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7. 용담1동 한두기 산물

 제주시 용담동은 ▲용소(龍沼)가 있고 ▲용연, 용담 또는 한천 쿤 둔덕에 머을(제주어로 자갈, 작은돌)도 있다고 알려지면서 한두기, 대응포, 대독포라 불렸다.

용담동에서 설촌 역사가 가장 오랜 마을로는 한천과 병문천 하류에 있는 한두기(한데기)를 꼽을 수 있다. 용연을 기점으로 동쪽은 동한두기, 서쪽은 서한두기다. 이 마을은 한천의 머리란 뜻으로 ‘한독(大甕·大獨)'이라 하다가 ‘큰 옹기처럼 생긴 갯가의 마을’이란 의미의 ‘대덕개, 대독개’(大甕浦)고 이름 지어졌다. 그 후 용연은 ‘용(龍)이 사는 못’이라는 용담(龍潭)으로 개명되었다. 동한두기의 대표적인 용출수는 병문천을 기원으로 하는 선반물과 동한두기물(중물, 갈마수)이다.

IMG_3360수.JPG
▲ 동한두기물 표석. 사진=고병련. ⓒ제주의소리

선반물(선반수)은 밀물이 되면 바닷물 속에 잠겨 버리는 산물로 병문천가에 있었다. 선반물은 제주시 도심의 5대 산물 중 하나로 금산물과 가막새미, 가락쿳물, 광양한우물이라 했던 우녀천과 함께 용출되는 양이 매우 컸다고 한다. 

이 용출수는 탐라국의 옛 성이라는 ‘무근성’과 용담동에서 제일 먼저 생긴 마을인 ‘부러리(용담1동 경로당 뒷동네)’ 사람들의 식수원이였다. 그러나 병문천 복개공사로 없어져 버렸다. 용출수가 솟아났던 자리인 동한두기길에는 선반수(仙盤水)란 돌 표석이 세워져있다.

DSCN0146n.jpg
▲ 선반물 표석. 사진=고병련. ⓒ제주의소리

동한두기물은 예전에는 돌로 싼 원형 산물 터를 갖고 있었으며, 선반물보다 바다 쪽인 북쪽에 있었지만 바닷물이 잘 들어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 산물은 목마른 말이 물을 먹는다는 의미의 갈마수 혹은 중물이라고 했다. 예전에는 ‘버랭이깍’으로도 불렸다. 

동한두기물은 병문천 복개 지역 끝 부분에 위치해 있는데, 하천과 바닷가 경계에 있는 산물로 동한두기 사람들이 주로 먹었다. 만약 이 물이 마르면 동한두기 사람들은 용숫물을 먹었다고 한다. 지금 용출수는 병문천 복개주차장에 있는 한두기(갈마수)란 표석 뒤 사각구조물 안에 목욕탕으로 개조되어 버렸다. 여름철에 유료냉천으로 관리되고 있다.

한두기내부.jpg
▲ 목욕탕으로 개조된 동한두기물. 사진=고병련. ⓒ제주의소리

# 고병련(高柄鍊)

cats.jpg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