA) 사업의 일환으로 전쟁과 재난․재해 발생국가, 저개발국가를 대상으로 제주 평화의 섬 이미지를 제고하고 지구촌 평화 증진을 위한 실천사업이다. 우간다 쿠미에 ODA 사업을 통해 새 희망을 심고 평화 증진 활동에 함께 참여한 양영길 시인의 글을 10회에 걸쳐 나눠 싣는다. <편집자 주> 

우간다1-6.jpg
▲ 우간다 캄팔라의 어느 외곽지역에서 바라본 차창 밖 풍경은 척박하고 빈곤했다. 분홍색 교복을 입은 어린이들이 정답게 손을 맞잡은채 코카콜라 로고가 새겨진 붉은색 건물 앞을 지나고 있다. / 사진제공 =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양영길 시인의 우간다 이야기](1) 아프리카에서는 한국 시간을 잊어야 했다

동아프리카 우간다는 제주 ‘4.3’과 같은 국가폭력의 아픈 역사 경험을 안고 있다. 잦은 내전과 쿠데타로 기아와 빈곤 문제가 심각하며, 아동과 청소년 안전이 위협받고 있어 많은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우리 봉사단이 활동하는 쿠미(Kumi) 지방은 모든 면에서 소외된 오지였다. 

제주평화봉사단은 기아대책 우간다사무소와의 협력을 통해 우간다 쿠미 지방의 실정을 확인하고 ‘아동의 인권과 교육 환경 조성’, ‘보건 위생 환경 개선’, ‘평화 증진을 위한 전쟁피해 가족 돕기’ 사업을 중심으로 활동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하여 빈곤 상황을 완화하고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발전 토대를 다져나가는 데 함께 하고자 했다.

우간다1-1.jpg
▲ 지난 8월 20일 오후 5시 제주공항에서 우간다 쿠미로의 평화봉사단 출정식을 갖은 후 비행기에 올랐다. 참가자들은 이날 평화의 의미와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다시 한 번 가다듬었다. / 사진제공 =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이번 봉사단은 지난 5월부터 계획하여 7월 8일까지 도민 공모를 거쳐 면접을 통과한 9명(교육팀과 환경개선팀)과 행정실무팀 3명(단장, 실무팀장, 방송사 PD) 등 총 12명으로 구성되었다. 단원들은 각종 예방주사를 맞아야 했고, 5차에 걸친 사전교육과 1박2일 MT를 통해 단원끼리 소통하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사전교육은 ‘우간다의 역사와 문화’(강상철, 양영길), ‘세계 이웃과 만나는 방식’(신강협), ‘평화 감수성 교육’(장소영), ‘심폐 소생술과 안전교육’(고향심), ‘오카리나 연습’(문지숙), ‘종이접기’(김은아) 등 총 30여 시간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파트너로서의 새 친구들을 만날 마음가짐을 가다듬었다. 

학생 교육과 공연은 오카리나 연주를 준비했다. 문지숙 선생의 지도로 오카리나 연주를 연습하는데, 필자는 왕초보라서 운지법부터 배워야 했다. 악보를 읽으면서 손가락을 움직여야 하는 연주를 직접 해본 것은 처음이었다. 보고 듣고만 하던 장면이었는데 직접 악기를 다룬다는 게 손가락부터 힘이 들어가고 굳어버렸다. 

우리 단원들은 8월 20일 오후 제주에서 출발하여 3일차인 8월 22일 새벽 1시 반이 넘어 활동지역인 쿠미에 도착하여 교육봉사팀과 환경개선팀으로 나눠 현지 활동을 펼쳤다. 교육봉사팀은 ‘학부모 대상 아동급식 교육’, ‘전쟁 피해가정 지원 사업’, ‘아동인권 교육’을, 환경개선팀은 ‘아포루오콜 기념 중등학교 신축공사(교실 2실) 및 급식소(1개소) 공사 확인 및 벽화 그리기’, 현지 지방정부 요청사업인 ‘은예로 보건소 팬스 설치 공사 확인 및 마무리’ 사업이 진행되었다. 

