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다. 동아시아 해상의 요충지로서 태평양으로 나가는 길목에 자리해 있다. 이러한 천혜의 입지는 외세의 침입이 잦았던 요인이 되기도 했다. 그런 제주를 지켜온 관방시설(방어시설)은 고려시대부터 설치돼온 환해장성(環海長城)과 조선시대의 읍성(邑城)・진성(鎭城)・봉수(烽燧)・연대(煙臺) 등이 아직도 우리 곁에 남아 있다. 역사학자인 김일우 박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는 이러한 제주의 관방시설에 주목한 논문 《조선시대 제주 관방시설의 설치와 분포양상》을 최근 발표했다. 김 박사는 연대, 봉수 같은 관방시설에는 군사적 가치를 넘어 제주사람의 자생적 의지가 담겨 있다고 설명한다. <제주의소리>가 제주 관방시설에 주목한 김 박사의 글을 매주 2회(화·목), 총 6차례 연재한다. 본문에 '#' 표시된 각주 내용은 원고 하단에 별도의 설명을 달았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머리말
②제주 지역 첫 확인의 관방시설
③조선시대 제주 관방시설의 설치 경위와 유형 : 읍성
④조선시대 제주 관방시설의 설치 경위와 유형 : 읍성 이외
⑤제주 관방시설의 분포지형과 그 의미
⑥맺음말 

[조선시대 제주 방어유적의 의미] ⑥맺음말 /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

⑥맺음말 

제주역사는 제주의 지정학적 위치와 관련해 여느 지역과 차별성을 지닌 특색을 지녔다고 하겠다. 곧, 제주는 역사적으로 국제질서의 변화와 외부세력의 진입으로 격변을 겪은 적도 있었고, 혹은 외부의 침탈에 노출되는 경우도 잦았던 것이다.

제주 관방시설도 제주의 지정학적 위치가 동아시아 해상의 요충지에 자리잡아 외침에 노출되는 경우가 잦았던 점과 관련해 설치됐다고 하겠다. 그래서 조선시대 와서는 관방시설이 제주도내에 걸쳐 산재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된 것도 왜구의 잦은 침탈과 아울러, 18세기 중반 이래 나타나기 시작한 제국주의 열강의 이양선 출몰 때문이었다.

조선시대 때 제주의 관방시설은 읍성・진성・봉수・연대와 아울러, 고려시대 때부터 설치되기 시작한 환해장성을 들 수 있었다. 이들은 18세기 후반기에 와 완성단계를 맞이했다. 이로써 3개 읍성과 9개 진성, 25개소 봉수와 38개소 연대가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환해장성의 경우는 현재 그 흔적이 제주의 해안일대 마을 20여 곳에 남아 있다.

문화재 지정 연대위치도(제공 강창화).png
▲ 문화재지정 연대 위치도. 지도 속 녹색 원이 연대가 있는 장소다. 제공=강창화 ⓒ제주의소리
문화재지정 환해장성 위치도(제공 강창화).png
▲ 문화재지정 환해장성 위치도. 지도 속 녹색 원이 환해장성이 있는 장소다. 제공=강창화 ⓒ제주의소리

이들 제주의 관방시설은 거개가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곳에 분포했음과 아울러, 동・서방향으로 조밀하게 들어서 있었다. 이들은 제주 해안에 접근하는 외부세력의 양상과 출몰지역에 따라 지속적으로 설치・수축・이전과 아울러, 증치돼 나아갔던 것이기도 했다. 이렇게 된 데는 제주가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 지역이자, 동아시아 해상의 요충지로서 외적의 진입이 잦았고, 그 진입로가 해안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제주 지역 가운데 해안지대가 마을 형성의 입지적 여건이 가장 양호함과 아울러, 주민의 생업활동도 전통적으로 반농반어인지라, 규모가 큰 마을이 동・서의 해안지대를 따라 들어섰던 점도 제주 관방시설의 분포상과 결부되었다고 하겠다.

특히, 연대・봉수가 제주 지역에 빽빽이 들어섰던 점은 군사적 목적의 필요성과 아울러, 계엄적 분위기를 자아냄으로써 주민 통제를 용이케 하려는 의도도 곁들여져 있지 않았을까 한다.

한편 진성이 군사적 기능과 함께, 읍치의 행정적 보좌와 도심지적 기능도 지녔던 것은 여기가 성곽시설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고, 제주의 3곳 읍성만으로는 제주 지역의 행정적 관할과 도심지 기능이 조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았던 점도 작용했다고 본다. 그래서 제주 진성의 경우는 거개가 각 관할 읍성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또한 대다수의 진성이 도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여건도 갖춘 곳에 설치됐던 한편, 진성 간에도 일정한 간격을 둬 균형적으로 배치했던 것 같다.

