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 서로 같으나, 족보를 함께할 수가 없는 집단이 있게 됩니다.

이를테면 신라말 시조 그 아래를 잊어버렸다가 고려중엽, 고려말엽에 이르러 중시조가 나타나게 된 것이 우리나라 성씨가 지닌 대충의 모습입니다.

중시조가 같은사람들 끼리 일가로 되어서 족보를 같이 지니게 되는 것입니다. 촌수 계산이 되는 사람들 끼리 모여서 족보를 만들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광정부군파와 화숙공파, 사성공파는 촌수계산이 불가합니다.

중시조가 서로 다르게 되는 집단 사이는 촌수가 계산될 수가 없게 되어서 일가로 되지 못하고, 종씨로 됩니다.

일가들 끼리는 촌수가 계산되기에 <할아버지>, <할머니>, <아제>, <형>, <대부>, <아우>라는 걸림말을 사용하게 됩니다.

종씨들 사이는 촌수가 계산될 수가 없는 것이어서 <할아버지>, <할머니>, <대부>, <아제>, <형>, <아우>라는 걸림말이 사용되지 못하고, 서로가 <종씨>라는 걸림말을 사용합니다.
<종씨 나오셨습니까?>라고 말하면 <예, 종씨는 언제 오셨습니까?>라고 말을 하게 됩니다.

(효도언어)

최훈영의 언어예절 홈페이지 바로가기 →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