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8219.JPG
▲ '인문의 바다' 네 번째 강연자로 나선 송하경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제주의소리

[인문의 바다] 네번째 강연...송하경 명예교수 "박학하면 뭘 하나? 행동해야지"

서예가 우산(友山) 송하경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가 제주에서 넌지시 한 마디를 던졌다.

“동양의 한자문화권 한국. 서양 문화권은 정치, 예술, 학문 등 모든 요소를 다르게 본다. 하지만 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예술 등 모든 사회적 요소들은 소통한다. 결국 인간이다”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APOCC, 원장 주강현)과 [제주의소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인문의 바다' 네 번째 강연이 28일 오후 6시30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 산귤재(납읍로 6길 21-4)에서 열렸다.

이날 강연자로 나선 송 교수는 ‘인문의 바다에서 동양철학과 예술을 말하다’를 주제로 강연했다.

송 교수는 강암(剛菴) 송성용 선생의 아들로, 강암 선생의 뒤를 이어 글씨와 학문을 공부해왔으며, 동양예술학회 회장 등을 맡기도 했다. 그의 동생은 송하진 전북도지사다.

송 교수는 “한자문화권 나라들의 학(學)은 인문학이라고 볼 수 있다. '사서삼경'조차 인문학이다. 결국 인간애(人間愛)와 인문학 없이 동아시아도 없다. 인간애와 인문학을 빼면 동아시아가 무너진다”고 강조했다.

한자문화권 국가 사회 모든 요소는 인문학이 기초라는 것이다. 결국 서예의 한 글자, 한 글자로 사회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다.

송 교수는 “애플 창업주 스티브 잡스는 자서전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MS)는 비난 받아 마땅하다. MS의 DNA에는 인간애와 인문학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간결한 디자인과 터치 패널을 도입한 아이폰을 만들었다. 휴대전화의 개념을 뒤바꿔버렸다”고 설명했다.

IMG_8221.JPG
▲ 인문의 바다 강연장. ⓒ제주의소리

이어 “과거의 디자인은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아름다움을 위해 군더더기를 추가했다. 지금은 다르다. 아이콘(Icon)만 보더라도 그 기능과 관계된 단순한 디자인이다. 이런 디자인은 서예의 단순성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잡스가 동아시아 인문학과 서예미학의 핵심을 잘 파악했다는 것”이라고 잡스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내놓았다.   

송 교수는 “'세계'라는 것은 커지고, 작아지는 것을 반복한다. 세계는 '내 마음에 영향을 주는 범위'다. 그 범위는 사람마다 다르고, 상황, 시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지금 나의 세계는 강연하고 있는 지금 이곳”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든 존재는 겉보기에 독립됐지만, 내면을 보면 생명의 기운으로 소통한다. 동아시아 인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이 병들면 인간이 병들고, 인간이 병들면 자연이 병들어 간다”며 “우리 생명들은 사랑의 기운을 갖고 새로운 생명을 창조한다. 아이를 낫고 기르는 것이 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송 교수는 지행합(知行合)을 강조했다.

그는 “박학(博學)하면 무얼 하나. 행동을 해야 한다. 박학 없는 행동은 없고, 행동 없이 박학도 없다. 가만히 앉아 공부만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한 것을 토대로 행동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간애가 그 행동의 중심 요소여야 한다고도 했다.

송 교수는 “철학, 종교, 학문 등 모든 것들이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어난 산물이다. ‘무엇이 바람직한 삶인가’에 대한 답을 주기 위한 출발점이 다른 해결방안들”이라며 “결국 도착점은 인간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IMG_8226.JPG
▲ 송하경 교수. ⓒ제주의소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