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NOTICE

본문영역

나도기자다

제목

(기고)청렴과 신독[愼獨]

닉네임
주민복지과
등록일
2019-12-20 10:15:33
첨부파일
 이주하.jpg (30964 Byte)

공무원에 대한 외부의 시선은 곱지 않다. 하나의 예로 공무원 연금에 대한 화제가 나오면 대다수 이들은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시간을 IMF 이전으로 돌려 보자! 국가의 경제는 활황을 거듭했고, 그 당시 공무원의 지위는 누구도 알아주지 않았다. 그러나 국가 부도를 경험한 이후 안정적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는 공무원은 선망의 대상인 동시에 항상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검증의 대상이 되었다. 그만큼 누구도 어떻게 할 수 없었던 시대의 상황에 따라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도덕성은 높아진 것일까? “아니다.”라고 나는 주저 없이 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시간이 흘러도 바뀌지 않는 절대적인 사실이, 공무원은 국민의 공복[公僕]이라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무엇을 추구하느냐를 기준으로 분류하자면 가치 추구형이익 추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윤을 추구하는 사람은 사업 등을 해서 고용을 창출하고 소득을 늘려 국가에 기여할 것이고,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은 국민에 대한 봉사를 통해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본다. 이 두 가지 선택에서 공무원은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민간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는 국민이 선택할 수 있지만, 공공재는 국민들이 그냥 받아들어야 하기 때문에 공무원에게 높은 수준의 청렴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공무원의 도덕성과 청렴은 삶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

 

조선의 선비는 대학과 중용의 학문을 배움에 있어서, 성현의 말씀을 실천하는 것을 항상 최우선으로 보았다고 한다. 그래서 관직에서 물러난 이황조차도 아직도 나는 수신[修身]을 이루지 못했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조선의 선비들이 수신[修身]의 대상으로 삼은 성현의 가르침은 무엇일까? 그것은 신독[愼獨]이다.

신독[愼獨]이란 다른 사람이 보거나 듣는 사람이 없는 곳에 혼자 있는 때에도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이나 생각을 하지 않는 마음과 태도를 말한다. 이러한 신독을 늘 마음속에 가지고 업무에 임하는 것이 공무원이 가져야 할 삶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이 덕목을 완벽하게 따를 수는 없겠지만 항상 신독의 자세로 공무에 임한다면 청렴과 정직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공무원의 기본 덕목은 자연스럽게 나의 일상이 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작성일:2019-12-20 10:15:33 211.184.19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