우간다1-2.jpg
▲ 우간다 캄팔라 시내를 지나던 중 버스 안에서 바라본 혼잡한 거리 풍경 / 사진제공 =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오카리나 교육은 은게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상대로 이루어졌으며, 아동인권 교육은 현지 공연팀과 함께 마당극 형식으로 준비했다. 그리고 쿠미 지역의 학교 교장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폐 소생술’과 교실환경 미화를 위한 ‘종이접기’ 교육 등이 이루어졌다. 

8월 21일 0시 인천공항을 출발한 비행기가 두바이공항에 도착한 것은 현지 시간 새벽 4시30분(한국 시간 오전 9시 30분) 총 9시간 30분을 비행한 것이었다. 두바이 공항에서 우간다 엔테베 행 비행기로 환승하는데 대기 시간은 약 5시간. 그러나 이 5시간은 공항 밖으로 나가 두바이 시내를 둘러볼 수도 없는 짧은 시간이어서 환승 게이트 근처와 공항 밖을 내다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실질적으로 공항 내 이동 등으로 대기 시간이 3시간 남짓 밖에 안 되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오전 9시 30분 두바이 공항을 출발한 비행기는 오후 2시 반경 엔테베 공항에 도착했다. 좀 번잡한 입국 수속을 마치고 나와 보니 현지 매니저인 이명현 팀장(Joy)이 반갑게 맞아 주었다. 엔테베 공항에서 수도 캄팔라로의 이동은 오후 4시가 돼서야 출발했다. 조이는 지금 한국 시간이 밤 10시라고 확인해 주면서 ‘시차 적응을 위해 한국 시간을 잊어야 한다.’고 했다. ‘시차 적응’ 쯤이야 하면서 건성으로 듣는 사이 우리 봉사단을 실은 중형버스 창밖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다는 빅토리아 호수가 시야로 들어왔다. 호수를 끼고 1시간 만에 캄팔라에 도착하여 우간다 화폐 실링으로 환전하고 다시 갈 길을 재촉해야 했다. 7~8시간을 더 버스로 달려야 했기 때문이다. 

캄팔라 도심은 빌딩과 사람, 차량으로 가득했다. 교통체증이 보통 심각한 게 아니었다. 앞차와 뒤차 사이에 오토바이가 끼어드는 건 보통이었다. 중심가를 통과하는 길은 걷는 것보다 훨씬 느리지만 봉사활동 지역인 쿠미로 가기 위해서는 중심지를 거치지 않고 가는 길이 없다고 했다. 중심지를 벗어나자 길거리 장사가 한창이었다. 에어텔(AIRTEL), 솔라(SOLA) 간판이 많아 눈길을 끌기도 했다. 
우간다1-5.jpg
▲ 세계에서 두 번째로 넓다는 빅토리아 호수. 세계 3대 강인 나일강의 근원지이기도 하다. / 사진제공 =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우간다1-4.jpg
▲ 10대 초반쯤으로 보이는 현지 아이가 힘겹게 머리에 장작을 이고 걸어가는 뒤로 비포장 길을 따라 오토바이들이 먼지를 날리며 내달리고 있다. / 사진제공 =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캄팔라를 벗어나면서 도로가에 높이 40~50cm는 될 것 같은 개미집이 있어 물어봤더니 개미집을 캐다가 팔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점성이 좋아 벽돌 만들 때 첨가재료로 사용한다고 했다. 또 날아다니는 수개미는 식용으로 쓰기도 하는데, 개미집에 한두 마리밖에 없는 여왕개미를 보양식으로 잡아먹기 위해 저 커다란 개미집을 파헤치는 족속들도 있다고 조이는 탄식하기도 했다. 

