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고려시대 삼별초에 의한 마지막 항몽(抗蒙) 유적지다. 몽골은 고려 삼별초의 활동거점이었던 항파두리를 고려 원종 14년(1273년)에 점령한 후, 1374년(공민왕 23년) 최영(崔瑩)장군의 정예군이 원나라 목호(牧胡)군을 서귀포 앞바다의 범섬 전투에서 전멸시키면서 제주는 100년간의 긴 수렁에서 벗어난 역사적 아픔이 남아있다. 최근 항몽유적의 문화콘텐츠화라는 주제로 한국몽골학회에 논문을 발표한 김일우 박사의 논문을 매주 2회(수·토), 총 6차례 연재한다.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머리말
②제주 항몽유적의 국제적, 국가적 관점
③제주의 지역적 관점, 고고학·미술사적 관점
④제주 항몽유적의 분포상과 문화콘텐츠화: 항파두성과 성내 항몽유적 
⑤제주 항몽유적의 분포상과 문화콘텐츠화: 항파두성 밖 및 문화콘텐츠화 지향성
⑥맺음말 

[제주 항몽유적의 문화자원화] ①머리말 /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우리나라는 2000여 년에 걸쳐 수많은 외세의 침략을 받아왔었다. 이 가운데 침략이 가장 장기적으로 지속되고 끈질긴 항쟁을 벌였던 것이 고려의 대몽항쟁이다. 이는 40여 년 동안이나 지속됐거니와, 우리나라의 외세항쟁에서 가장 주목되는 역사라 하겠다._#1
1.jpg
▲ 삼별초ㆍ몽골침입ㆍ여몽연합군의 이동경로. 사진=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소리

특히, 제주는 고려 대몽항쟁의 마지막 종착지였다. 이렇게 된 데는 제주의 지정학적 위치가 크게 작용했다. 제주가 동북아를 잇는 바닷길의 요충지에 위치했던지라, 삼별초와 고려의 개경정부 및 몽골세력이 모두 선점하려고 경쟁을 벌였던 것이다. 그래서 고려의 개경정부 및 삼별초와 몽골세력이 잇달아 제주로 들어왔었다._#2 이때 몽골 경우는 제주를 남송ㆍ일본정벌의 전초기지로 경영코자 눈독을 들이던 참에 직접 제주 정복에 나섰던 것이다. 이로써 고려 대몽항전의 마지막 결전이 제주에서 일어나게 됐고, 결전도 3자가 낀 제주 삼별초와 여ㆍ몽연합군 간에 벌어졌다. 그 결과 제주 삼별초가 여ㆍ몽연합군의 공격으로 항파두성이 함락됨으로써 몰락했고, 고려의 대몽항전도 종식됐다.

제주 삼별초는 고려의 마지막 항몽세력이며, 항파두성은 고려의 마지막 항몽거점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항파두성과 그 주변 항몽 관련 유적이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라는 이름으로 1997년에 사적 제396호로 지정됐다. 이밖에도 제주의 대몽항쟁 관련 유적은 도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제주 북반부의 동ㆍ서 양측으로 약 43㎞ 거리에 걸쳐 있듯이, 매우 길고, 또한 광범위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_#3 이들 제주의 항몽유적은 크게 봐 물 관련 식ㆍ생활용수, 망대와 진지, 포구, 기타 등의 4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_#4 이들의 수도 26여 곳에 달하고 있는 만큼, 다양하고 풍부하다.
2.jpg
▲ 중세 동북아 해양교류도. 사진=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소리

제주 항몽유적과 관련해서는 그동안 수차례 정비와 활용 방안이 제시된 적도 있었다._#5 그럼에도, 이들이 지닌 역사성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논의됐을 뿐, 종합적 검토가 이루어진 바는 없다고 하겠다. 이에 제주 항몽유적의 역사성을 다각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한다. 

한편, 문화의 세기를 맞이한 오늘날에 있어서는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인문ㆍ자연적 환경을 문화자원화하고, 이를 통해 부가가치를 올리고 있다. 때문에 제주에서도 항몽유적이라는 테마를 내세워 인문ㆍ자연적 환경의 문화자원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ㆍ가능하다고 본다. 이는 제주의 항몽유적이 오늘날에 지닌 가치와도 일맥상통한다고 하겠다. 그래서 제주의 항몽유적 관련 문화콘텐츠화의 방향과 내용도 제시해보고자 한다.
3.jpg
▲ 제주도내 항몽유적의 분포도. 사진=정광중. ⓒ제주의소리


▲각주

#1
고려의 대몽항쟁에 대한 역사적 의미는 시대적 상황과 역사적 관점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 평가를 받아오곤 했는데, 이와 관련해 가장 최근에 정리된 연구로는 윤용혁(2014),「13세기 동아시아사와 삼별초」(『무인정권ㆍ몽골, 그리고 바다로의 역사 삼별초』, 혜안, 48~58쪽)를 들 수 있다.

#2
김일우(2000),『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258~278쪽. 
김일우ㆍ이정란(2002),「삼별초 대몽항쟁의 주도층과 그 의미」,『제주도사연구』11, 19~24쪽. 
김일우(2008),「고려ㆍ조선시대 외부세력의 제주진입과 제주여성」,『한국사학보』32, 145~159쪽.

#3
김일우(2002),「항파두리성 밖 항몽 관련 유적지의 보존ㆍ정비ㆍ활용 방안」; 정광중(2002),「항몽 유적지의 지리적 환경과 지역적 특성」(이상, 북제주군ㆍ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학술조사 및 종합 기본정비 계획』수록).

#4
제주의 항몽유적은 항파두성, 성내유적, 물 유적, 기와가마, 망대와 진지, 포구, 관련유적, 유물과 같은 형태로 나눠보거나〔 제주도(1998), 『국가문화재 지정조사보고서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제주도, 76~125쪽〕, 혹은 포구유적, 성지유적, 진지 · 망대유적, 생활문화유적으로 구분해 분류하기도 한다(정광중, 앞의 글, 37~42쪽). 이들 경우는 항파두성과 그 내외의 항몽 관련 유적을 다 포괄해 파악 ․ 분류하고 있는 반면, 본고는 항파두성과 그 성내의 항몽유적, 이를 제외한 항파두성 밖 항몽 관련 유적으로 대별해 보고자 한다.

#5
제주 항몽유적은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를 중심으로 보존 관리 방안 및 정비ㆍ복원과 관련해 용역이 수차례 이뤄졌고, 그 보고서도 여러 번 나왔다. 그 가운데 주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북제주군ㆍ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2002), 앞의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ㆍ제주문화예술재단(2006),『탐라문화권 정비 기본계획 수립 보고서』,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특별자치도ㆍ(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2008),『탐라문화권발전기본계획』, 제주역사문화진흥원: 제주특별자치도ㆍ(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2009),『탐라문화권발전세부계획』, 제주역사문화진흥원: 제주시ㆍ(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2012),『사적 제396호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종합정비계획』, 제주역사문화진흥원.


158368_178902_0610.png
※ 필자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의 대표 논저.

2000,『고려시대 탐라사연구』, 신서원
2002,「고려후기 제주 법화사의 중창과 그 위상」, 『한국사연구』119 
2003,「고려후기 제주・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한국사학보』15.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