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제주해녀문화 국제학술대회...“국립화 과정, 관계부처 네트워크 필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바라볼 만큼 한국을 넘어 세계적으로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제주해녀. 보다 체계적인 제주해녀 문화의 전승과 발전을 위해 현재 제주도가 운영하는 해녀박물관을 국립으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무형문화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문화재청 소관의 국립박물관이 가장 적합하다는 조언도 더해졌다.

제주도가 주최하고 (사)한국문화인류학회와 (사)제주학회가 주관한 ‘2016 제주해녀문화 국제학술대회’가 15일부터 16일까지 제주칼호텔, 제주대학교에서 진행된다.

학술대회는 총 4개 분과로 나눠서 열리는 가운데, 15일 오전에 열린 제1분과에서는 해녀박물관의 발전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유철인 제주대학교 교수는 ‘해녀박물관의 발전방안 : 살아있는 무형유산과 어업 유산’에서 제주해녀의 가치 보존과 해녀박물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해녀박물관의 국립화를 제안했다.
IMG_6832.JPG
▲ 15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2016 제주해녀문화 국제학술대회’ 현장 모습. ⓒ제주의소리

유 교수는 “2006년 개관한 제주도 해녀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해녀 관련 전문박물관이라는 강점이 있지만 관장을 행정 공무원이 맡고 있다는 점, 운영위원회 부재, 학예사 부족, 행정조직 안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해녀박물관 위상 등의 많은 약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12월 제주해녀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 1호로 지정하고 올해 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가능성을 비롯해 세계농업유산(GIAHS) 등재 신청도 점쳐지는 등 세계적으로 해녀문화의 가치가 인정받는 상황에서 "해녀박물관을 국립화시켜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유 교수는 해녀박물관의 국립화 방향을 ▲국립민속박물관 산하의 지방박물관 ▲국립해양박물관 산하의 지방박물관 ▲해양수산부 소관의 독립적인 국립해녀박물관 세 가지로 나눠봤다.

특히 “제주해녀의 수가 감소하고 노령화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해녀문화의 유산과 기억을 지역사회와 주민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현장박물관(Eco Museum) 방식으로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며 “해녀박물관은 전시 기능에 머물지 않고 지속발전 가능한 살아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승호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 기획운영팀장은 ‘도립에서 국립으로-미륵사지유물전시관의 사례’를 통해 지자체가 운영하는 박물관이 국립화되는 사례를 설명했다.

1966년 6월 미륵사지가 사적으로 지정되고 1997년 5월 익산시에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개관했다. 최초 전라북도가 운영하는 방식이었지만, 2015년 12월 국립으로 전환됐다.

국립화 이전에는 전라북도가 사업성 없는 문화시설 운영예산을 축소하면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2009년 미륵사지 석탑 해체 조사 중에 유물 1155점이 출토되면서 국립화 논의가 본격화 됐다.

한 팀장은 18년 만에 국립화라는 성과를 달성했지만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최초 구상했던 국립익산박물관이 주변 지역 국립박물관과 성격이 중첩된다는 내부 논란부터 시작해 2014년 국립익산박물관 설계비를 확보했지만 기획재정부가 심의과정에서 반대의견을 제시했고, 재산(토지) 확보, 전시관 조직, 운영비를 마련하면서 지자체,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와 의견이 부딪히는 등 난항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학계, 지역 여론의 지원과 관계부처를 상대로 한 무수한 설득, 협상 과정이 이어졌고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백제역사유적지구가 등재되면서 익산 미륵사지와 왕궁리 유적이 포함돼 더욱 탄력을 받았다.

한 팀장은 “전시관을 국립으로 전환하면서 학계, 지방자치단체, 지역국회의원, 주민의 의지와 명확한 목표설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 국가적인 관심, 국회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구, 콘텐츠, 논리를 개발해야 하고, 무엇보다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등 관계부처와의 네트워크가 원활해야 실리적인 문제를 풀어가는데 수월하다”고 조언했다.
IMG_6828.JPG
▲ 15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2016 제주해녀문화 국제학술대회’ 현장 모습. ⓒ제주의소리
IMG_6825.JPG
▲ 15일 제주칼호텔에서 열린 ‘2016 제주해녀문화 국제학술대회’ 현장 모습. ⓒ제주의소리

이후 토론자로 나선 김성명 국립제주박물관장은 “제주해녀는 지속가능한 살아있는 무형유산이라는 점에서 만약 해녀박물관이 국립으로 바뀐다면 문화재청 소관으로 가야 한다. 문화재청이 국내 무형문화유산을 총괄하는 기관인 만큼 제주해녀에 걸 맞는 위상을 확보할 수 있다”고 조언했고, 이에 대해 유철인 교수도 적극 공감했다.

현재 문화재청 소속, 산하 기관으로는 국립고궁박물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등이 있다.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미륵사지는 과거 문화가 남겨진 유형문화지만, 제주해녀는 무형문화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각종 교육 프로그램으로 대중과 공감하면서 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제주해녀는 단순히 그 구성원의 문화가 아닌 제주섬 전체를 관통하는 거대한 문화라는 점을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만약 국립화 계획을 실제 추진해 나간다면 제주해녀가 왜 가치가 있고 지켜지면서 확산돼야 하는지 논리를 명확하게 세울 것을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