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자의 교단일기(1)] 아이들과 함께 만든 연하장

2007년 새해를 맞아 제주의소리는 새로운 칼럼을 연재합니다. 고산중 선생님으로 계시는 양영자님의 '교단일기'를 필두로, 오영덕님의 '흙집일기', 곶자왈 작은학교의 문용포님의 '나는 걷는다-길에서 얻는 지혜.길에서 만난 사람', , 하승수변호사의 '자치이야기'가 그것입니다. 네티즌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그 첫번째 스타트를 양영자선생님이 끊어 주셨네요. 감사합니다.[편집자 주]

--------------------------------------------------------------------------

십이월은 학생들에겐 숨통이 트이고, 선생님들에겐 눈코가 막히는 시기다. 학기말 시험이 끝나고 등교시간까지 20여분 늦춰지면서 학생들은 빈둥거리고, 수업시수 확보와 성적처리, 학기말 마무리 등으로 선생님들은 종종거린다. 어영부영하다가 시간을 흘려보내는 것도 이 무렵이다.

우리 학교는 12월 30일에야 겨울방학에 들어가게 되면서 잘 써야 할 시간이 여느 때보다 많았다. 이때 새해 연하장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스승의 날이 돼도, 한 해가 저물어도, 학년 마무리할 때가 되어도 감사편지 한 장 쓰지 않는 게 지극히 당연한 현실이 된 아이들에게, 불편하지만 가르칠 건 가르쳐야 한다는 속내도 있었다.      

   
 
 
학기말고사가 끝나자마자 도우미 학생들을 불러 연하장 만들기에 쓰일 재료를 미리 준비하게 하였었다. 환경정리를 하다가 남은 색지와 켄트지를 모아 두었다가 연하장 크기로 오리게 하고, 겉봉투로 쓸 한지도 규격에 맞게 자르도록 하였다.

준비해 둔 재료를 삼십 명의 학생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주고 색연필, 사인펜, 색지를 활용하여 멋있는 연하장을 만들어 보도록 하였다. 연하장을 보내는 대상은 우리 학교 선생님으로 하되, 한 장도 받아보지 못하는 선생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책임할당제를 적용했다. 각 모둠에 비담임 선생님, 순회교사 선생님, 교감, 교장 선생님 등을 두 분씩 할당하여 연하장을 쓰도록 하고, 그 외에는 각자 자신이 쓰고 싶은 선생님께 쓰도록 하였다.

   
 
 
우편배달부도 뽑았는데 의외로 자원자가 많았다. 처음에 연하장을 보낼 대상을 선생님으로 한정한다는 말에 “왜요?” 하고 못마땅해 하더니, 너도나도 배달부를 한다고 나서는 바람에 가위 바위 보를 불러야 했다.

배달부가 나에게 와서 귓속말을 했다.

 “선생님, 기가 선생님하고 한문 선생님 한 장도 못 받았어요.”
 “그래? 그럼 어떡하지? 이제라도 만들면 안 될까?”

이렇게 해서 두 장의 연하장이 더 만들어졌다. 한 녀석은 수업에 들어가지 않는 선생님이 자신에게 할당되자 ‘한 장도 받지 못할까 봐서 쓴다.’고 써버려 선생님을 민망하게도 했지만, 일부 학생들은 한 선생님께만 보내는 것이 미안했는지 나눠준 종이를 2등분, 3등분 해서 여러 장의 연하장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어떤 녀석은 일 년을 회고하면서 찬찬히 감사의 말을 써내려갔는가 하면, 어떤 녀석은 그 넓은 종이에 ‘2007년 만수무강하세요.’가 전부인 녀석도 있고, 선생님의 이름으로 삼행시를 지은 다음 ‘고맙습니다.’로 끝낸 녀석도 있다.

   
 
 
오랜만에 연하장을 받아보는 선생님들에게는 의외의 기쁨을, 연하장을 만든 아이들에게는 축제의 기쁨을 선사한 아날로그적 새해인사 프로젝트였다.

새해 아침. 나는 육필의 연하장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의 커다란 온도차를 경험하였다.

삑- 삑- 규칙적으로 들리는 수신음 소리에 휴대전화를 들춰보니 자정을 곧 넘긴 시간이다. 잠결에 ‘새해에도 건강하십시오.’ 하는 문자메시지다. 아침 9시를 넘기자 새해의 덕담을 담은 문자메시지가 지속적으로 들어온다. 엄지손가락을 꾹꾹 누르며 답장을 쓰는데, 그 굼뜬 속도를 비웃기라도 하듯 다른 수신메시지가 뜨면서 발신메시지를 가려버린다.

이 속도로는 꽤 시간이 걸리겠다 싶어 인터넷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폰세상은 진기한 이모티콘들과 환상적인 컬러 연하장들로 가득했다. 이들을 화면의 휴대전화 속으로 한 번 클릭한 후 수신자의 휴대전화번호를 계속 입력하기만 하면 순식간에 많은 사람에게 연하장을 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폰세상을 활용해보지 않은 나에게는 엄지로 콕콕 문자를 찍는 것만큼이나 어렵기는 매한가지였다. 몇 번을 시도하던 나는 디지털 새해인사를 그만 포기하기로 하였다. 어렵기도 하거니와, 무엇보다도 서로 다른 사람에게 똑같은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미안함과 양심의 가책이 컸던 때문이다.

   
 
 
나에게도 해마다 십이월이 되면 이십여 장의 연하장을 사들이는 게 주요 송년행사였던 적이 있었다. 한 해 동안 은혜와 배움을 입은 분들과 지인들에게 단 몇 줄의 감사인사라도 써 보내야 마음이 편했고, 연하장을 못 보내기라도 하면 괜히 배은망덕한 사람, 스스로 할 일을 다 하지 않은 사람이 된 듯해서 떳떳이 얼굴을 들 수 없었다. 누구에게 연하장을 보낼 것인지 명단을 뽑아보고, 우체국이나 문방구에 가서 대상에 어울리는 연하장을 고르면서 하루, 만년필에 잉크를 묻혀가며 한 해를 반추하는 연하장을 쓰노라면 꼬박 하루가 더 필요했다. 그런데 5년 전쯤부터는 나도 디지털 인간의 대열에 들어섰다. 연하장을 꼭 보내야 할 사람이 대여섯으로 좁혀지고, 그 대신에 이메일로 연하장을 보내기 시작했다. 그러더니 올해는 단 두 장의 연하장을 사 놓고도 망설이기만 하다가 결국 쓰지 못하고 말았다.

   
 
 
연하장은 생각과 마음을 전하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이다. 지난 한 해를 돌아보고 새해의 바람을 담아 보내는, 나와 타인을 이어주는 끈끈한 메신저다. 그런데 디지털 새해인사는 아날로그 새해인사에 비해 살결 냄새나 체온이라는 것이 덜 느껴진다. 디지털 새해인사에는 화려한 기술은 있되, 쓰는 이의 정성과 노력은 덜 와 닿는다. 아날로그 새해인사는 글씨체와 행간을 통해 따뜻한 숨결을 전해주는데, 디지털 새해인사는 잘 차려 입은 쇼윈도 마네킹의 매끄럽지만 차가운 촉감을 전해줄 뿐이다. 생각만 하고 쓰지 못하는 것에야 비길 바가 못 되지만 말이다.

아날로그적 새해인사의 회복, 이것이야말로 이 시대 휴머니즘의 회복이 아닐까 하는 반시대적인(?) 생각을 해본다.

[ 문학박사, 고산중 교사 ]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