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편지(19)]아부오름 피뿌리풀

   
 
 
 

남국의 봄소식은 해안가를 노랗게 물들이는 유채꽃으로 시작된다. 봄바람에 하늘거리는 샛노란 유채꽃의 물결은 봄 소풍 나온 병아리 떼의 재잘거림 마냥 제주의 온 섬을 뒤덮으며 제주도를 황금빛으로 물들인다. 여기에다 연분홍의 벚꽃들이 일시에 피어나며 봄바람에 꽃비를 뿌리면 바야흐로 제주 섬은 온통 꽃물결 출렁이는 꽃의 정원으로 변한다.

 

화사하게 차려 입은 관광객들은 꽃바다의 향연에 취하여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고 해풍에 실려 오는 비바리 연가에 절로 콧노래를 흥얼거리고, 이렇게 제주의 봄 정취는 절정을 향해 치닫는다.


   
 
 

제주도는 오름의 섬이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섬 전역에 삼백육십팔개나 퍼져 있다. 비온 뒤 솟아나는 죽순처럼 오름들은 저마다의 모습으로 울쑥불쑥 솟아나 있는데, 능선의 이어짐은 대지에 흐르는 너울과도 같다. 제주 동쪽 중산간의 송당리는 그런 오름에 둘러싸인 산촌이다. 제주 전통 신앙의 뿌리인 본향당(本鄕堂)이 거처를 삼은 신화의 고향이기도 하다. 삼백육십팔개의 오름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양새를 지닌 다랑쉬오름을 중심으로 돝오름, 높은오름, 아부오름, 백약이오름, 당오름들이 이 신화의 마을 송당리를 감싸고 있다.

 

 

제주의 오름을 집대성한 제주의 산악인이자 ‘오름나그네’ 김종철님은 이 일대를 ‘오름의 왕국’이라 불렀다. ‘나그네’는 그 왕국의 들머리인 대천동 사거리에 이르러 버스에서 내려 그 들판을 걸어가며 이랬다.


'이 부근에 들어설 때면 언제나 야릇한 설렘이 한구석에 흐른다. 그것은 버스에서 내려 들판으로 걸음을 옮기면서부터 가벼운 긴장감과 함께 일어 온다. 오름 왕국의 문을 두드리는 것이다 사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드넓은 벌판에 오름 또 오름, 기생화산의 군집지대이다.<오름나그네 제1권 16쪽>' 

 

   
 
 

그랬을 것이다. 황량한 바람만이 부는 들판에 오순도순 살아가는 오름의 마을로 들어서는 나그네의 야릇한 설레임. 신화의 마을을 감싸고 도는 오름의 왕국에 입성하는 나그네는 그래야 마땅하리라. 아부오름은 그 오름 왕국의 동네에서 가장 낮으면서 독특한 오름이다. 오름의 높이(비고)보다 더 깊게 패인 분화구 때문이다. 타원형으로 길게 늘어선 분화구는 고대 로마시대의 원형경기장을 연상케 한다.

 

 

‘아부’는 앞(前)에서 유래된 말이다. 곧 송당리 앞쪽에 있는 오름이란 뜻이다. 제주에서 앞은 남(南)쪽이다. 그러니 아부오름은 송당 마을  남쪽에 있는 오름이란 말이다. 오름이 다정한 아버지처럼 정좌한 뜻으로도 여기는데, 억지 풀이처럼 어색하다.

 

   
 
 

황량하던 오름 둔덕이 초록의 기운으로 일렁일 때, 봄의 야생화들은 두터운 대지를 뚫고 하나 둘 얼굴을 내밀기 시작한다. 봄꽃들의 축제에서 피뿌리풀은 단연 돋보인다. 이름에서 느껴지듯 피뿌리풀은 뿌리가 사람의 피처럼 붉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초록 융단을 뚫고 연둣빛으로 솟아난 피뿌리풀의 줄기는 한 치의 흐트러짐 없이 꼿꼿하다. 키는 40센티미터 가량까지 자라는데 원줄기를 빙 둘러가며 초록의 잎들이 팽팽히 돋는다.

 

 

영그는 오월의 햇살 아래에서 피뿌리풀은 줄기 끝에 선홍빛의 꽃대를 세우고 꽃잎을 열어젖힌다. 갓 피어난 꽃잎은 하얀 무명천에 연분홍 물감을 살짝 풀어놓은 듯 탐스럽다. 피어난 피뿌리풀의 꽃잎은 나날이 핏빛을 띠어간다. 봄의 들판에 흐르는 싱그러운 바람과 감미로운 햇살에 그을리면서 꽃잎들은 연분홍에서 주홍을 거쳐 선명한 핏빛으로 변해간다. 옐로우(Yellow)에서 마젠타(Magenta)를 지나 레드(Red)에 이르기까지 붉은 색의 스펙트럼을 관통하는 동안 피뿌리풀의 꽃잎들은 땅 속 깊은 곳에 스미어든 제 뿌리의 주홍 빛깔에 닿는다.

