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jpg
▲ 제주4.3도민연대가 6일 오후 3시 제주시 허니크라운호텔 별관 2층에서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를 진행하고 있다.
도민연대,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생존자‧유족 80% “수형인 등재 인정 못해”

목포형무소 4.3 수형인과 유족 중 99%가 당시 정식재판을 받은 사실조사 몰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80%는 수형인 명부 등재내용을 인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

제주4.3도민연대는 6일 오후 3시 제주시 허니크라운호텔 별관 2층에서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를 열었다.

강미경 4.3조사연구원은 이날 수형인명부에 등재된 목포형무소 수형인 600여명 중 생존자와 유족 등 5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목포형무소 제주 수감자는 1947년~1948년 일반 재판을 받은 120여명과 1948년 군사재판으로 수감된 290여명, 1949년 군사재판으로 옥살이를 한 210여명 등 모두 600여명에 이른다.

1949년 9월 형무소 탈옥사건이 발생하면서 일반재판 26명과 군사재판 26명 등 정부 발표기준 52명이 숨졌다. 이마저 생존자의 진술과 달라 더 많은 사람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1.jpg
▲ 제주4.3도민연대가 6일 오후 3시 제주시 허니크라운호텔 별관 2층에서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를 진행하고 있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당시에는 약 400여명이 수감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들의 행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시신은 수습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1.4%는 체포 당시 집에 있었다고 답했다. 연행된 이유에 대해서는 56.4%가 ‘사유로 모른채 아무런 이유 없이 잡혀갔다’고 응답했다.

당시 희생자들이 정식재판을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99.5%가 ‘재판을 받지 않았거나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재판을 받았다는 응답자는 0.5%에 불과했다.

희생자가 제주에서 배를 타고 목포형무소로 향한 사실에 대해서도 81.3%가 몰랐다고 답변했다. 인편이나 소포, 편지 등을 통해 전해 들었다는 응답자는 9.2%에 머물렀다.

수형인명부에 대해서는 80.2%가 인정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75.3%가 ‘아무 이유없이 잡혀서 등재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3.jpg
▲ 제주4.3도민연대가 6일 오후 3시 제주시 허니크라운호텔 별관 2층에서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를 진행하고 있다.
국가를 상대로 한 소송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4.9%가 소송에 참여의사를 내비쳤다. 소송 방식은 49.2%가 집단 소송, 35.3%는 유족회를 통해서라고 답했다.

4.3희생자 결정으로 명예회복이 됐냐는 질문에는 74.%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사유에 대해서는 59.0%가 법적 명예회복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4.3해결 과정에서 가장 미흡한 점으로는 44.7%가 진상규명을 꼽았다. 이어 30.3%가 배상과 보상, 7.1%가 유해발굴사업, 2.6%가 행불인 조사와 화해와 갈등이었다.

도민연대는 이어서 제주4.3과 여순항쟁 70주년 토론회를 열었다. 이 행사에서는 여순사건 연구가인 주철희 박사가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 조성윤 제주대 사회학과 교수의 사회로 박찬식 제주학연구소장과 현덕규 변호사, 최성문 순천대 여순연구소 연구원, 양동윤 4.3도민연대 대표의 토론이 이어졌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