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생 110주년, 그리고 귀천 32주기. 제주 근현대 문화예술계의 큰 산 ‘청탄 김광추(聽灘 金光秋, 1905~1983)’ 선생이 다시 우리 곁으로 찾아왔다. 서귀포시 소암기념관이 10월3일부터 11월29일까지 ‘청탄 김광추 - 탄향유구(灘響悠久)’ 기획전을 마련했다. 제주 예술사에 있어서 ‘산북의 청탄, 산남의 소암’으로 회자될 만큼 청탄 김광추 선생은 소암 현중화 선생과 함께 근현대 제주 문화예술계를 대표하는 ‘어른’이다. 이번 기획전 도록에 실린 청탄 선생의 소평전을 소암기념관(명예관장 현영모)과 필자인 언론인 김종민 씨의 동의를 얻어 월요일과 목요일에 매주 2차례 씩 연재한다. 빛나는 가을 이 계절에, 삶을 예술처럼 살다간 어른 ‘청탄’ 선생의 깊은 울림과 청아한 향기를 느껴 보시기 바란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자] 

▶ 글 싣는 순서 
①탄생에서 서울유학까지
②일본유학~베일에 가린 일본 체류
③해방과 시련…제주도의원 당선
④대표 예술 없는 종합예술인
⑤삶을 예술처럼, 예술을 삶처럼
⑥어진이, “그믐달 지듯 깨끗이 살고파”

[청탄 김광추 소평전]⑤삶을 예술처럼, 예술을 삶처럼 / 김종민 언론인

청탄 한복.jpg
▲ 청탄 선생은 서예와 전각뿐만 아니라 그림과 사진, 수석과 분재, 여기에다 목공, 도예, 한복에도 조예가 깊었다. 한때 제주읍내에서 멋쟁이 소리를 들으려면 청탄이 만든 한복 조끼를 입어야 한다는 말이 회자될 정도였다. 한복을 입고 글씨를 쓰고 있는 70대의 청탄 선생 모습 / 자료제공 = 소암기념관 ⓒ제주의소리

 삶을 예술처럼, 예술을 삶처럼

<4편에 이어> 청탄의 예술은 서예와 전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많은 작품을 남기진 않았지만 청년기에 심취했던 서양화와 사진은 제주에서 그 분야의 여명을 밝힌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예술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수석과 분재 ‘예술’을 하였고, 난을 키우는 ‘예술’ 뿐만 아니라 제주 최초로 유리 온실을 만들어 각종 희귀식물을 키우는 화훼 ‘예술’을 했으며, 목공 ‘예술’까지 하였다. 

한복 만드는 ‘예술’도 하여 제주읍내에서 멋쟁이 소리를 들으려면 청탄이 만든 한복 조끼를 입어야 한다던 시절도 있었다. 한복에 조예가 있어선지 그는 바느질과 뜨개질 하는 ‘예술’도 잘했다.※31
 
또한 도자기를 만드는 ‘도예’도 하였다. 소암 현중화는 청탄이 도예에도 손을 대 마당에 직접 굴을 만들어 화분을 굽기도 했다면서 “문기선 교수에게 (도예를) 해보라고 여러 번 권했지만 문 교수가 하지 않았기 때문에 김승근 씨가 대신 시작했다.”고 회고했다.※32

유리온실.jpg
▲ 청탄 선생은 화북동 자택 마당에 제주 최초로 유리 온실(빨간 원)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각종 희귀식물을 키워 지인들에게 선물하곤 했다. / 자료제공 = 소암기념관 ⓒ제주의소리

이처럼 청탄이 워낙 다양한 예술을 한 까닭에, 그의 예술세계와 예술관이 어떠한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어느 날 문학평론가 송상일이 필자에게 청탄의 일대기를 써보라는 권유 문자를 보냈을 때, ‘존경하는 언론계 대선배인 송상일 국장님과 함께 하는 것이라면 더없이 영광스러운 일이다.’라고 생각해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수락했다. 

20년 전 송상일의 선배인 김종철이 제민일보에 연재했던 「오름나그네」를 책으로 출판하게 되었을 때 그 심부름을 하며 즐겁게 밤을 샜던 기억이 떠올라 ‘열심히 자료를 찾고 취재하고 글 쓰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는 돌이킬 수 없는 엄청난 실수였다. 청탄에 관한 글은 필자가 주제넘게 쓸 수 있는 게 결코 아니었다.

