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을 제외하고 평시 작전 중 최대 숫자인 53명이 한꺼번에 사망하는 사건이 1982년 2월5일 발생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 경호를 위해 이른바 '봉황새작전'을 펼치던 특전사 대원 등 53명을 태운 수송기가 한라산 1060m 고지에서 추락, 수송기에 타고 있던 군인이 전원 사망했다. 천안함 침몰 사고 때보다 무려 6명이 더 숨졌지만 여전히 정부와 군 당국은 실체적 진실을 밝히지 않고 있다. <제주의소리>가 사고 30년을 맞아 4회에 걸쳐 '봉황새작전'을 연재한다.

[뉴스 後]① 1982년 전두환 대통령 경호 특전사 수송기 한라산서 추락

▲ 1982년 2월5일 한라산 개미등 계곡에서 추락한 C-123 공군 수송기. 이 사고로 특전사 대원 등 53명이 전원 사망했다. <사진= 서재철 전 제민일보 부국장>
30년이 지나도 눈물샘은 마르지 않았다. 하루아침에 사랑하는 아들, 남편을 잃은 유족들은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지난 5일 오전 10시 한라산 관음사 등반로 옆에 특전사 ‘충혼비’에서는 한라산에서 희생된 특전사 장병 53명을 위한 30주년 위령제가 열렸다.

이날 위령제에는 공수부대 여단장과 특전사 대원, 특전사 동지회와 제주지역 기관단체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위령제는 사고로 목숨을 잃은 유가족 18명이 참석해 눈길을 모았다.

30분간의 의례적인 행사로 추모식은 마무리됐다. 하지만 희생자 유족들은 여전히 자신의 아들과 남편이 숨지게 된 이유를 정부로부터 듣지 못했다.

▲ 한라산 관음사 특전사 충혼비에서 30주년 추모제가 지난 5일 열렸다.
# 전두환 경호 위해 출동한 공군 수송기 한라산에서 추락...53명 전원 사망

특수전사령부 707대대 소속 특전사 대원 47명과 공군 6명은 1982년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수송기 C123기에 탑승했다.

제주국제공항 준공식과 제주도 연두 순시를 앞둔 전두환 전 대통령을 경호하기 위해 특전대원들을 미리 태워 출발시킨 항공기다. 이날 성남공항에서는 3대의 공군 수송기가 내려왔다.

하지만 가장 먼저 출발한 공군 수송기는 목표지점인 제주공항에 착륙하지 못하고 한라산 1060m 고지 개미등 계곡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특전대원과 공군 53명이 전원 사망했다.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등 전쟁을 제외하고 평시 작전 중 가장 많은 군인들이 한꺼번에 숨지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이 사건은 지난 2010년 발생한 천안함 사건보다 더 많은 인원이 숨졌다.

한국 최고의 군인인 특전사 대원이자, 대통령 경호 작전 ‘제주 봉황새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수송기에 몸을 실은 이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죽는 순간부터 철저하게 은폐되고, 숨겨졌다.

한라산 개미등 계곡에서 추락한 C-123 수송기 잔해
# 휴지처럼 구겨진 수송기...널려진 특전사 대원 사체 ‘참혹’

특전사 대원들을 태운 수송기가 추락하자, 나머지 2대의 수송기를 타고 온 특전사 대원들이 철통보안 속에 수색작업을 진행했다.

당시 수색대장은 최모 소령. 특전사 수색대는 6일 새벽 3시부터 한라산을 잘 아는 국립공원관리사무소 직원 양송남씨(60)와 함께 수색작업을 펼치다 산악훈련을 하던 공주사대 산악부의 결정적인 제보로 오후 4시30분 정도에 1060m 고지 개미등 계곡에서 추락한 수송기를 발견했다.

양씨는 <제주의소리>와 만난 자리에서 “비행기가 추락하면서 울창한 숲의 나무들이 잘려나갔어요. 수송기는 휴지조각처럼 구겨진 채 발견됐어요. 사고현장은 무척 참혹했습니다. 시신들이 갈기갈기 찢겨 있었어요. 항공기는 여러 차례 폭발한 듯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습니다”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또 그는 “수색대장인 최 소령의 지휘아래 특전사 대원들이 쌀포대로 시신을 수습했어요. 불에 탄 사체들이 조각나 있었기 때문에 누가 누구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하게 훼손됐었다”고 덧붙였다.

양씨는 “당시 최 소령은 저에게 ‘민간인으로 처음 목격한 것이니 절대 외부에 발설하지 말라’고 요구했다”며 “당시 군사정권 아래에서 그 말을 듣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특전사 수색대는 6일과 7일까지 이틀 동안 마대자루에 시신 53구를 급하게 수습하는 선에서 수색작업을 마무리했다.

▲ 한라산 관음사 특전사 충혼비에서 30주년 추모제가 지난 5일 열렸다.
# 속전속결 장례식, 유족과 국민에게 허위 발표

국방부는 사고 이틀 후인 7일 유가족에서 사망사실을 알리고, 9일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 유해를 안치했다.

특히 국방부는 유족들에게 전두환 대통령 경호 업무가 아닌 ‘대침투훈련’ 중 사망이라는 허위사실을 알렸다.

또한 국방부는 사고 후 넉달만인 6월2일 “육군 7787부대장병 47명과 공군 제5672부대 소속 승무원 6명 등 53명을 태우고 훈련지역인 제주도 해안에 도착, 착륙을 시도하던 중 갑자기 강한 북서풍에 의한 이상기류에 휘말려 한라산 정상 북쪽 3.71km 지점에 추락, 전원 순직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특전사 충혼비 안내문.
전두환 전 대통령 경호임무인 ‘제주 봉황새작전’이 간첩 침투를 막기 위한 ‘대침투훈련’으로 바뀐 것이다.

실제로 한라산 관음사에 있는 특전사 충혼비를 안내하는 표지판에도 “1982년 작전임무수행 중 항공기 추락사고로 한라산 중턱에서 순직한 국군장병 53명의 영혼을 추모하기 위해 특전사 장병들이 뜻을 모아 충혼비를 세웠다”고 적시돼 있다.

유족들은 이구동성으로 국방부의 허위발표에 대해 분노를 표시하고 있다.

이재영(85) 특전사 제주 2.5유족회장은 “국방부와 특전사에서는 대간첩침투작전을 벌이던 중 사망했다고 발표했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며 “전두환 전 대통령 경호를 위해 무리하게 ‘제주 봉황새작전’을 수행하다 수송기가 추락, 사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30년이 지났지만 정부는 아직도 이 사건에 대해 실체적 진실을 밝히지 않고 있다”며 “자신의 경호를 위해 목숨을 잃었는데도 전두환 전 대통령은 단 한번도 유족들에게 사과를 하지 않았다”고 분노했다.

사고 당시 아들 돌을 맞았던 故 김준식 소령의 미망인 최광선씨(57)는 “사고 현장을 보여달라고 해도 전혀 보여주지 않았다”며 “5일만에 장례를 치르게 하고, 사고 후 100일만에 충혼비를 세운 후 사건을 마무리했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호를 위해 53명의 특전사 대원의 목숨을 앗아간 ‘제주 봉황새작전’은 유족들에게 아직도 진행형이다. <제주의소리>

<이승록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