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2010년 매각 김녕리 도유지 3만㎡ 환매 결정…“사업부지 활용 원점 재검토”

세계적 명문 과학기술대학인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가 추진하던 제주지역 연구시설 설립이 사실상 무산됐다.

1.JPG
▲ 2009년 2월 당시 김태환 지사와 서남표 KAIST 총장이 제주 모바일하버 연구시설 도입 등 공동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도는 지난 2010년 12월 카이스트 모바일하버 연구소 예정 부지로 카이스트에 매각한 구좌읍 김녕리 소재 도유지 2필지 2만9853㎡를 환매하기로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매각 당시 제주도는 올해 말까지 해당부지가 사업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용도 폐기될 경우 환매(제주도가 다시 매입)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제주도는 카이스트에 수차례 사업 시행을 촉구했고, 올 들어 두 차례에 걸쳐 6월까지 착공하거나 사업 포기 결정을 요구했다. 하지만 카이스트가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을 제출하지 않음에 따라 환매하기로 결정했다.

카이스트는 당초 모바일하버 연구시설 및 연수원 설립에서 힐링로봇연구센터 설립으로 변경해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도 제출하지 않았다.

‘모바일하버’ 사업은 항구에서 바다로 이동이 가능한 부유체가 대형 컨테이너를 실은 선박에 접근, 컨테이너를 하역한 후 이를 항구로 옮기는 차세대 수송시스템으로 ‘이동 부두’로 불린다.

제주도는 목적사업 변경에 다른 검토와 절차 이행, 설계, 인·허가 등의 절차에 따른 소요기간을 감안할 때 연내 착공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앞서 제주도와 카이스트는 지난 2009년 2월 협약기간 3년으로 그린자동차 보급·모바일하버 연구시설 도입, 기타 공동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모바일하버 연구시설 지원사업비로 2010년도 예산에 10억원을 반영했지만 카이스트에서 사업비 60억원을 조달하지 못해 사업에 착수하지 못하자 이를 불용 처리했다.

2012년에는 카이스트가 당초 계획 이상의 사업재원 확보를 위해 사업추진 준비기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협약기간을 2년 연장해주는 등 사업 정상화를 위해 편의를 봐줬다.

민선6기 도정이 출범한 뒤인 지난해 8월에는 사업 정상화를 위해 카이스트 측과 접촉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지 못했고, 결국 사업부지에 대한 환매 결정으로 귀결됐다.

양기철 국제통상국장은 “향후 제주 미래 가치를 높이고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사업부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원점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