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산업입지 수급계획 고시...화북공업지역 기업 이전 39%-안한다 34%

KakaoTalk_20190107_112635757.jpg
제주시 화북지역 주민들의 숙원인 화북준공업지역 이전이 다소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산업입지 수급계획'을 수립, 오는 9일자로 고시한다고 7일 밝혔다.

산업입지 수급계획은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것으로, 제주지역 산업입지 수요추정 결과와 산업발전 추세를 제시·반영한다.

제주도는 지난 3월 제주연구원에 '제주특별자치도 산업입지 수급계획'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용역에 따르면 오는 2025년까지 제주지역 산업입지 수요 및 공급규모는 순수요는 최소 53만2000㎡~최대 74만6000㎡로 추정됐다.

계획입지 공급규모는 최소 9만1200㎡~최대 14만2600㎡로 산정됐다. 이는 산업단지 내 산업시설용지(공장부지) 면적으로 산업단지 1~2개를 추가 조성할 수 있는 규모다.

또한 기존 산업입지에 대한 노후화 진단 결과 제주 3개 농공단지에서 20년 이상 건축물 비중이 50%가 넘고, 기반시설도 25년 이상 경과되는 등 노후화가 진행돼 재생검토가 필요했다.

화북준공업지역은 물리적 노후도가 높았으며, 토평준공업지역은 노후도는 비교적 양호하지만 교통접근성 측면에서 불리한 입지조건을 갖고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

산업단지 유형별 활성화 방안으로 첨단과학기술단지는 혁신성장 지원센터를 조성해 고부가가치형 융복합 산업을 육성하고, 향후 1단지와 2단지 연계.통합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용암해수산업단지는 물산업 구조 고도화를 달성할 수 있는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용암해수 관련 산업의 집적이익 극대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농공단지는 제주지역의 주요 생산 업종인 음식료품의 특화발전을 유도해 지역농축수산물의 생산.가공.체험.관광 등을 연계한 6차 산업형 농공단지로 조성이 필요하다.

토평준공업지역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산업입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서귀포시 공업지역 확대에 대비한 확장이 제시됐다

화북준공업지역은 도시기본계획에서 2025년 주거용지로 변경할 계획으로 도시재생을 위한 전략으로 '대체입지 선정 후 이설', '복합용지로 도시정비', '공업기능 재생' 등 3개 방안을 제안했다.

이처럼 3개 방안으로 제시한 이유는 화북준공업지역 입주기업들이 입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제주연구원에서 화북준공업지역 입주기업 251개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전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39.4%, 없다는 응답 34.3%, 판단 유보 26.3% 순으로 나타났다. 

공장 이전에 대해 입주기업간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화북준공업지역이 주거용지로 변경되면 '산업단지개발'(57.6%)을 선호하고 있고, 대체입지로는 제주시 동지역(72.1%)을 선호했다.

화북준공업지역은 1987년 제주시 화북동에 28만8000㎡ 규모로 조성됐다. 쾌적한 관광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곳곳에 산재돼 있던 공장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23억4000만원을 투입해 화북공업단지를 설치했다.

31년 전에는 화북공업단지가 제주시 외곽에 있었지만 삼화지구가 개발되면서 이젠 도심지 한가운데에 위치하게 됐다.

화북공업단지 이설 문제는 10년전부터 지방선거에서 단골 공약으로 나올 만큼 제주시 동부지역에선 '으뜸 현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체입지 마련이 쉽지 않고, 기업들의 이전 의향도 팽팽하게 맞서면서 쉽지않다고 토로했다.

이양문 도시건설국장은 "단기간 내에 의견을 수합해서 대체입지 마련이 쉽지 않다"며 "어느 정도 공론화가 돼야 대체입지나 계획입지 검토가 가능하다. 결정이 쉽지 않다"고 속내를 털어놓았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