청탄에 관한 이런저런 자료를 닥치는 대로 읽었지만 청탄 일대기에 대해 단 한 줄도 쓰지 못한 채 번민하던 중, 그의 서가에 스위스 태생으로서 프랑스의 세계적인 건축가이자 도시계획 전문가인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1887~1965)가 쓴 "프레시지옹(Précisions)"의 일본어 번역판이 오래도록 꽂혀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33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는 심정으로 이 책을 찾았더니 다행히 2004년에 우리말로 번역·출판됐다. 1929년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에서 강연한 내용을 책으로 묶은 것이었다.※34
 
청탄의 예술세계와 정신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까 하여 급히 책을 구해 읽어보았으나, 건축에 문외한인데다가 난해하고 철학적인 내용이어서 쉽게 이해할 수 없었다. 앞으로 청탄을 공부할 사람들을 위해 그의 서가에 이 책이 꽂혀있었다는 것을 소개할 뿐이다.

그런데 르 코르뷔지에를 이해하기 위해 여기저기 정보 검색을 하던 중, 그가 위대한 건축가일 뿐만 아니라 사상가이자 논객이며, 화가이자 가구 디자이너라는 사실을 엿볼 수 있었다. 그는 당시 유럽에 불어 닥친 산업화와 기계화, 그로 인해 인간이 소외되는 것을 염려했고 ‘인간을 위한 건축’을 했다고 한다. 

또한 건축에 불필요한 장식을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1925년에는 이에 관해 "오늘날의 장식예술"이라는 책을 쓰기도 했다. 르 코르뷔지에는 ‘집은 사람들이 감탄하며 스쳐 지나가는 장식품이 아니라 실제로 그곳에서 사는 사람이 편리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다.※35

‘장식’에 관한 글을 읽다보니,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 필자가 수년 전 목공(가구 제작)에 몰두하던 시절에 목공 사부의 소개로 우연히 읽었던 두 권의 책이 퍼뜩 떠올랐다. 
하나는 아돌프 로스(Adolf Loos. 1870~1933)가 1908년에 쓴 "장식과 범죄(Ornament and Crime"이다.※36  책 제목이 말해주듯 본질을 벗어난 기교와 장식을 범죄 수준으로 본 것이다. 르 코르뷔지에의 장식에 관한 비판 정신은 아돌프 로스로부터 배운 것이라 한다.

두 권의 책 중 다른 하나는 19세기 후반기에 살았던 영국인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1834~1896)에 대해 영남대 교수 박홍규가 쓴 "윌리엄 모리스 평전"이다.※37  모리스는 사상가이자 시인이며 소설가였다. 또한 공예·디자인·건축 분야의 유명한 예술가였다. 기계 대신에 사람의 감정을 담아 사람의 손으로 공예를 해야 한다며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s Movement)’을 이끌었는데, 그가 디자인하여 만든 의자는 ‘모리스 체어(Morris Chair)’라고 명명돼 지금까지도 명품으로 평가받고 있어 목공에 빠진 사람이라면 한번쯤 도전해보려고 하는 가구이다. 

소동파 선재에 글씨.jpg
▲ 청탄 선생이 소동파의 적벽부 일부분을 부채에다 유유히 물 흐르듯 썼다. / 자료제공 = 소암기념관 ⓒ제주의소리

또한 생활예술을 주창한 모리스는 가구 디자인뿐만 아니라 스테인드글라스와 타일 디자인, 양탄자와 자수 디자인, 직물과 벽지 디자인을 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르네상스적 인간’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상 소개한 세 명의 예술가들의 공통점은 산업혁명으로 인해 기계가 인간을 대체함으로써 인간이 소외되고 있는 것을 극도로 경계했다는 점이다. 출생 시기도 그렇지만 실제로도 르 코르뷔지에와 아돌프 로스는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았다. 

청탄 김광추가 건축에 관한 책인 르 코르뷔지에의 "프레시지옹"을 오래도록 서가에 꽂아두고 읽었던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건축에 대한 관심도 있었겠지만, 그보다는 르 코르뷔지에의 정신에 공감했기 때문이 아닐까 여겨진다. 과도한 비약일지 몰라도 르 코르뷔지에와 소통했다면 그보다 앞서 살았고 그에게 영향을 주었던 아돌프 로스나 윌리엄 모리스와도 교감했다고 볼 수 있다.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인간을 위한 예술을 했으며, 예술을 삶처럼 또는 삶을 예술처럼 살았다는 점에 주목하니, 바느질과 뜨개질을 하고 한복 조끼를 만들던 청탄 김광추와 양탄자와 자수 디자인을 하던 윌리엄 모리스가 겹쳐진다. 