보수 정비의 별도환해장성.png
▲ 보수 정비한 별도환해장성. 제공=김일우. ⓒ제주의소리
오소포연대.png
▲ 오소포연대. 제공=김일우. ⓒ제주의소리
탐라순력도 수록 서귀진(소장 제주시청).png
▲ 탐라순력도 수록 서귀진. 제공=김일우. ⓒ제주의소리

아마도, 조선시대 제주 관방시설의 분포상을 볼 때, 가장 주목되는 점은 연대와 봉수와 같은 군사통신시설의 연락망이 제주성을 지향하는 한편, 여기에서 그치고 있다는 사실이라 하겠다. 곧, 제주 군사통신시설의 연락망체계는 제주도내에서 하나의 완결체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된 데는 제주 지역이 한반도 육지부와 바다로 멀리 떨어져 있다는 지리적 격절성에서 연유했다고 손치더라도, 시사하는 바도 적지 않다고 본다. 그 예의 하나로서 연대와 봉수의 분포양상은 제주 사람의 자생적 의지, 더 나아가 제주 중심의 세계관 의식도 드러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듯싶다. <끝>

참고문헌

1. 자료 
《高麗史》, 《太宗實錄》, 《世宗實錄》, 《中宗實錄》, 《明宗實錄》, 《承政院日記》, 《濟州巡撫御史書啓》, 《新增東國輿地勝覽》, 《耽羅志》, 《南槎錄》, 《耽羅誌草本》, 《濟州邑誌》, 《旌義邑誌》, 《濟州啓錄》, 《觀風案》, 《耽羅紀年》

2. 저서 
김상옥, 1997, 「조선후기 제주지방의 군사제도」, 《19세기 제주사회 연구》, 일지사. 
김일우, 2000,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심정보, 1995, 《한국 읍성의 연구》, 학연문화사.
우도지편찬위원회, 1996, 《牛島誌》, 우도지편찬위원회. 
윤용혁, 2000,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정광중, 2004, 「제주지방- 과거와 현재」, 《한국지리지-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제민일보 4・3취재반, 1994, 《4・3은 말한다》 1, 전예원.
제주도 1996, 《제주의 방어유적》,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제주문화예술재단(책임연구원 김일우), 2009, 《화산섬, 제주문화재탐방》, 제주도.

3. 논문
강창언, 1991, 「제주도의 환해장성 연구」, 《탐라문화》 11.
고창석, 1999, 「「자료소개」 濟州巡撫御史書啓 朴天衡의 書契」, 《제주도사연구》 8. 
김명철, 2000,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읍성・진성과 봉수・연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동전, 2006, 「왜구의 침입과 방어시설」・「사회경제구조와 도민의 생활」, 《제주도지》 2, 제주특별자치도.
김일우, 2004, 「고려시대 탐라 주민들의 거주지역과 해상활동」, 《한국사학보》 18.
김일우, 2004, 「조선시대 濟州島 지역의 관방시설 정비와 水山鎭의 설치」, 《제주문화재연구》 2.
___, 2007, 「고려시대와 조선초기 濟州島 지역의 행정단위 변천」, 《한국중세사연구》 23.
___, 2008, 「고려・조선시대 외부세력의 제주진입과 제주여성」, 《한국사학보》 32.
___, 2011, 「조선시대 이전 耽羅國 중심 마을의 형성과 변천-濟州牧官衙址 일대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김일우・이정란, 2002, 「삼별초 대몽항쟁의 주도층과 그 의미」, 《제주도사연구》 11.
차용걸, 1980, 「조선전기 관방시설의 정비과정」, 《한국사론》 7, 국사편찬위원회.

4. 보고서
제주시・제주문화예술재단, 2011, 《도지정기념물 화북진성 복원계획 및 주변 문화유산 활용계획 수립 보고서》, 제주시.

168542_191311_3008.png
※ 필자 김일우 (사)제주역사문화나눔연구소장의 대표 논저

2000, 《고려시대 탐라사연구》, 신서원
2002, 〈고려후기 제주 법화사의 중창과 그 위상〉, 《한국사연구》 119 .
2003, 〈고려후기 제주・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화〉,《한국사학보》 15.
2007, 〈고려시대와 조선초기 제주도 지역의 행정단위 변천〉, 《한국중세사연구》 23. 
2015, 〈제주 항몽유적의 역사성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몽골학》 43.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