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096_242944_5135.jpg

[대중교통개편 1년 성과와 과제] ③ '인기없는' 정책? 환승센터, 차고지증명제 등 병행해야 효과  

6.13지방선거 과정에서 정치적 논란은 있었지만 대중교통체계 개편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었다.

2011년 25만7154대였던 제주지역 자동차 등록대수는 5년만인 2016년 35만1506대(역외세입차량 11만5737대 제외)로 매년 2만대씩 늘어났다.

제주도민 1인당 자동차 보유대수가 0.532대로 도민 2명 중 1명은 자가용을 소유하고 있고, 세대당 자가용 보유대수는 1.317대로 전국 1위다. 

그동안 제주도는 대중교통이 불편하니 자가용이 늘어나고, 자가용이 늘어나니 다시 대중교통 이용객은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물론 2013년부터는 인구수가 꾸준히 늘면서 대중교통 이용객은 조금씩 증가했지만 부족한 인프라에다, 대중교통이 민간 버스업체 중심으로 이뤄지다 보니 투자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제주도의 승용차 분담률은 45.9%로 타시도 보다 매우 높고, 렌터카 역시 3만2000여대로 적지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제주도는 지난해 8월26일 준공영제 실시, 버스우선차로제, 시내외버스 통합 및 요금 통합, 급행-간선-지선체제 도입, 환승센터 및 환승정류장 도입, 만 70세 이상 어르신 및 장애인 무료 정책인 교통복지카드 등을 도입했다.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게 준공영제와 더불어 버스우선차로제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버스우선차로제는 중앙로(광양로터리~아라초 2.7km) 구간과 공항로(0.8km) 구간은 버스중앙차로제, 동서광로~신대로~노형로(국립박물관~월산마을) 9.4km 구간은 가로변차로제로 운영되고 있다.

중앙차로제가 시범 실시되고 있는 중앙로 2.7km 구간 대중교통 통행속도는 남→북 방향의 경우 13.1km/h에서 22.1km/h로 빨라졌고, 북→남 방향도 2.3km/h 빨라졌다.

버스의 정시성은 높아진 반면 승용차의 통행속도는 남→북 방향의 경우 1km/h, 북→남 방향은 8.3km/h 각각 느려졌다.

중앙차로제는 대중교통 우선 정책의 핵심이다. 버스를 타면 빠르고 편리한 반면 자가용을 타면 불편하다는 인식을 심어주겠다는 것이다.

제주도는 이미 동서광로~신대로~노형로 9.4km 구간과 중앙로 아라초~제주대병원 1.6km 구간에 대한 중앙차로제 설치공사 기본 및 실시계획을 마무리하고 주민설명회를 갖고 있다.

버스를 타는 중고생과 시민들은 중앙차로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버스 이용률도 중앙차로 정류장의 경우 20% 이상 증가했다.

반대로 승용차를 타는 도민들은 불만이 상당히 높다. 더 막힐 뿐만 아니라 중앙차로제를 확대하면 밴드웨건 현상으로 연삼로와 연북로 등이 더 막히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당장 도의회에선 중앙차로제 확대에 대해 효과 분석을 한 후에 보완을 하든지 없애든지 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중앙차로제로 인해 보행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버스차선을 별도로 하고 정류장까지 만들면서 인도 폭이 실제로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녹색당 제주도당은 "자동차 포화상태의 제주도에서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이용을 늘리겠다는 정책방향은 바람직하다"면서도 "보행권 확보를 전제로 한 대중교통체계개편이 이뤄지지 않은 점은 대중교통의 수송분담률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꼬집고 있다.

대중교통체계를 전면 개편했지만 앞으로 승용차를 타는 도민들을 대중교통으로 흡수하기 위해선 연관 정책들도 동시에 시행돼야 한다. 

▲ 버스중앙차로제 계획 구간인 동서광로~신대로~노형로 구간.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도심지에 차를 갖고 오지 못하도록 환승센터를 서둘러 완성해야 한다. 제주도는 일단 제주공항과 대천동, 동광, 서귀포시 등 4개의 복합환승센터와 일도동과 무수천 인근에 도심지 차량 주차를 할 수 있는 환승센터를 준비하고 있다.

당장 대천과 동광 복합환승센터는 용역에 들어갔지만 제주공항 인근 광역복합환승센터는 언제 들어설 지 감감 무소식이다. 

여기에 도심 차량 진입을 줄이기 위한 일도동과 무수천 인근 환승센터도 아직까지 밑그림 상태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 렌터카 총량제를 도입, 9월부터 본격 시행되면 3만2000대에서 7000대를 줄일 수 있게 됐다. 

또다른 차량 억제책인 차고지증명제와 거주자 우선주차제 등도 시급히 도입돼야 한다. 여기에 주택가 이면도로 불법주차 강력단속, 공영주차장 전면 유료화 등도 이뤄져야 한다.

차고지증명제와 거주자 우선주차제는 도민 반발과 도의회 제동으로 여러 차례 도입이 미뤄졌다. 

차량 억제책은 당장은 '인기 없는 정책'일지 모른다. 저항이 거센 만큼 도민 설득과정이 더 필요하다.  

대중교통 확대 방안으로 차제에  '신교통수단'에 대한 논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손상훈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대중교통체계를 전면 개편했지만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며 "1년 동안 나온 문제점을 갖고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자가용 이용자들을 대중교통으로 흡수하기 위한 메리트를 더욱 강화하고, 서비스 역시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손 연구원은 "교통은 습관이다. 자동차를 이용하던 사람들이 한꺼번에 버스를 타지 는 않는다. 더 촘촘하고, 편리한 버스 노선이 이뤄져야 한다. 적어도 3년에서 5년 정도는 계속해야 대중교통이 본 궤도에 오를 수 있다"며 "대중교통으로 유인할 정책도 꾸준하게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