저녁 7시쯤 마트에 도착하여 저녁거리(치킨과 감자칩)를 사고 버스로 이동하면서 저녁을 해결했다. 한국 시간 새벽 1시인 셈이다. 평균 40~50㎞ 속도로 포장길, 반포장 길, 비포장 길을 버스의 불빛 하나 믿고 우두 컴컴한 길을 외롭게 달리고 달렸다. 간간이 고장 난 차량이 있었고, 가로등은 구경할 수 없었다. 간간이 보이는 도로 주변의 집에는 외등을 환히 켜고 있었고 캄캄한 밤인데도 길 가장자리로 걸어 다니는 사람들이 가끔 보였다.

가는 곳 마다 과속 방지턱이 많아 버스는 좌우로 앞뒤로 많이 흔들렸고 가는 곳마다 검문을 위한 쇠꼬챙이 판이 차량의 통행을 막아서서 돌아가느라 또 흔들렸다. 가끔 검문을 실시하기도 했는데 그들은 총을 들고 있기도 했다.

우간다1-7.jpg
▲ 은게로초등학교 어린이들 모습 ⓒ제주의소리

3일 동안 묵을 쿠미호텔에 도착한 것은 새벽 1시 반이 넘어서였다. 새벽 2시경 방 배정을 받고 짐을 풀자 창밖에 스콜이 한바탕 쏟아졌다. 그러나 그것도 잠깐 뿐, 금세 조용해지고 세상은 캄캄했다. 한국 시간으로는 아침 8시, 하루가 시작되는 시간에
우간다1-3.jpg
▲ 은게로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을 만난 양영길 시인 ⓒ제주의소리
우리는 잠을 청해야 했다. 뒤척이는 사이 새벽 3시쯤 해서 멀리 닭울음소리가 시작되었다. 한국 시간은 아침 9시였다. 잠시 잠이 들었을까 싶었는데 닭울음소리가 떼를 지어 합창을 했다. 어릴 적 들었던 소리와 별로 달라 보이지 않았다. 

현지 시간 아침 8시, 한국 시간은 오후 2시였다. 카메라를 들고 호텔 밖으로 나왔다. 내 눈에 들어온 쿠미의 첫 풍경은 비포장 흙길이었다. 흙길은 길게 나 있었고 오르락내리락 하지만 멀리 곧게 뻗어 있었는데, 한 청소년이 머리에 장작을 이고 걷는 길을 오토바이들이 흙먼지를 날리며 달리고 있었다. 


시(詩)

시간을 잊어라  / 양영길


아프리카 우간다에서는
한국 시간을 잊어버려야 했다.
잊어야만 되었다. 시차 적응을 위하여

아침 6시는 한국 시간 낮 12시
낮 12시는 한국 시간 저녁 6시
우리가 봉사활동을 마치고 캠프로 돌아오는
저녁 8시는 한국 시간 새벽 2시
우리들이 서로 말 섞으며 술잔을 치켜들던 시간에
우간다에서는 새벽 닭울음소리가 시작되었다. 

시간을 잊으면서
한국 가족들과의 소통도 잊어야 했다. 
새벽 2~3시에 한가한 소리로 
잠을 깨워서는 결코 안 되었다.

‘6시간’ 이라는 시차
마음을 비워야만 시차 적응이 되는데도
잊으려고 애쓸 때마다 되살아나는
한국 시간의 그리운 얼굴들
그 때 그 크게 웃던 웃음소리들

자고 일어나던 오래된 시간도 
먹고 놀던 진한 시간도
잊어야만 했다. 아프리카에서는 

그러나 우간다 쿠미의 초가집들과 
끝 모르게 길게 뻗은 붉은 흙길과 
아이들의 호기심어린 큰 눈망울과
꾸밈없는 웃음 너머 
가난과 불안의 씨앗인 그 폭력의 역사들은 
잊어서는 안 되는 아프디 아픈 시간이었다.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시간들이었다.
 
* 양영길 시인은 1991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이후, 『바람의 땅에 서서』, 『가랑이 사이로 굽어보는 세상』 등의 시집을 냈으며, 최근 청소년 시집 『궁금 바이러스』가 출판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