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2일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포구 인근 하수중계펌프장에서 발생한 질식 사고 현장. ⓒ제주의소리
강창석 본부장 "규정상 송기마스크 써야 했는데..." 공무원 1명은 근로자 구하려다 '중태' 

제주에서 발생한 하수중계펌프장 질식사고는 안전불감증이 낳은 인재(人災)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3시29분께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포구 인근 하수중계펌프장에서 배관 교체 작업을 하던 업체 직원 3명과 공무원 2명 등 총 5명이 유독가스에 질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업체 직원 1명이 압송관 해체작업 중 유해가스를 흡입, 질식하자 감독 공무원 2명이 직원을 구조하기 위해 진입하는 과정에서 이들도 질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다시 업체 직원 2명이 진입해 감독공무원 1명을 제외한 3명을 구조했고, 끝까지 남아있던 공무원 1명은 119구급대에 의해 구조됐지만 중태에 빠졌다. 작업현장을 관리하던 이 공무원은 업체 직원이 위험에 처해자 곧바로 펌프장 안으로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작업 현장의 안전 점검이 제대로 이뤄졌는가 하는 점이다.

강창석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은 23일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가진 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규정상 현장 작업자들은 송기마스크를 써야하는데, 여건상 쓰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펌프장은 밸브실과 저수조로 나뉘어져 있는데, 밸브실은 유해가스가 없는 곳이어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들어갔다. 교체하는 밸브를 여는 순간 유해가스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규정상으로는 밸브실과 저수조를 구분하지 않고 마스크를 착용하게끔 돼있다.

현장에 마스크와 환기팬 같은 안전장비가 없었냐는 질문에는 "10m 인근에 (안전장비가 준비된)차량이 있었지만, 관습적으로 그런 공사를 여러번 하다보니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해 (준비가)미비했던 것 같다"고 답변했다.

1차로 사고자가 발생했다면 안전장비를 갖췄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거듭된 질문에 강 본부장은 "현장이라는 것이 매뉴얼대로 되면 좋겠지만 감독공무원으로서의 책임감 때문에 급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외 사안에 대해서는 "경찰 수사 과정에 있다"고 말을 아꼈다.

2016년 7월에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리 하수처리펌프장에서 작업을 하던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난 바 있어, 안전불감증 문제가 도마에 오르게 됐다. 

한편, 제주도는 원희룡 지사가 직접 주재한 가운데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가족 위로 및 행정지원을 위한 사고대책본부를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본부장은 행정부지사가 맡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