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주지역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 제주 해안가를 오염시킨 해양쓰레기의 절반 이상이 플라스틱류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는 공동으로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해안,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을 기준으로 해안쓰레기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류는 725개로 전체 59%인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유리류 231개(19%), 목재류 149개(12%)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에 의한 쓰레기도 92개로 전체 8%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배출된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수거된 쓰레기의 상당 부분이 페트병류와 어업관련 쓰레기로 나타났다. 특히 어업관련 쓰레기의 경우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됐다. 

외국에서 흘러온 쓰레기는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로, 대부분 어업관련 쓰레기와 페트병으로 파악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플라스틱류 쓰레기가 해양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결과를 도출했다. 특히 플라스틱쓰레기의 경우 마모되고 파손되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하는데 이런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인 플라스틱의 경우 해양생물에게 섭취돼 해양생태계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식탁을 위협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크다는 것이 조사팀의 지적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도의 경우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 문제"라며 "미세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를 지난 2017년 9월에 제정하고도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실제 데이터가 제주도의 문제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만큼 해양쓰레기수거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