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없음-1.jpg
▲ 16일 오후 3시 제주대학교 인문대학에서 제10대 제주대 총장임용후보자 2차 토론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강성하(기호 1번), 송석언(기호 3번), 김경호(사회자), 김철수(기호 4번), 이남호(기호 2번) 교수.

총장 후보자 2차 토론회서 이화여대 총장 사퇴·구속 부른 '평생교육단과대학' 논의

이화여자대학교 등 전국적으로 ‘학위장사’ 논란을 일으켰던 평생교육단과대학에 대해 제주대학교 총장임용후보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입학자격 조건 완화를 공약했다.

입학정원 미달 현상에 따른 대안이라지만 총장후보자들이 상아탑에서의 ‘학위장사’ 논란에 기름을 더 붓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대학교 총장임용추천위원회는 16일 오후 3시 인문대학 2호관에서 제2차 10대 총장 임용후보자 공개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 주제는 '대학의 교육·연구·복지-교육·연구·대학 복지 및 근무 조건' 등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강성하·이남호·송석언·김철수 후보(기호 순) 모두 평생교육단과대학인 ‘미래융합대학(미래대학)’을 언급하는 등 중요 의제로 다뤘다.

기호 1번 강성하 교수는 “미래대학의 대부분 학과가 정원에 미달됐다. 적극적으로 지원해 정원을 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기호 2번 이남호 교수는 “미래대학 입학자격 요건이 까다롭다. 교육부가 통제하고 있는데, 총장이 되면 교육부와 협의를 통해 입학자격을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기호 3번 송석언 교수는 “전국적으로 평생교육대학 모두가 미달되고 있는 상황이다. 입학 기준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제주실정에 맞게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호 4번 김철수 교수도 “미래대학은 필요하고 미래융합대학 신설로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다”면서 “하지만 입학자격이 까다롭다. 미래대학 입학본부를 신설하고 입학자격 조건을 완화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첫 입학생을 받은 미래대학은 건강뷰티향장학과, 관광융복합학과, 부동산관리학과, 실버케어복지학과 등 4개 학과로 구성됐다. 학과별로 정원 내 10명, 정원 외로 28~29명을 선발한다.

정원 내 모집대상은 만 30세 이상, 정원 외는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뒤 산업체에서 3년 이상 근무해야 한다.

일반학과 학생들은 1학기당 18~21학점을 이수하거나 재학연한이 8년이지만, 미래대학은 이 기준을 폐지했다. 또 1년 4학기제로 운영되고, 1학기에 2~3학점만 이수해도 된다. 등록금은 인문계열은 1학점에 10만1000원, 자연계열은 12만4000원이다.

그런데 올해 신입생 선발에서 미래대학 대부분 학과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박근혜 정부 때 도입된 평생교육단과대학은 수능 성적을 반영하지 않아 입학하기 쉽다. 무엇보다 졸업 요건이 다른 단과대학에 비해 쉬워 ‘학위장사’ 논란을 일으켰다.

이화여대의 경우 평생교육단과대학(미래라이프대학) 신설에 학생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학교 측과 갈등을 빚었고, 이 과정에서 최순실의 딸 정유라 특혜 입학 논란이 불거졌다. 결국 이 사건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이어져 전국을 강타했고,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최경희 당시 총장은 ‘입시비리’ 혐의로 기소돼 최근 2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기도 했다.

한편 이날까지 이어진 두 차례 토론회에서 후보자들은 ‘교수님’과 ‘행정편의’라는 단어를 입에 가장 많이 올렸다. 이 때문에 직원들과 학생들 사이에서는 ‘제주대 총장’이 아니라 ‘제주대 교수 총장’을 선출하는 것 같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후보자들 대부분 ‘교수들의 편의’, ‘교수들의 자율성’, ‘교수들이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편의 시스템으로 교수들이 불편하다’는 식의 발언으로 최대 표밭인 교수 표심 공략에만 공을 들이고 있다는 비판인 셈이다.

10대 총장 선거인단은 파견·휴직 등을 제외하고 전임교원(교수) 566명, 직원 317명, 조교 105명, 학생 100명 등 총 1088명이다.

표의 등가성(等價性)에 따라 전임교원은 566명이 투표해 566표가 인정되고 △직원은 317명 투표, 73표 인정 △조교 105명 투표, 11표 인정 △학생 100명 투표, 22표가 인정된다. 총장 선출이 사실상 교수들의 표심에 좌우되는 구조인 셈이다.

이와 관련 한 교직원은 “이전 선거에서도 후보자들의 공약 대부분은 교수들 편의가 최우선이었다. 교수를 제외한 구성원 대부분이 토론회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도 어차피 교수사회 중심으로 공약이 제시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