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 17일, 제주의 시인·작가·평론가 등 문인을 포함한 17명의 답사팀이 인천공항을 떠났다. 바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천혜의 호수, 바이칼호를 만나기 위해서다. 이 거대한 호수가 품은 이야기들은 그들에게는 너무도 매력적인 것이었을터. 3박 5일간의 짧은 일정 속에서 문무병 시인이 느낀 감흥들을 세 차례로 나눠 싣는다. [편집자 주]

[문무병, 바이칼호를 가다] (1) 천해(天海)를 향하다

1.jpg
▲ 바이칼에 몸을 씻으면 영원히 젊어진다는... ⓒ 문무병.

바이칼의 의미

그처럼 크고 웅장한 호수 바이칼을 본 적이 없었던
제주의 샤먼, 큰 심방 어른들도
저 세상, 저승이라 부르는 하늘, 아래 있다는
너무 멀고 아득한 바이칼에 온몸을 던져 영혼을 헹궈야,  
저승가는 길, 하늘올레가 눈에 보인다 하였고,  
하늘 올레를 안내하는 질토래비 신소미[少巫]들은
그곳은 이승이 끝나고 저승이 시작하는 황량한 벌판,
‘미여지벵뒤’인데, 그 끝에 있는 송곳같이 뾰족한 곶,
왁왁한 흑수바다에 풍덩하고 빠지면, 그곳이
바이칼의 미여지벵뒤, 저승마차 우아직을 타고 가야
갈 수 있다는 바이칼의 하늘올레라 하였지.
 
바이칼이 설레임이었을 때부터 우리는
바이칼은 1만 년의 역사를 담고 흘러 온 ‘민족의 시원’이며
하늘 옥황 삼천천제석궁 천계에 사는 신, 텡그리들과
땅 인간의 세계를 넘나들며 신과 인간에 다리를 놓으시는
신성한 존재, 인간을 닮은 신, 하늘에 굿을 하는 심방,
샤먼이 하늘의 신들과 땅의 인간들을 모아
천제(天祭), 하늘굿을 벌이는 제사터,
하늘 바다, 천해(天海)가 바이칼이라는 것을
아, 나는 오늘도 기적처럼 바이칼을 꿈꾸며,
바이칼 호수에서 제일 큰 섬, 제주도만큼 큰
아름답고 황량한 알혼섬에서 이틀을 살았다네.

샤머니즘의 거룩한 성소 바이칼,
원시의 바다, 하늘 올레 바이칼을 생각하네.
바이칼의 ‘바이’는 ‘샤먼’의 뜻,
샤먼이 스스로를 지칭하거나 사람들이 샤먼을 부르는,
‘Bo’ 에다가 호격형태 접미사 ‘i’와 ‘ai’ 등을 붙여서
이루어진 만년의 신비를 담은 영적인 말,
샤먼의 의미를 담은 ‘바이(Bai)’에
‘물을 담고 있는 골짜기’란 뜻의 ‘칼’을 붙여 완성된 ‘바이칼’
시베리아의 바이칼 사람, 부리야트 사람들의 붙인
호수의 이름에 샤먼을 뜻하는 바이(Bai)를 붙였으니
바이칼은 샤머니즘 신앙의 대상이자 주체가 되어   
원시의 바다, 낭만의 바다, 풍요의 바다는
바이칼이란 영적인 이름을 획득하면서부터 
샤먼들은 삶과 죽음에 밀접한 관련을 맺어
한없는 동경과 함께 감동과 두려움에 떨며 영혼을 울리는
결국 바이칼은 샤머니즘이 만들어진 샤먼의 땅,
신도 인간도 범할 수 없는 샤먼의 호수가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몽골인들이나 바이칼 주변의 바이칼인들에게
바이칼의 의미를 다시 물으면,
바이칼은 또 새로운 의미를 담아
‘풍부한 바다’, ‘풍요로운 호수’, ‘부자 호수’라 하네. 
샤먼의 ‘바이’는 또  ‘풍부’를 뜻하는 형용사이니,
의미의 근저에 ‘위대함’과 ‘신성함’ 으로서의 ‘풍부’가 서려 있나니
‘바이’에는 단순히 물질적인 자연조건의 풍성함을 넘어서
샤먼적인 신비가 포함되어, 샤먼을 의미하는 뵈(Bö)에서
‘베푸는’, ‘위대한’, ‘높은’, ‘큰’ 등의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
바이(Bai)로 바뀌고, ‘풍부성’이란 표상적 의미가 되어
아름다운 일상어 ‘바이칼’이 완성됐다 하네.

2.jpg
▲ 부르한 바위. ⓒ 문무병

바이칼의 신목(神木) 세르게

하늘 호수, 천해(天海) 바이칼을 찾아가는
순례자에게 성소(聖所)의 상징으로 다가오는 우주목(宇宙木),
바이칼의 신목 ‘세르게’는 나를
제주에서 온 샤먼이라 불러주었지.
나는 성역 안에 세워진 나무기둥을 알아보고
저건 시베리아 원시의 초원에 세워진 우주목,
하늘 올레, 노각성자부연줄, 줄다리 입구에 세워진 당나무,
바이칼의 성황당, 제주의 본향당의 신목이라 하니,
모두들 세르게를 다시 보며 놀라고 좋아하였다.
바이칼의 순례자가 되어 세르게를 다시 보니,
세상은 천해 바이칼의 두려움 앞에서 새롭게 보이기 시작했다.

