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28) 서귀포시 상효동 조개물과 돈내코물
  
쉐돈(우둔)이라 했던 효돈의 한라산 쪽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웃쉐돈, 상우둔’이라 불린 상효동. 이곳에는 설촌의 유래를 갖고 있는 조개물(조가물)이 있다. ‘쉐’는 소의 제주어이며, ‘둔(屯)’은 ‘여럿이 모여서 이룬 떼’란 뜻이다. 곧 ‘쉐둔’은 ‘소를 모아 두던 곳’이다.

서귀포지역의 지하수는 중력의 흐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강우에 매우 민감한 구조를 갖고 있다. 비가 와야 물이 풍부하게 솟아나는 지질구조로 인해 비는 많이 오나 물을 얻기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중산간에 해당되는 상효동이 대표적으로 수량이 풍부한 하천의 물을 주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지역이다.    

상효동 주 식수인 조개물은 수질이 좋고 수량도 풍부하여 토평에서까지 와서 물허벅으로 짊어 나르던 식수였다. 이 산물은 서상효 마을회관 북쪽 중산간동로 7634번 길가에 있다.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를 피해 조씨 성을 가진 사람이 이곳에 와 살면서 식수로 사용했다고 알려진 용출수다. 

IMG_8680n.JPG
▲ 조개(가)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687수.JPG
▲ 조개(가)물 내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산물은 옛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산물은 노인경로당에서 관리한다’는 조가물 팻말이 입구에 세워져 있다. 이 물은 도로 확장 등으로 일부 축소되었지만 하나의 통에 궤 같이 생긴 곳에서 솟아나는 원류와 식수를 구분한 찌그러진 사각형태의 통과 일자형 수로를 갖고 있으며 물팡과 돌담 등 옛 모습 그대로 마을의 유산으로 잘 보전되어 있다.

상효동에는 물과 관련된 ‘모레기도’란 지명이 영천악이 있는 동상효와 하례리 경계인 효돈천 학림교에 남아 있다. 모레기도는 하례리 양마단지에 사는 벙어리(농아)가 영천악 상효동에 사는 친척들과 왕래하기 위해 효돈천에 다리를 만들었다고 해서 모레기도라 한다. ‘도’는 어떤 장소의 입구이며 모레기는 벙어리의 제주어다. 

예전 모레기도 인근에 논밭을 만들려고 했었다. 1950년대 학림천의 고살리 샘에서 남쪽으로 하류 150m 지점인 모레기도에 저수지를 만들고, 깊이 4m에 넓이 5m 정도의 수로를 파서 마을까지 2km 정도 이어지게 해서 논밭을 만드는 계획이다. 그러나 숨골(굴) 등 투수성이 양호한 화산섬인 제주 섬의 용암지질의 특성으로 저수지에 가두어 놓은 물은 며칠을 가두지 못하고 지하로 침투되는 바람에 10여년 가깝게 막대한 예산을 들여 공사를 하고 쌀 한 톨도 생산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 당시 모레기도에 산물 터를 만들었던 돌담 일부가 하천 가에 남아 있다.

※ 숨골(굴) → 땅속의 숨구멍, 일종의 동굴 같은 땅속의 혈로 수직 수평적으로 비어 있는 틈새인 동혈의 일종으로 땅이 숨을 쉬는 것 같은 현상을 표현한다. 지표의 물을 지하로 이동시키거나 공기를 지하공간으로 대류시킬 수 있는 지질구조.
▲ 모레기도.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 모레기도 산물 터 일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한라산 정상을 분수령으로 하여 남류하는 하천 중 가장 긴 하천은 영천이다. 법호촌 지역에서는 돈내코계곡이라 부른다. 이 지역은 멧돼지의 서식처인 ‘돗(돼지의 제주어)드르(들, 벌판의 제주어)’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멧돼지(돈[豚])들이 물을 먹던 내(하천)의 코(입구, 길목의 제주어)라는 뜻에서 이름 붙여졌다. 

이 돈내코 계곡의 산물은 하천변 여러 지점에서 솟아나는데, 대표적인 곳이 높이 5m 정도의 두 개의 물줄기가 마주보는 형세로 쌍으로 떨어진다고 하여 붙여진 원앙폭포이다. 

이 산물은 일제강점기(1932년)에 상효 사람들 식수 수원지로 개발되어 자연유하식 수도가 시설되면서 토평과 신효 등에 공급했다. 현재 수원지는 폐쇄된 상태다. 돈내코 일대에 형성된 법호촌은 제주4․3때 폐동되었다가 정부의 허가를 받은 ‘귀농정착개척단’이 다시 이주하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천둥(천재)약수가 모자랄 때 돈내코 물을 식수로 사용했다고 한다. 지금은 메말라 찾기가 힘들다. 

IMG_8651수.JPG
▲ 원앙폭포.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IMG_8669n.JPG
▲ 돈내코물(나는물도).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돈내코를 이 지역에서는 ‘나는물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렇게 부른 이유는 한라산에 내린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잠류한 지하수가 고저차인 중력에 의해 돈내코에 도달해서 용출되어 계곡을 따라 흐르기에 ‘물이 나는 입구’라는 뜻에서다.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고 상록수림으로 울창하게 덮여 있는 돈내코계곡. 생태계의 보고로서 생태 탐방 명소로 유명하다. 영천동은 매해 여름마다 돈내코 계곡 원앙축제를 열고 있다. 돈내코물은 맑고 차서 신경치료를 위해 물 맞는 장소로 널리 알려지면서, 원앙폭포와 함께 최고의 담수욕장 핫 플레이스(인기장소)로 꼽힌다. 

이곳 돈내코 일대에 제주도 한란(천연기념물제191호)이 자생하고 상록수 천연림을 이룰 수 있는 것은 하천 계곡에서 솟는 산도록(차가울 정도로 시원하다는 뜻의 제주어)한 제주산물인 용출수가 있기 때문이다. 

# 고병련(高柄鍊)

cats.jpg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