합성1234.jpg
▲ 청탄 선생은 1965년 영주연묵회라는 서예단체를 소암 현중화, 만농 홍정표 선생 등과 함께 창립시켰다. 제주에 본격적인 서예 붐이 일기 시작한 계기로, 서예를 일부 서예가들의 예술이 아니라 연령과 계층을 모두 아우르는 대중예술로 승화시켰다는 평가를 듣는다. 청탄 김광추 선생의 글씨.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심화(心華)', '동문경(東文境)', '불이선(不二禪)', '막망상(莫妄想)' / 자료제공 = 소암기념관 ⓒ제주의소리
청탄인보.jpg
▲ 청탄인보(聽滩印譜). 청탄 선생의 전각은 당시 독보적이었다. 그러나 그는 스스로 최고라고 말하지 않았고, 어쩌면 최고가 되려는 마음조차 품지 않았을 것이다. / 자료제공 = 소암기념관 ⓒ제주의소리

서로 다른 곳에서 다른 시기를 살았지만, 청탄 김광추와 윌리엄 모리스는 ‘르네상스적 인간’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청탄의 예술과 삶에 대해 표현할 능력이 없으니 "윌리엄 모리스 평전"에 쓰여 있는 박홍규의 글을 아래에 옮겨 대신한다.

“나는 노동자가 톨스토이를 읽고 베토벤을 들으며 반 고흐를 감상하는 세상을 꿈꾼다. 그 세상은 노동자 스스로가 글을 쓰고 음악을 만들며 그림을 그리는 세상이다. 톨스토이나 베토벤이나 반 고흐는 모두 노동자들을 위해 예술을 창조했고, 노동자로서 살았다. 나아가 노동자 스스로 자신의 집을 짓고 가구도 만들 수 있으며 옷과 음식도 즐겁게 짓기를 희망한다. 그러한 삶과 세상을 만드는 것이 사회주의이자 에코토피아라고 본다.”

제주신문 기자였던 서재철은 1965년 창립된 영주연묵회를 소개하는 기사에서 “수준급 서예가인 김광추 씨, 홍정표 씨, 현중화 씨 등이 주축이 되어 문기선·김순겸·이완규·양중해·변영탁 씨와 함께 서예 단체로는 처음 영주연묵회를 조직하여 본도의 서예 인구 저변확대와 나아가서는 후배양성을 목표로 했다.”고 썼다. 이어 “이때부터 본도에는 급작스런 서예 붐이 일기 시작하여 가정주부와 미스, 학생 등 너나 할 것 없이 동양예술의 정통인 서예에 열을 올리기 시작했다.”고 기술했다.

특정 집단만이 톨스토이와 베토벤과 반 고흐를 접해서는 안 되며 노동자를 비롯한 모든 사람이 예술을 즐겨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한다면, 청탄은 이러한 주장에 딱 어울리는 예술가였다. 청탄으로 인해 서예는 더 이상 전문 서예가들만의 예술이 아니라 ‘가정주부와 미스와 학생’까지 제주도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예술로 승화된 것이다.

▶ 각주 

※31 화북동주민자치위원회, 「청탄 김광추-제주의 선비」, "화북동 소식지 禾北", 2014.

※32 오문복, 앞의 글.

※33 김석윤의 증언; 김병택, 앞의 책, 115쪽.

※34 르 코르뷔지에, 정진국·이관석 번역, "프레시지옹-건축과 도시계획의 현재 상태에 관한 상세한 설명", 동녘, 2004.

※35 르 코르뷔지에, 이관석 번역, "오늘날의 장식예술", 동녘, 2007.

※36 아돌프 로스, 현미정 번역, "장식과 범죄", 소오건축, 2006.

※37 박홍규, "윌리엄 모리스 평전", 개마고원, 2007.

 ◆ 필자 김종민은? 

언론인 김종민(55)은 4.3의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일간지 기자 13년, 국무총리 소속 4.3중앙위원회 전문위원 13년, 도합 26년을 오로지 4.3의 진실을 규명하는데 매달렸다. 제민일보 ‘4.3은 말한다’ 취재보도, 정부 진상조사보고서 작성, 희생자·유족 인정, 일부 희생자를 제외시키라고 주장하는 극우보수단체와의 숱한 송사를 맡아 승리로 이끌었다. 지금은 낮엔 농사를 짓고 밤엔 글을 쓰고 있다. 일간지 기자시절 무려 7000여명의 4.3유족들로부터 증언을 채록한 역사학도(고려대 사학과 졸업)로서의 집요한 기질, 음지의 역사를 양지로 끌어내려는 사명감이 이번에는 잔잔함에 묻혀 채 드러나지 않았던 청탄 선생의 깊고 청아한 예술적 삶을 좇는데 발동했다. 최근엔 조선시대 제주사를 연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