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D-250일] ⑤제주도의원 선거, 변수 및 관전 포인트


전국 17개 시·도 단체장을 비롯해 ‘풀뿌리’ 지방권력을 선출하는 제7대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내년 6월13일 치러진다. 제주에서도 여론 향배의 1차 가늠자가 될 추석민심을 잡기 위한 ‘풀뿌리 일꾼’들의 물밑 선거전이 가열되고 있다. <제주의소리>가 추석 밥상머리에 올릴 선거이야기를 7회에 걸쳐 보도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제주도지사 선거 누가 뛰나?
2. 제주도지사 선거 관전 포인트는?
3. 제주도의원 선거(제주시) 누가 뛰나?
4. 제주도의원 선거(서귀포시) 누가 뛰나?
5. 도의원선거 관전 포인트 및 변수는?
6. 제주도교육감선거 누가 뛰나?
7. 교육의원 선거 누가 뛰나?
제주도의회 의원 선거가 8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구도나 결과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보수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고, 의원정수 확대 및 선거구 조정 문제 등 변수는 널려있다.

<제주의소리>가 추석명절을 앞두고 각 정당과 현역의원 등으로부터 교차 확인한 결과, 출마 예상자는 29개 선거구에 110명 정도 자천타천으로 거론되고 있다. 평균경쟁률이 ‘3.83 대 1’이나 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안정적인 체제 하에서 경선을 치르는 등 선거전을 준비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대선을 앞두고 갈라선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속내는 복잡하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각자 플레이를 할 경우 보수가 전멸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높다. 통합이 가시화될 경우 후보 단일화라는 난제를 풀어야 한다.

원내 제3당이면서도 제주에서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조직력을 갖추지 못한 국민의당의 선전여부에 따라 각 정당들의 셈법도 복잡해질 수 있다.

◇ [변수는?] 의원정수 확대·선거구 재조정·보수통합 등 변수 ‘수두룩’

가장 큰 변수는 선거구 획정이다. 의원정수를 현행 41명에서 43명으로 2명 늘리는 방안(특별법 개정)과 41명 정원 내에서 선거구역을 재조정하는 투 트랙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제주도의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 2월 지역구를 현행 29개에서 31개로 조정하고, 의원정수를 41명에서 43명으로 늘릴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중간에 ‘비례대표 축소’를 통한 지역구 의석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다 여론의 역풍을 맞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지만 여당인 민주당이 당론으로 ‘정수 증원’을 추진키로 하면서 특별법 개정에 청신호가 켜졌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도 ‘의원정수’에는 찬성 입장이다.

특별법이 개정된다면 헌법재판소의 인구편차 기준을 초과한 제6선거구(삼도1·2동, 오라동)와 제9선거구(삼양·봉개·아라동)이 분구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의원정수 확대를 위한 특별법 개정이 무산될 경우다. 이렇게 되면 29개 선거구를 재조정해야 한다. 기존 29개 선거구로 선거를 치르면 선거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어서다.

3년 전 이도2동 갑·을 선거구역 조정이 도의회 반대로 무산됐던 점을 감안해보면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지역구가 합쳐지거나 갈라질 경우 ‘기득권’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현역의원들의 반발 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

최근 중앙정치권에서 전개되고 있는 ‘보수통합’ 논의도 선거판을 뒤흔들 메가톤급 변수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소속 3선 국회의원 12명은 지난 9월27일 저녁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만나 ‘보수우파 통합 추진위원회’를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날 합의를 계기로 두 당 간의 합당·연대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바른정당 내에서 ‘통합파’와 ‘자강파’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실제 합당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만약 선거 전에 합당이 된다면 도의원 선거구도는 민주당과 보수정당 후보가 맞붙는 ‘1대1’ 또는 국민의당 및 정의당 등이 가세하는 3자 구도 정도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관전 포인트] 정권교체 이룬 민주당, 지방선거까지 ‘트리플크라운’ 달성하나?

도의원 41명 중 지역구를 둔 의원은 29명이다. 이 중 전반기 의장을 지낸 구성지 의원(안덕, 바른정당)과 후반기 의장을 맡고 있는 신관홍 의원(이도1·일도1·건입동)의 출마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통상 도의회 의장을 지낸 의원들은 차기 선거에 불출마하는 게 관행처럼 굳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의장 임기 중 지방선거를 치르는 신관홍 의원은 불출마에 무게를 싣고 있다. 반면 전반기 의장을 지난 구성지 의원의 경우 당에서 출마를 적극 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선 의원이 몇 명이나 탄생할 지도 관심이다.

현재 3선 의원 중에서 민주당에서는 좌남수(한경·추자면), 현우범(남원읍) 의원이, 바른정당에서는 고충홍(연동 갑), 하민철(연동 을) 의원이 4선 도전을 선언했다. 출마 가능성을 열어 둔 구성지 의원까지 합치면 5명이나 된다.

현역들의 ‘생환’ 비율이 얼마나 될 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제주의 경우 특별자치도 출범으로 기초의회가 사라지면서 정치신인들의 등용문이 좁아져 그 만큼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3년 전 지방선거 때는 29개 선거구에서 16명만이 재입성에 성공했다. 현역의원 생존율은 55%에 불과했다.

현역의원의 불출마로 ‘무주공산’이 예상되는 선거구에 누가 새로운 맹주가 될 지도 관심사다. 현재까지는 신관홍 의원 정도만 불출마로 마음을 굳힌 상태다.

의장을 역임한 구성지 의원 외에 건강 문제로 불출마가 예상되던 김천문 의원(송산·효돈·영천동, 자유한국당)도 최근 당에서 출마를 권유하면서 출마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다.

유리천장을 깬 선출직 여성의원들의 수성 여부도 관심을 끈다. 지난 선거에서는 이선화(삼도1·2동, 오라동), 현정화(대천·중문·예래동) 2명이 ‘제1호 선출직 여성의원’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들이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한다면 중앙정치권처럼 제주에서도 ‘여인천하’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진다.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집권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이 빼앗긴 제주도의회 ‘다수당’ 위치를 되찾을 지도 관전 포인트 중 하나다.

3년 전에는 29개 지역구 중 13곳에서밖에 승리하지 못하며 제1당의 자리를 당시 14석을 차지한 새누리당에 내줬다. 새누리당은 이후 바른정당과 자유한국당으로 갈라섰지만, 의장은 10대 의회 출범 당시 의석을 기준으로 바른정당이 계속 맡고 있다.

도민의 대표기관인 의회의 수장을 누가 맡느냐는 도지사에 누가 당선되느냐 만큼 도민사회의 관심이다. 8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도의원선거, 안개 속인 만큼 향후 변화무쌍하게 전개될 선거판에 도민들의 관심도 서서히 무르익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