 

   
 
 
꽃잎이 이울 대로 이울어 시들어갈 때 붉은 색은 정점에 다다르는데, 온 세상의 빛을 모으며 고단한 하루를 건너와 소멸해가는 핏빛 노을과도 같다. 봄 내내 피뿌리풀들은 바람에 실려 오는 시간의 눈금 속에서 그렇게 핏빛으로 오름을 태우며 시들어간다. 초록의 융단 위로 붉은 핏방울처럼 뚝뚝 박혀있는 모습은 차라리 선연(鮮姸)하고 또 처연(凄然)하다. 오래된 어느 날 오름에서 들판에서 바위그늘집자리에서 영문도 모른 채 미친 피바람에 스러져가야만 했던 4 3의 슬픈 영혼의 빛이 이러할까. 그랬을 것이다. 그들의 슬픈 넋이 바람 따라 들판을 떠돌다 달빛 어리는 초원의 어느 길목에서 서로 엉키어 서로의 아픈 상처를 보듬고 위로하며 불렀을 진혼곡이었을 것이다.  형용할 수 없이 붉은 피뿌리풀의 그 핏빛  꽃잎은.

 

   
 
 
피뿔리풀은 제주도에서 오직 이곳 송당리 주변의 오름에서만 핀다. 바람에 실려 제주의 이곳저곳 떠돌았을 법도 한데, 피뿌리풀은 이곳을 떠나지 않는다. 야생의 바람결 머무는 초원에서만 지내려는 속셈인 게다. 북한에서도 황해도 이북에서만 있고 몽골 지방의 드넓은 초원에서만 피뿌리풀이 자란다. 고려 때 제주도에 말을 방목하던 시절 몽골에서 들어온 말의 분뇨에서 그 씨앗이 퍼졌다는 추측이 설득력 있게 들리지만, 왜 유독 이곳에서만 터를 잡고 사는 지 알 방법이 없다. 다만 피뿌리풀은 오래전에 떠나온 북녘 땅 어느 초원에의 향수를 잊지 못해, 무공해의 바람결 머무는 이 들판에 기대어 산다고 밖에.

 

오름위에 부는 싱그러운 바람이 피뿌리풀의 꽃대를 지날 때, 피뿌리풀의 가녀린 몸뚱이는 물살에 휩쓸리는 해초처럼 흔들리면서 꽃잎들은 비릿한 향기를 허공 속으로 흘린다. 십여 년 전 아부오름 분화구가 그 향기로 가득한 적 있었다. 바람에 하늘거리는 피뿌리꽃이 아우성 치듯 피어난 아부오름의 융단 능선을 걸으며 한라산 너머로 스러지는 핏빛 노을 속에서 한동안 발걸음을 돌려놓지 못했다. 노을이 사위어 갈때 차라리 그저 한 송이 피뿌리꽃으로 그 능선에 눕고 싶었다.

 

   
 
 
 오월이 와도 그날의 풍경을 온전히  만날 수 없다.  피뿌리풀들이 사라져간 때문이다. 그 황홀한 색깔에 반한 누군가에 의해  피뿌리풀들이 뿌리까지 송두리째 뽑혀나간 때문이다. 그렇게 이곳을 떠나야했던 피뿌리풀은 대부분 죽었을 것이다. 야생의 바람결 대신 회색도시의 콘크리트에  둘러싸인 아파트 베란다 화분 속에서, 거칠것 없는 들판의 바람결을 사무치게 그리워하다 야위고, 끝내는 쓸쓸히 사라져갔을 것이다. 들판의 야생잔디에서만 자라던 피뿌리풀은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다른 풀과는 달리 잔뿌리가 적어서 이식했을 때, 뿌리를 쉬 내리지 못한다. 또 생장이 느리고 종자의 결실율이 낮아 번식 또한 더디다. 그래서였는지 모른다. 제주에서 유독 동부지역의 오름과 들판에서만 자랐던 것은. 이곳을 떠나서 살 수 없었던 것은. 피뿌리풀을 키운 팔할은 싱그러운 햇살과 들판에 출렁이던, 세상의 규칙에 길들지 않은 야생의 바람이었을 것이다.

 

   
 
 
멸종위기에 처해 사라져가는 피뿔리풀을 되살리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조직배양 방법을 이용한 번식방법을 연구 중이라고 한다. 야생의 것들을 멸종위기로 몰아놓은 것도 ‘사람’이고, 이를 되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것도 “사람”인데, 두 사람은 늘 평행선으로 달린다. 언제쯤일까. 그 두 행렬이 서로 포개어져 자연의 일부로서의 사람으로만 남을 있을 때는. 그래서 핏빛으로 붉게 물든 피뿔리풀 지천으로 깔리는 오름에서 황홀하게 스러지는 노을에 취해볼 수 있을 날이, 다시 올 수 있을까. 기억 속의 아부오름을 현실에서 만날 수 있는 날이. 바람 불고 따스한 햇살 쏟아지는 봄날엔 유독 그 초원에 불던 맨살의 바람과 선홍빛 피뿌리풀 무리가 그리워진다.

바람의 섬 제주를 떠도는 들판의 정령(精靈)들이여, 바라노니 초록의 융단을 선연(鮮姸)히 물들이는 피뿌리풀을 되살리지 못하고서는 감히 말하지 말라. 화산섬 제주의 봄을 온전히 품었노라고.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