세르게에 감겨진 물색 천과 주위의 성물들을 보며,
제주 본향당 신목과 신목에 걸린 지전물색을 생각하고,
여기저기 세워진 바이칼의 세르게를 다시보고 감동하였다.
나무를 깎아 세운 우주목 세르게에는
몸통엔 천 조각들과 오색 끈들이 묶여있고,
세르게를 세우지 않은 키 작은 잡목에는
본향당 신목에 걸려있는 지전물색이 걸려 있었으니
우리들은 민족 만년의 역사와
영들의 울음소리가 서려있는 바이칼의 세르게에서 
탐라 2000년 당오백 속에 남아 전하는
원색의 제주, 본(本)을 풀어 전하는 샤먼의 음성을 들었다.
바이칼은 분명 우리 조상이 땅인게(땅이군).
구짝(곧장) 정말 잘 찾아와싱게(찾아왔구나).

세르게는 나무를 깎아 세 부분으로 홈을 나누어
제일 위는 하늘, 중간은 샤먼, 아래는 땅이라 하였다.
세르게가 없는 곳은 제주의 당나무와 지전물색이 있었다.
몸통에 천 조각들과 물색 끈들을 묶어 세르게라 하는데
나무가 자란 곳에는 제주도의 신당처럼 지전물색을 걸어놓고
성황당이라 하였다. 그건 제주의 이렛당이었다.
만년의 세월을 품고 있는 바이칼의 세르게는
제주의 마을마다 있는 본향당과 너무 닮았다.
제주와 바이칼은 모두 샤먼의 성지였다.
연필처럼 깎아 세운 우주목 세르게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샤먼 세계의 수직구조를 설명한다.

맨 위는 하늘, 아래는 땅, 그리고 중간은 샤먼의 세계,
아니면, 우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맨 위는 하늘, 중간은 땅, 아래는 지하라고.
하늘에는 신중의 신, ‘영원한 푸른 하늘’이란 신이 있는데,
하늘에 존재하는 부리야트인 최고의 신이다.
부리야트인들은 이 신을
‘후헤 문헤 텡그리 Xuxe Munxe tengri’라고 부른다.
우리 말로 번역을 하자면 ‘영원한 푸른 하늘’,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
우리나라의 하느님 ‘상제’와 같은
후헤 문헤 텡그리라는 천신
샤먼 세계에서의 하느님이라고

3.jpg
▲ 바이칼의 성황당 세르게. ⓒ 문무병

저승길에 우아직을 타고

바이칼 알혼섬 북단(北端) ‘호보이 곶’은
바이칼의 샤먼들이 영성을 충전하는 곳이라 한다.
호보이 곶의 거대한 바위가 천상신의 옆모습을 하고 있어
샤먼들은 여기 와서 기도를 드리기 때문에
바이칼의 부리야트 사람들은
호보이 곶을 ‘샤먼의 고향’이라 부른다.
알혼섬의 후지르 마을을 떠나 북녘 끝, 호보이 곶 가는 길은
오감으로 그릴 수 없는 저승길이었으니 우리는
바이칼 알혼섬의 북녘 끝에 있는 호보이 곶을
이승을 떠난 망자가 저승 가는 길,
황량한 벌판 끝 가시나무에 생전에 살던 흔적
난리에 죽어 남긴 피 묻은 옷 걸쳐두고 간다는
바이칼의 미여지벵뒤라 불렀다.
알혼섬의 북녘 끝 호보이 곶,
바이칼의 미여지벵뒤 가는 길은
끝이 없으니 하늘 호수 바이칼에 풍덩하고 몸을 던져야
여행자는 아득한 하늘에 이른다 한다.

4.jpg
▲ 구 소련제 지프를 개조한 10인승 중고 승합차 ‘우아직’을 타고. ⓒ 문무병

그러니 차사를 따라 저승가는 망자처럼
여행자는 바이칼의 미여지벵뒤 호보이 곶까지
망자를 저승으로 안내하는 신소미처럼
하늘 길을 안내하는 아름다은 부리야트 처녀와 함께 
2차 대전 당시 사용하던 구형 소련제 지프를
10인승 미니버스로 개조한 ‘우아직’이란 중고차를 타고
우린 길 없는 길 덜컹거리며 달려야 했다.
우아직은 옛날 조상들이 말을 타고 달리던
원시의 구릉을 달리는데 안성맞춤이었지.
알혼섬 북녘 끝 호보이 곶 저승 가는 하늘 올레,
제주사람이 사는 이승과 저승의 중간에 있다는
황량한 벌판 ‘미여지벵뒤’였지.
부리야트 사람은 호보이 곶을 샤먼들이 영성을 충전하는 곳,
샤먼들이 기도하는 곳이기 때문에 ‘샤먼의 고향’이라 했지만,
우리는 그곳은 죽어서 갈 저승이기에 바이칼의 저승올레,
바이칼의 미여지벵뒤라 불렀네.

148705_168508_4855.jpg
▲ 문무병 제주신화연구소장·민속학자.

구릉을 달리는 우아직에 실려 쓰러지며 가는
하늘 길을 안내하는 질토래비 저승차사는 아름다운
바이칼의 신소미 부리야트의 소녀 소피아
오장육부 뒤틀리는 길, 우아직에 저녁이 있는 삶을 싣고,
우리는 바이칼의 끝없는 하늘 길을 달리고 있었다. / 문무병 제주신화연구소장·민속학자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