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국 풍력산업의 활성화 방안' 토론회서 "연계 기술 개발만이 살 길"

전 세계가 '바람' 붙드는 데 혈안이다. 최근 아시아 지역은 떠오르는 풍력시장으로서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그 한 가운데 '바람의 섬' 대한민국 제주도가 놓여있다. 섬 전체가 탄소 없는 섬으로 거듭나기 위해 20년에 걸친 '2030 카본 프리 제주 플랜'이 진행 중에 있다.

제1회 아시아풍력에너지박람회(Wind Energy Asia 2013, 약칭 WEA2013)가 2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가운데 국회 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이 주최하는 '한국 풍력산업의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패널로 김선우 제주도 환경부지사, 이관섭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 안남성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 황주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홍의락 의원(지식경제위원회 소속)이 둘러앉았다.

좌장은 한경섭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회장이 맡았다.

 

▲ 제1회 아시아풍력에너지박람회가 2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가운데 국회 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이 주최하는 '한국 풍력산업의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제주의소리

먼저 김선우 환경부지사가 제주에서 펼치고 있는 '2030 카본 프리 아일랜드 조성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계획에 따르면 2020년까지 해상풍력 300MW를 개발해서 5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2030년까지 해상풍력 2GW를 개발해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한다.

또한 현재 제주시 구좌읍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오는 2014년까지 제주시 도심까지 끌어들이고 2020년까지 제주 전역을 스마트그리드로 조성한다.

제주도는 전기자동차 보급률이 전국 1위다. 점차 대중교통, 민간부분까지 확대해 2020년까지 제주지역 자동차 30%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100%로 넓혀가는 내용까지 포함됐다.

김 부지사는 "해상풍력 조성사업에 10조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이어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3000억, 전기자동차 사업에 2000억 정도의 예산이 들어간다. 계획이 완료되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가 90%이상 감축되고 4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제주의 산업구조가 획기적으로 바뀌고 일자리 창출까지 목표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카본 프리 2030계획은 '제주 전력의 자급화'라는 의미도 띠고 있다.

김 부지사는 "현재 제주의 전력은 해저 송전 터널을 통해 받고 있고 올해 3월 2호해저연계선이 완공된다. 그러나 해저연계선에서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육지부 전력 사정이 안 좋을 때는 공급되는 줄어들 수밖에 없어서 제주의 전력난이 생기는 문제를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2017년도에 제3해저연계선을 지으려다 과연 이것이 전력부족현상을 극복하는데 궁극적 해답이냐는 의문에 LNG발전소를 짓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 제1회 아시아풍력에너지박람회가 2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가운데 국회 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이 주최하는 '한국 풍력산업의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은 안남성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의 발표 장면. ⓒ제주의소리

곰곰 따져보면 '풍력'을 내다 파는 문제까지도 뒷받침이 돼야 한다. 때문에 황주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의 주장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순히 자급하는 데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가치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대해 조언했다.

황 원장은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핵심은 풍력이다. 풍력과 다른 기술을 융복합화해서 제대로 풍력 산업을 확대시킬 수 있느냐가 큰 숙제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그가 몸담고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국내 최초로 10kw, 100kw 1500kw 풍력기기를 개발했다. 국내 최초로 제주 김녕에 3만평 부지에 달하는 제주글로벌연구센터를 세웠다.

황 원장은 "단지 전력 생산만을 위해서가 아니고 다른 용도의 풍력 산업 확대를 해볼 수 있지 않겠나. 신재생에너지를 가리켜 투입대비 산출이라는 경제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른 돌파 기술이 개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 원장의 주장에 따르면 풍력을 통한 전기 장치만으로는 미래가 없다. 연계 기술을 활성화해야 발전할 수 있다. 풍력 생산만에 그칠 것이 아니라 수소 연료, 해수 담수화, 전기 저장장치 등의 연구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그는 이어 "해상풍력장치는 설치도 어렵지만 그 이후 유지 보수는 육상 풍력보다 훨씬 어려울 것이고 따라서 파생되는 비즈니스는 훨씬 많을 것이다. 해상 풍력 자체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지보수는 해외에서 어떻게 준비되는지 미리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안남성 원장은 "우리나라는 산업국가지만 수출 드라이브 정책, 내수시장만으로는 풍력 산업도 부족하기에 항상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둬야 한다. 해외 수출 위주로 산업계가 움직여야 한다. 국내 인증가지고는 신뢰성이 없기에 해외업체 참여를 통해 인증사를 끌여들여 실효성을 향상시키고 기술도 향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국 풍력산업의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 ⓒ제주의소리

풍력발전을 가리켜 황금알을 낳는 사업이라고도 한다. 눈독 들이는 기업도 숱하다. 그러나 '인허가'의 벽 넘기는 좀체 쉽지가 않다.

홍의락 의원은 "지식경제부의 보고에 따르면 풍력 관련 사업 중 인허가 단계에서 멈춘 것이 53건이다. 환경과 관련된 각종 인허가 문제로 많은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해상 풍력 건설하기 위해서는 40여개의 달하는 건수가 묶여있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홍 의원은 "부처별로 한두 건 해결한다고 달라지지 않을 것이고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합한 법조항을 만들 필요가 있다. 대국민 수용도 고료하고 입지 선정이나 난개발 방지도 할 수 있는 조항을 만들어서 신재생에너지 원스톱으로 할 수 있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제주의소리>

<김태연 기자 / 저작권자ⓒ제주의소리. 무단전재_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