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국제전기차엑스포] 충전 유료화 시대, 전기차 시장 파이 늘릴 방안은?

IMG_8548.JPG
▲ 환경부는 조만간 공공 충전기에 대한 유료화를 시행할 방침이다. 이와 맞물려 공공과 민간 간 충전 시스템 '로밍'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가 열리고 있는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앞 주차장에서 충전 중인 한 차량.ⓒ 제주의소리

정부의 전기차 공공 충전기 유료화 방침과 관련해 ‘로밍(romaing)’이 새로운 키워드로 떠올랐다. 공공과 여러 민간업체의 충전인프라를 통합한 연동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규제 한국전기자동차협회 부회장(포스코ICT 부장)은 23일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와 연계해 열린 제20회 산업융합촉진 워크숍에서 “전기차 이용자는 전국 어딜 가나 정당한 요금을 내면서 충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며 충전 시스템 로밍을 화두로 던졌다.

로밍은 서로 다른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다른 업체들끼리 각각 독자적인 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있는 경우, 상호간의 시스템을 연결해 어떤 회사에 가입하든 어느 곳에서나 공동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업체들끼리 서로 제휴해 서비스의 품질과 영역을 넓히는 전략이다. 이 부회장의 제안은 이를 전기차 충전기에도 적용하자는 얘기다.

그는 이것이 전기차 충전에 대한 대중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충전기가 눈에 자주 보이게 된다면 운행거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며 “제주는 전국에서 충전인프라가 가장 풍부한 곳이다. 이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판을 깔고 합리적 가격을 낼 수 있다면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증단지에 남아있는 것을 통합해서 재배치하는 방안이 가능하다”며 “10km 정도 마다 한 대 씩만 설치해도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제주 일주도로에 18대면 가능하다”고 말해 추가 충전기 설치를 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인 재배치를 통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 23일 제20회 산업융합촉진 워크숍에서 발표에 나선 이규제 한국전기자동차협회 부회장. ⓒ제주의소리

사실 그의 제안의 근본적인 배경은 전기차 충전인프라 시장 확장에 있다. 핵심은 ‘세미퍼블릭(Semi-Public)’.

국가나 지자체가 공공 충전기를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 민간이 자금투자를 통해 설치한 충전망을 공공도 함께 사용하되 상호 시스템간 연동으로 유료화 과금을 하게 된다. 하나의 정보망으로 공공과 민간 사업자를 통합하는 ‘충전망 공동 사용’ 방식이다. 통합카드를 통해 서비스가 일원화된다.

그는 “민간사업자와 공공의 서비스를 통합하는 개념”이라며 “1단계로 한국전력의 급속충전망을 도입하고, 이후 민간충전사업자와의 MOU를 통해 연동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의 이번 제안은 최근 환경부가 발표한 전기차 공공충전기 유료화 방안과도 맞물린다. 환경부는 전국 공공충전기 337곳에 요금단말기 설치를 완료하고 이르면 다음 달부터 1kWh당 313원 가량을 요금으로 부과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공공 충전기 이용이 무료로 제공되고 있어 민간 전기차 충전사업자가 충전기를 설치해도 요금을 부과하기가 어려웠다. 개인용 충전기의 경우에도 구매자는 본인이 충전하는 만큼 요금을 내고 있다.

공공충전기가 유료화가 되면서 자연스레 ‘과금 체계’에 대한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를 수 밖에 없는 상황. 이 부회장의 제안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그는 “이 같은 사업자 간 로밍은 업체들의 투자금액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며 “파이가 키워야 나눠 먹을 수 있다. 파이는 안 키웠는데 어떻게 그게 가능하겠냐”고 말했다. 전기차 로밍 도입이 전기차 시장 전체를 확대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그는 “로밍 시스템을 통해 정당한 과금체계가 완성된다면 KT든 SKT든 다 (전기차 충전사업)에 들어올 것”이라며 로밍 시스템이 전기차 보급에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됐던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해 줄 좋은 방안이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