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jpg
▲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제주문화누리포럼(대표 김용범)은 17일 오후 3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700년 목축문화, 잣성 유적 보전과 활용방안’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제주의소리
제주도의회 제주문화누리포럼 정책토론회…“제주 잣성, 선조들 피땀 서린 역사적 유물”

700년 역사를 간직한 제주돌문화로, 전통적인 목축문화 흔적이 남아있는 잣성을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제주도의회 의원연구모임인 제주문화누리포럼(대표 김용범)은 17일 오후 3시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700년 목축문화, 잣성 유적 보전과 활용방안’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제주도 문화재위원회 위원인 강만익 박사(탐라문화연구원 특별연구원)는 ‘향토유산 제주도 잣성의 등장 배경과 축조 양상’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의 잣성을 하루속히 문화재 또는 민속자료, 기념물 등으로 지정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만익 박사는 제주 잣성에 대해 “조선 초기부터 한라산지에 설치된 국마장의 상하(남북), 좌우(동서) 경계에 쌓은 돌담이라는 점에서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며 “조선시대 제주도 목장사와 목축문화사를 상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잔존 유적”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그는 “제주의 잣성이 선형(線形) 유물로서 국내에 남아있는 역사유물 중 길이가 가장 길고 단순한 돌무지가 아니라 제주도 선조들의 피와 땀이 서려 있는 역사적 유물이라는 점에서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며 잣성에 대한 정책적인 보호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강 박사는 또 “우리나라에서는 목축과 관련된 잣성이 제주도에만 분포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면서 “하루 빨리 문화재 또는 민속자료, 기념물 등으로 지정, 보호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 제주 잣성. ⓒ제주의소리
잣성이 산담 축조와 도로 건설, 초지를 개간해 농경지로 만드는 과정에서 허물어지면서 소멸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 강 박사는 정확한 실태조사와 함께 보호대책 마련을 주문하기도 했다.

강 박사는 “최근 들어 과거 중산간 목장지역에 골프장이 입지하면서 잣성 소멸은 매우 심각한 실정”이라며 “더 늦기 전에 잣성의 목축문화사적, 역사적 가치를 중시해 일부 잣성이라도 문화재 또는 기념물(향토문화유산)로 지정, 보호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맹호 제주잣성보존회 이사장도 잣성 훼손이 심각한다며 복원에 앞서 실태조사부터 진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아라공동목장이 있는 3소장의 예를 들어 “잣성이 잘 보존되어 있는 곳들도 많지만, 조사되어 있는 보고에 의하면 대부분 유실돼 있는 것으로 나온다”며 “재조사 후 복원할 곳들부터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복원작업을 진행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제언했다.

특히 그는 잣성 활용과 관련해 “10소장의 잣성이 있는 곳들은 제주도의 새로운 관광 콘텐츠가 될 수 있다”며 “테마 길을 만들어 자연과 함께 걷는 길을 만들고, 자연과 더불어 걷는 길을 만들면 제주만이 할 수 있는 특별한 잣성 활용방안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고재원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원장도 2000년대 발행된 ‘문화유적분포지도’에 잣성이 표시돼 있지만 표시가 없는 곳이 많다는 점을 들어 “실태조사가 덜 된 탓도 있지만 목초지 및 농경지 개간, 감귤과수원 조성, 농로와 일반도로 조성, 골프장 또는 대규모 공원 조성 등으로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고 원장은 “중산간 지대 주택 개발과 타운하우스 등 소규모 단지가 조성되면서 잣성이 잘려나가는 경우가 많은만큼 허가 관청인 행정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잣성이 잘 남아 있는 구간을 시급히 문화재로 지정하거나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 보존대책을 하루 빨리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범 제주문화누리포럼 대표(방·중앙·천지동, 더불어민주당)는 “잣성이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데도 무관심 속에 훼손된 현실을 보면 제주도정이 말하는 ‘제주문화의 정체성 모색’에 위배된다”며 “보전과 활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11대 의회 출범 이후 구성된 제주문화누리포럼에는 김용범(대표), 강성민, 강철남, 고태순, 김장영, 김황국, 문종태, 양영식, 이경용, 정민구 의원 등 10명이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