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제주형 도시재생, 길을 묻다] (13) 기자수첩 / 중요한 건 지속가능한 변화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론으로 도시재생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제주의소리>는 최근 전국 곳곳에서 지속적인 지역의 변화를 꿈꾸는 이들을 만났다. 일본의 사례에 이어 새로운 움직임이 감지되는 서울 성수동, 천안, 대전 유성구를 찾아 건강한 제주지역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찾아봤다. <편집자>

194018_222948_3024.jpg
▲ 제주시 원도심인 삼도2동 일대. ⓒ 제주의소리 자료사진

<제주의소리>가 최근 살펴본 서울 성수동, 천안과 대전 유성구 등의 사례가 제주에 완벽한 교과서는 될 수 없다. 지역이 활성화됐더니 지역 집값이 오르는 상황과 마주하는 등 새로운 고민이 생기거나, 경제적 선순환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존재한다.

핵심은 그들의 성과를 겉핥기로 베끼는 게 아니라, 그 고민과 실행 과정에서 제주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찾아내는 데 있을 듯 하다.

먼저 지역사회, 주민과 도시재생의 방향성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현재 당국이 ‘도시재생은 주민중심이 돼야한다’는 말을 하고 있지만 당장 가까운 과거의 사례만 살펴봐도 주민들 입장에서는 의심을 할 수 밖에 없다. 신뢰회복이 첫 단추다. 그 신뢰회복은 단순히 주민참여로 가겠다는 의지 표현만으로는 부족하다. 주민참여 방식을 구체적으로 보장하고, ‘어떻게 주민참여를 이끌어낼 것인가’에 대한 로드맵도 마련돼야 한다.

그 다음은 당국의 구체적인 역할이다.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청년이슈에서 공통적으로 당국은 ‘판만 깔아주고 뒤로 빠지라’는 주문을 받는다. 이 대목에서 당국은 ‘하향식 행정은 지양해야 한다’ 정도의 문제의식까지는 공감하는 것 같지만 그 이후 어떻게 할 지 갈피를 못 잡는 듯 하다.

‘판만 깔아주고 뒤로 빠지라’라는 얘기는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의미가 아니라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해달라는 얘기다. 지속가능한 활동이 가능한 판을 만들고, 이후 ‘쪼아대지’ 말라는 메시지다. 자발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는 후견인의 역할을 담당해달라는 요청인 셈이다.

함께 건강한 지역사회를 꿈꾸는 이들이 자발적으로 네트워크를 만들 때, 그 연결을 가로막는 장벽들을 걷어주거나 힘을 실어주는 게 당국의 역할이라는 현장의 목소리다.

156549_176632_2540.jpg
▲ 문준영 <제주의소리> 자치경제부 기자. ⓒ 제주의소리
구성원들이 함께 핵심 규칙을 정하는 헤이그라운드라는 커뮤니티, 청년들을 정책 파트너로 인정한 천안시의 사례, 청년고리를 중심으로 한 유성구의 변화는 이와 맞닿아 있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제주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나와야 하겠지만, 적어도 이들이 지닌 공통의 경험에서 실마리를 찾아낼 수는 있을 것이다.

특히, 수백억원을 쏟아부은 하드웨어 중심의 지역활성화 모델이 작동하지 않던 곳에서 기존 자원과 사람을 적절하게 ‘연결’하는 게 효과를 봤다는 건 두고두고 참고해야 할 부분이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