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보수체계 조정 찬성 62표-반대 61표 과반 실패 ...탐라대 매각대금 대부분 소진 '어쩌나'

[기사수정 2017.05.18 08:26] 옛 탐라대 부지를 매각한 제주국제대학교가 대학 정상화를 위해 교직원들의 임금까지 삭감하는 자구책을 마련했지만 단 몇 표차로 희비가 갈렸다. 

제주국제대학교는 16~17일 ‘2017학년도 교직원 보수체계 조정(안)’에 대한 교직원 투표를 진행했다. 130명 중 124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62표, 반대 61표, 무효 1표가 나왔다. 6명은 기권했다.

교수들은 상대적으로 찬성표가 많았지만 직원들은 반대가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표차가 1명에 불과할 정도로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찬성측은 대학을 위해 개인의 손해는 감수하겠다는 결단을 내렸지만, 반대측은 퇴임에 따른 지급액 감소 등을 걱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교직원 중 찬성이 47.7%로 과반이 안되면서 대학 선거관리위원회측은 기권을 포함해 반대가 51.5%로 과반을 얻은 것으로 판단해 대학측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충석 총장이 과반 실패시 퇴진하겠다는 의사까지 교직원들에게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그의 거취도 주목된다.  

이번 논의는 옛 탐라대학교 부지 매각 이후에도 인건비 등 각종 지출이 증가하면서 대학 재정이 다시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대학측은 재정건전성을 통한 대학정상화를 위해 보수체계 조정이 시급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직원들을 상대로 수개월간 설득작업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충석 총장은 궁즉변(窮卽變) 변즉통(變卽通) 통즉구(通卽久),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며 통하면 오래간다’는 주역 구절까지 인용하며 교직원 참여를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국제대는 2016년 6월 옛 탐라대 부지 2필지 31만 2217㎡와 건물 11개동 3만 316㎡를 제주도에 팔아 415억원9500만원을 교비 수입으로 확보했다.

대학측은 이중 150억여원을 2012년부터 밀린 급여 지급에 사용했다. 금융권에 갚은 부채도 90억여원에 달한다. 법정부담금과 시설개선비를 내치고 남은 돈은 70억원 안팎이다.

고 총장 취임 이후 학생 충원율이 다소 높아졌지만 등록금 수입 대비 인건비와 시설투자 등 지출액이 많아 이마저 곧 바닥을 드러낼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2015년도 제주국제대 신입생 충원율은 52.3%지만 중도 탈락자가 많아 학생정원 3200명 중 재학생은 1186명으로 충원율이 37.1%에 불과했다.

2016년에는 신입생 충원율이 71.9%까지 올랐지만 전체 학생 충원율은 47.6%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해 한라대는 120.5%, 제주대는 113.1%, 관광대는 92.9%였다.

제주국제대는 경영진 횡령 등으로 위기에 처한 뒤 경영부실대학교로 지정된 동원교육학원 산하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교를 통합해 2012년 3월 문을 열었다.

통폐합 이후에도 임원 간 분쟁으로 이사회가 파행되면서 내분을 겪었다. 제주도는 2013년 9월 임원 취임 승인을 취소하고 2016년 10월 8명의 새로운 이사진을 꾸렸다.

대학측은 조만간 교직원 보수체계 조정(안)에 대한 투표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대학 재정자립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후속조치에 나설 계획이어서 대학이 난국을 어떻게 돌파할지 관심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