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32_226282_3422.jpg
정부, 한중 모든 분야 교류협력 복원 공식 발표...경제성장 vs 과잉관광 엇갈린 평가 ‘과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로 촉발된 관광시장 보복이 해빙 모드로 전환되면서 제주 관광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관광객 감소로 직격탄을 맞은 서비스‧관광업계는 기대감을 보이는 반면 밀려드는 중국인에 부작용을 경험한 도민들의 우려감도 적지 않다.

외교부 동북아국은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과 중국 양측은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발전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사드 보복 이후 양측 관계 회복을 공식 언급했다.

양측은 한중간 교류협력 강화가 양측의 공동 이익에 부합된다는데 공감하고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정부의 발표 직후 중국인 관광객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관련 업계 주자가 오르는 등 시장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제주관광 시장 상품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바오젠거리2.jpg
관광 시장에서는 어느때보다 기대감이 높지만 일부 도민들은 최근 3년간 겪은 후유증으로 마냥 반기는 분위기만은 아니다.

10년 전만해도 제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은 연간 54만1274명에 불과했다. 이후 증가세를 이어가다 2011년에는 사상 처음 외국인 관광객 100만명 시대를 열었다.

중국인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항공기, 크루즈 노선 확충 등이 겹치면서 2013년에는 200만명을 넘어섰다. 2016년에는 300만명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 수준인 360만명을 기록했다.

늘어나는 관광객에 제주 관광시장은 급격히 팽창했다. 중국 전문여행사들이 들어서며 곳곳에 단체관광객을 유혹하는 잡화접, 사후면세점 등이 줄줄이 문을 열었다.

도심지는 물론 외곽지역 식당조차 중국어 메뉴가 등장했다. 외국인 전용 카지노마다 외국인들로 넘쳐났고 대형 면세점에는 밀려드는 손님을 감당하지 못해 건물을 증축할 정도였다.

전에 없던 호황에 경기는 살아났고 서비스업 생산 성장세는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관광객 증가는 도민들의 생활과 정책, 제도 변화까지 이끌어 냈다.

191528_220242_3921.jpg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올해 3~5월 중국인 감소에 따른 소비흐름 분석하며 제주 성장률이 최대 3%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만큼 중국인 관광객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커졌다. 

도내 관광업계 관계자는 “사드 사태로 중국인 관광객을 상대하는 업종에 직접적인 피해가 있었다”며 “중국인들이 다시 돌아오면 관광업계도 다시 살아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관광시장의 양적 팽창으로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불편함도 뒤따랐다. 중국자본이 여행시장을 선점하면서 저가 패키지 상품 증가로 관광수익의 역외유출 문제가 불거졌다.

중국 업체 이름이 새겨진 바오젠거리는 임대료 상승에 소상공인들이 내몰렸다. 대규모 개발로 환경파괴 논란이 일었고 외국인 카지노는 줄줄이 외국 자본에 넘어갔다.

무사증 제도를 악용한 불법체류자가 증가하고 난민법을 악용한 가짜 중국인 난민들이 판을 쳤다. 성당에 침입해 교인을 살해하는 등 살인과 강간 등 강력 범죄도 급증했다.

명과 암이 교차하면서 제주에서는 원주민들의 실상을 표현하는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 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이라는 단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88431_216466_2101.jpg
과잉관광을 뜻하는 오버투어리즘은 수용력을 넘어서는 관광객으로 인해 지역주민이 관광객과 관광에 분노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됐던 원도심이 번성해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을 이르는 용어다.

중국인 관광객 증가로 피로감을 느낀 도민들 사이에 자연히 부정적 여론이 생겨났다. 사드 여파로 유커가 줄면서 오히려 숨고르기를 잘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유커의 증가로 지역 경제가 성장한 것은 맞지만 특정 국가에 치우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사드 사태를 계기로 잠시 쉬어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본과 동남아 등으로 관광객 유치 다변화에 더욱 힘을 써야 한다”며 “항공기 슬롯 배정 등을 통해 이를 실행에 옮기는 정책적 조치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