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27) 토평동 폭포 용출수

토평동의 옛 지명은 산돼지 등 들짐승이 많았다고 하여 ‘돗드르, 돗벵듸’로 불렀다고 하나 확실치는 않다. ‘돗’은 돼지(멧돼지), ‘드르, 벵듸’는 벌판(들판)을 나타내는 제주어다. 이 마을은 지금의 정방폭포 윗냇가(속칭 묵은가름)에 사람들이 정착하였다가, 마을의 터가 풍수지리상 사람이 해마다 자살하거나 물에 빠져 죽을 지형이라고 하여 마을을 옮기기로 결정하면서 현재의 위치로 이주하였다고 전해진다.

정방폭포(대한민국 명승 제43호, 높이 23m, 너비 8m, 깊이 5m)는 동양 유일의 해안폭포로서 여름날 배를 타고 멀리서 바라보면 하늘에서 하얀 비단을 드리운 것 같다 하여 정방하폭(正房夏瀑)라고도 불린다. 

정방폭포에서 직선으로 동쪽 600미터 떨어진 곳에 소정방물로 형성된 5~6m 높이의 소정방폭포가 있다.폭포 물줄기가 열 개라는 소정방폭포는 용암류의 수평 절리가 20~30㎝ 두께로 발달되어 있다. 조면암질에 잘 발달하는 주상절리가 만든 수직형 폭포로, 정방폭포처럼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데 정방폭포보다 작다고 해서 소정방이라 한다. 정방폭포의 원류는 동홍천 정모시 여기저기서 용출되는 산물이다. 소정방물은 폭포에서 북쪽 100미터 상부의 과수원일대에서 용출되어 소정방이라는 아담한 폭포를 만든다. 일부는 인근 호텔과 농원의 조경이나 생활용수가 되고 있다.

정방1수.JPG
▲ 소정방폭포.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814수.JPG
▲ 정모시(동흥천 정방폭포 원류 용출지점).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정방원류수.jpg
▲ 소정방물 용출지점.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소정방물이 만든 폭포는 오래전부터 물맞이 장소로 정평이 난 제주도에서 몇 안 되는 장소이다. 제주에는 백중날에 물을 맞으면 백가지의 병이 낫고 처서날에 맞으면 천가지 병이 낫는다는 풍습이 있다. 그래서 여름철만 되면 많은 사람들이 물맞기 위해 먼 길을 마다하고 소정방폭포를 찾을 정도로 물 맞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 폭포는 아무리 무더운 한 여름이라도 5분 이상 물을 맞을 수 없을 정도로 차가운 산물이다. 폭포 옆에 있어도 한기를 느낄 정도다. 폭포 주변의 우거진 노송과 절벽의 단애, 그리고 섬 속의 섬인 서귀포 앞바다에 펼쳐진 섶섬과 문섬 사이로 동지나해를 향해 힘차게 나아가는 배들을 바라보면서 맞는 물맞이는 아팠던 몸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절로 신선이 된 듯 신선도 부러워 할 광경을 연출한다.

물 맞는 용출수로 섶섬을 마주보는 토평마을의 바닷가 거믄여에도 있다. 거믄여에 있어 거믄여물이라는 산물은 여러 군데서 솟아나는 산물이다. 바닷가 쪽은 거믄여물, 안쪽 도로가에는 거문여웃물이라 부른다. ‘거믄’은 ‘검은’의 제주어로 바다 빌레(너럭바위)가 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여’는 조수의 간만에 따라 물위에 나타났다 잠겼다하는 암초무리를 말한다. 

이 산물들은 보목동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했던 물로 예전에는 칠월 백중에 물 맞으려 오고가는 사람들이 쉬었던 동산인 ‘쉬는산’이란 언덕에서 이 산물을 떠다가 자리회를 만들어 먹으며 더위를 넘겼다고 한다. 

소정방 물맞이1n.jpg
▲ 소정방폭포 물맞이.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694수.JPG
▲ 거믄여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717수.JPG
▲ 거문여웃물 폭포.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730수.JPG
▲ 폭포를 만든 거믄여웃물 수로.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지금 거믄여물은 허튼 쌓기 한 바닷가 돌담 안에 있고 웃물(웃은 ‘위’라는 제주어)은 길가의 폭포수가 되어 도로 밑 수로를 통해 바다로 빠져나가고 있다. 용출되는 양이 많은 웃물 해안가 일대는 큰 빨래터였지만 지금은 시멘트 사각통만 남겨 그 흔적만 남아 있다. 

거믄여물의 원류는 거믄여길에서 북쪽으로 100미터 정도 언덕 위 여러 곳의 사각통 안에 있으며 산물들은 주변의 감귤농장이나 호텔, 그리고 별장에서 생활용수나 조경용수로 일부 사용하고 있다.

거믄여물 입구 동쪽 길가 언덕배기에서 솟는 산물은 거문여 입구의 큰물이라는 의미로 큰두물이라는 산물도 있지만 솟는 양은 거믄여웃물에 비해 그리 크지는 않다. 지금은 도로측구를 따라 유입된 물이 도로하부를 통해 바다로 빠져나가고 있다.

IMG_8690n.JPG
▲ 거문여 빨래터.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734수.JPG
▲ 거믄여물 수로.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739수.JPG
▲ 거믄여물 용출지점.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713n.JPG
▲ 큰두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 고병련(高柄鍊)

cats.jpg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