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 제주언론학회(회장 김경호,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교수)는 4월 26일 오후 2시 제주경제통상진흥원 2층 대회의실에서 ‘제19대 대통령선거, 공정보도와 제주언론’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제주의소리
제주언론학회, ‘대선과 공정보도’ 토론회…“경마식 보도 지양, 정책 비교·분석 우선”

선거보도와 관련한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는 정당·후보자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불편부당성과 함께 유권자를 중심으로 유권자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널리즘의 기본에 충실해 제공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언론학회(회장 김경호,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교수)는 4월 26일 오후 2시 제주경제통상진흥원 2층 대회의실에서 ‘제19대 대통령선거, 공정보도와 제주언론’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안명규 중앙선관위 인터넷선거보도 심위위원회 심의팀장은 ‘심의사례로 본 바람직한 선거보도의 조건’ 주제발표를 통해 19대 대선과 관련해 가장 달라진 언론환경의 특징을 ‘가짜 뉴스’의 등장으로 진단했다.

가짜 뉴스란 언론사를 사칭하거나 언론사가 아닌 웹사이트 등에서 기사형식을 교묘하게 이용해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유통 전파되는 허위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언론사가 아닌 사이트에서 만들어진 ‘뉴스 형식을 띤 허위 게시물’ 전체를 가짜 뉴스로 정의할 수 있다.

안 팀장은 “19대 대선과 관련해 중앙선관위 사이버선거범죄대응센터에서 삭제 요청된 건수가 4월17일 현재 2만5000건이 넘는다”면서 “다행스러운 것은 가짜뉴스 현상과 관련해 각 언론사에서 직접 ‘팩트체크’를 실시하는 경우가 늘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팩트체크’, 한국일보는 ‘팩트파인더’, 노컷뉴스는 ‘이거 레알?’, SBS는 ‘사실은’ 등의 코너를 운영하며 사실 확인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안 팀장은 직접 심의를 담당하는 입장에서 바라본 ‘바람직한 선거보도’ 유형도 제시했다.

먼저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선거보도의 기본이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는 “후보자의 이름, 사용하는 단어, 기호, 사람과 장소, 벌어지는 일에 대한 묘사 등 모든 면을 철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 팀장은 또 “정당·후보자와 관련해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불편부당성”이라며 “모든 언론사가 공유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임에도 가장 지켜지지 않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선거 감시견으로서 언론의 역할도 강조했다.

그는 “언론은 정당·후보들과 선거이슈에 대해 유권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거와 관련된 불법 행위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기자들의 경우 선거법의 기본적인 사안에 대한 숙지, 선관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선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넓은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매체의 특성을 살린 특화된 선거보도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안 팀장은 “방송은 선거와 관련된 중요한 의제를 설정하고, 그날의 주요한 캠페인 이슈 등을 신속히 보도하는 게 중요하고, 신문은 선거의 의미나 주요 이슈들의 비교분석 등과 같이 보다 전문적이고 심층적인 보도영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1.jpg
▲ 바람직한 선거보도 사례로 소개된 <제주의소리> 19대 대선 기획 '5.9대선, 제주의 선택은?'(왼쪽)과 선거참여 캠페인 영상. ⓒ제주의소리
유권자들의 정치적 관심과 선거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유권자 중심’ 선거보도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안 팀장은 “바람직한 선거보도는 유권자를 중심으로 유권자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널리즘의 기본에 충실해 제공한 것”이라며 “최근 우리 언론도 선거에 있어 시민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기획들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안 팀장은 ‘바람직한 선거보도’ 사례로 <제주의소리>가 지난해 치러진 20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한 ‘유권자가 후보자들에게 묻는다’와 19대 대선 기획 ‘5.9대선, 제주의 선택은?’과 선거참여 캠페인을 꼽기도 했다.

‘유권자가 후보자들에게 묻는다’ 기획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확보한 시민단체들과 수시로 만나 10가지 의제를 선정하고, 유권자 인터뷰를 통해 후보자들의 견해는 묻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각각의 의제에 대한 후보자들의 입장과 해법을 비교, 분석해 제공함으로써 유권자의 선택을 도왔다.

이에 대해 안 팀장은 “후보자들의 목소리 대신 유권자들의 바람을 전하는 ‘상향식 보도’가 돋보였다”며 “이는 인터넷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이용해 후보자들의 공약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개진과 유권자가 직접 후보자들에게 정책·공약을 개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마련해 실질적인 정치참여 행위가 이뤄지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언론의 16·17·18대 대선보도’를 분석한 고영철 제주대 언론홍보학과 교수는 “신문지면의 구성과 할당이 집권여당 중심으로 이뤄지는 등 보도의 불공정이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또 “각 정당의 선거 전략이나 정치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보도하는데 중점을 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유권자의 올바른 후보 선택을 돕는 데는 기여하지 못 한다”며 이벤트 중심의 보도보다 정책·공약을 비교·분석하고 해설하는 기획기사로의 전환을 주문했다.

아울러 “지역일간지들의 경영난으로 인해 신문의 지면이 줄어들면서 대선 관련 보도량도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러한 보도행태를 반복한다면 지역 유권자들은 지역 언론을 보거나 시청할 필요가 사라지게 된다”고 선거보도 행태에 대한 획기적인 전환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