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46) 신흥리 왯개 산물

신흥리는 조천과 함덕 사이에 있어서 땅은 좁고 물가를 따라 길게 뻗어 있는 마을이다. ‘왜개, 왯개, 예포, 옛포’라 하여 한자표기로 왜포(倭浦) 혹은 고포(古浦)라 하였다. 마을 바닷가에 물살이 가장 세 제주의 울돌목이라는 ‘관(간)곶’이 있는데, 관곳은 육지 끝인 해남의 땅끝마을과 84km밖에 되지 않아 육지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관곳은 새배코지 서쪽에 있는 곶으로 ‘관’은 조천관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마을은 옛날 제주 섬의 창조신인 설문대할망이 육지로 연결하는 다리를 놓아주겠다고 했던 전설의 장소이기도 하다. 설문대 할망이 속옷 하나 만들어 주면 육지까지 연륙교라는 다리를 놓겠다고 한 다리의 흔적이 있는 장소가 바로 조천리, 신흥리에 경계한 바다가 높은 언덕인 엄장매(엉장메)이다.

신흥리 마을의 중심이 되는 산물이 있다. 이 산물도 신촌과 조천처럼 ‘큰물’이라 부르는 산물로 마을 안에서 솟아난다. 산물은 함덕고등학교에서 바닷가 쪽으로 내려가면 마을 어귀에 자리하고 있으며, 암반 틈에서 용출하여 쉐물깍 옛 포구가 있는 바다로 흐른다. 이 산물은 여자전용으로 여잦(여자를 뜻하는 제주어)물이라고 하여 신흥리의 설촌 배경이 되고 마을의 중요한 식수원으로써 귀한 생명수였다.

큰물 전경n.JPG
▲ 큰물전경(앞족은물, 뒤 큰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산물은 두 군데서 솟는데 좌측 물통은 제일 높은 암반에서 용출하며, 사각 형태의 식수통에 모여진 물은 식수로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넘친 물은 배추나 나물 따위의 음식물을 씻는 용도로 이용되었다. 우측 물통은 사각통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Y자 형태로 물을 나눴는데, 우측의 것은 남자들이 사용하고 좌측의 것은 여자들이 사용했다. 흥미로운 것은 같은 곳에서 물을 사용하더라도 남녀를 구분하여 사용했었다. 이렇게 한 것은 서로의 영역을 지키며 서로를 존중한다는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지금은 현대식(2007년)으로 이용하기 좋게 비가림을 하고 시설을 개수했지만 햇빛이 차단되어 바닥에 이끼가 잘 끼며 미끄러져 다칠 수가 있어 조심해야 한다. 이 산물 입구에 있는 산물은 족근물(작은물의 제주어)로 아이들이 물 놀이터였다.

개수 전 큰물n.jpg
▲ 개수 전 큰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개수 후 큰물n.JPG
▲ 개수 후 큰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큰물내부n.JPG
▲ 큰물 내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큰물 물놀이n.JPG
▲ 큰물 물놀이 모습.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작은물n.JPG
▲ 족근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길 건너 동쪽에 ‘새깍물(돈물깍, 쉐물깍)’이 있는데, 큰물과 동글랑물이 흐르는 작은 내 형태의 골짜기와 언덕이다. 여기서도 동글랑물(동골랑물)이란 서나물(신흥물)이 용솟았는데 지금은 도로가 개설되면서 없어지고 그 밑에 남자목욕탕을 새로 만들었다, ‘동글랑’은 둥그렇다는 제주어이고 ‘서나’는 남자를 뜻하는 제주어다. 새물깍은 바다와 연접한 이팝나무 자생지이기도 하며, 마을의 소들이 물을 먹였던 곳이다. 지금은 새물깍의 바위구멍에서 용출되는 산물을 이용하여 메워버린 동글랑물처럼 둥그렇게 물통을 만들고 남자를 뜻하는 서나물(소남물, 소랑물)인 동글랑물의 명맥을 간직한 채 사용한다.

남자목욕탕n.JPG
▲ 남자목욕탕.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남자목욕탕 내부n.JPG
▲ 남자목욕탕 내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설문대 할망이 다리를 놓았다는 그 흔적이 조천과 신흥리 앞 바다, 신촌리 앞바다, 모슬포 등 제주 섬 곳곳에 있는데, 바다로 흘러 뻗어간 바위줄기가 바로 그것으로 특이한 공통점은 주변에는 바닷가 산물이 솟아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신흥리 산물인 큰물을 여잦물이라 한 것은 아마도 여신인 설문대할망이 연륙다리를 놓으면서 목을 축인 산물이라는 뜻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닌가 한다.

# 고병련(高柄鍊)

cats.jpg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