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74)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① 명사벽계 산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는 대정향교가 있어 선비들의 왕래가 잦았는데 도둑들이 길목을 지키다가 이들이 갖고 있는 돈과 귀중품을 강탈하는 일을 일삼았다 하여 ‘거물로(巨物路)’, ‘거문질(검은질)’로 불렸다.

도둑들로 인해 주민 인심이 흉흉해지자 깨끗한 모래와 시냇물을 비유하여 명사벽계(明沙碧溪)인 ‘사계(沙溪)’로 바꾸었다고 한다. 

이 마을에서 식수로 시용한 대표적인 산물은 산방산 남측 끝자락에 위치한 큰물이다. 이 산물은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끊이지 않는다고 하여 유래됐다. 연중 마르지 않고 처음 상태로 물이 계속 나온다 하여 ‘대천물’, ‘대수’라 하였다. 이 산물로 인해 이 동네를 대수동이라고 부른다. 

1. 큰물.JPG
▲ 큰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2. 큰물 내부.JPG
▲ 큰물 내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이 산물은 2개의 물통으로 구분하여 식수로 사용했으며 물허벅을 놓는 물팡이 양쪽에 있다. 그리고 큰물인 대수물이 내리는 곳에 물골(도랑)을 만들고 빨래를 할 수 있도록 빨래터를 만든 것이 특색이다. 1971년에 시멘트로 덧씌워 개수하고 하명수(下命水)라 써 놓았는데, 그 의미는 ‘산방산 밑에서 나는 좋은 물(생명수)’이라는 뜻으로 짐작된다. 이 산물의 특징은 물이 솟는 지점이 바다를 향하지 않고 산방산을 향해 있다. 거슨물인 셈이다. 거슨물은 높은데서 낮은 데로 순리대로 흐리지 않고 거꾸로 흐르는 역행수다. 이 산물은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으며 동네 아낙네들의 빨래터로 이용되고 있다.

3. 큰물빨래터.jpg
▲ 큰물빨래터.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큰물이 있는 대수동에는 남자목욕탕인 당물, 여자목욕탕인 정물도 있다. 당물은 큰물 입구에 있는 산물로 그 자리에 큰물당이 있었다는데서 연유한 이름이다. 당에서 굿할 때 이 산물을 사용했다. 이 당의 신은 한라산에서 솟아난 ‘사계큰물당신’이라고 전해진다. 산방산 굴이 너무 좁아 바닷가를 보니 혈맥이 보여 여기에 좌정한 신이라고 한다. 사각 시멘트 담 안에 있던 당물은 지금은 현대식 목욕탕으로 개조되었다. 

4. 당물 개수 전.jpg
▲ 당물 개수 전.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5. 당물 개수 후.JPG
▲ 당물 개수 후.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6. 당물 내부.JPG
▲ 당물 내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큰물 빨래터 밑에 있는 정물은 예전에는 논에 물 대는 산물이었다. 두 군데에 돌담으로 보호됐는데 위에 있어 웃정물과 아래 있는 알정물로 구분한다. 웃정물은 여자들이 목욕하는 장소로 여자목욕탕이다. 그리고 알정물은 농기구를 씻거나 우마용 또는 농업용수로 사용된 물이다. 여기서 웃은 위를 뜻하며 알은 아래를 뜻하는 제주어다. 정물로 들어가는 입구에 옛날 논둑에 있던 생이물이 방치된 채 일부 허물어져 있다. 생이물은 새만큼 적은 물이라는 뜻이다. 이 산물들은 못 형태로 하나의 원형 물통을 가진 물이다. 아직 옛 모습이 보존되어 있으나 찾는 사람이 뜸해지면서 방치되어 많이 훼손되어 있다. 지금이라도 더 이상 훼손되지 않게 정비와 관리가 필요하다.

7. 웃정물.JPG
▲ 웃정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8. 훼손 전 웃정물.jpg
▲ 훼손 전 빨래하는 모습(웃정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9. 알정물.jpg
▲ 알정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10. 생이물.JPG
▲ 생이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대수동 큰물 하부지역은 예전엔 논이었으나 지금은 습지 형태로 여기저기서 많은 물들이 솟아나고 있다. 이 논 지역 일대에 보존되어 있는 산물로 양가(양계)물이 있다. 이 산물은 당물에서 하부 남서쪽 150미터 지점에 있는 산물로 주택 뒤에 숨어 있다. 산물은 출입하는 입구의 올레, 사각식수통, 빨래통, 물팡, 물턱 등 옛 원형 그대로 잘 간직되어 있다.

11. 양가물 올레.JPG
▲ 양가물 올레.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12. 양가물 내부.JPG
▲ 양가물 내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대수동 큰물이 빠져 나가는 사계포구에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산물통이 있다. 이곳에서 산물이 용출되지 않지만 상부의 큰물과 양가물, 논지역 물들이 모여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에 물통을 설치하여 생활용수로 이용한 물통이다.

13. 산물통.JPG
▲ 산물통.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이 물통 입구시멘트 벽에 ‘화덕금지, 너도 나도 깨끗이 1967년’이라고 쓰여 있는 것으로 볼 때 5.16쿠테타 이후에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화덕금지라 쓰인 것으로 보아 여기서 취사나 빨래를 삶았던 것을 알 수 있다.

14. 화덕금지.JPG
▲ 산물통 입구에 써 있는 '화덕금지'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용은 우리말로 ‘미르’라고 부른다. 미르는 물이라는 뜻도 있다. 사계리는 지형 지세가 마치 용이 머리를 쳐들고 바다로 뛰어 들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용머리’가 마을을 지키고 있어 용의 기운에 의해 물이 풍부한 마을이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 주위에 있는 산물들이 알게 모르게 하나 둘 씩 사라지고 있다. 방치된 웃정물과 알정물도 마찬가지로 관리가 시급하다. 이대로 놔두면 사라질 수 있다. 이 산물들은 물이기 전에 마을을 지키는 용이기에 더 늦기 전에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산방 눈물샘.jpg
▲ 산방 눈물샘.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 산방굴의 눈물샘

산방산은 산이란 명칭을 가진 제주 섬에서 몇 안 되는 오름이다. 방처럼 생긴 굴이 있다고 하여 산방산으로 명명됐다. 한라산 화산 폭발 때 산봉오리가 이곳으로 날아와 생겼다고 한다. 이 산봉오리가 있던 자리가 지금의 '백록담'이라는 전설이 있고, 산머리에 구름이 생겨 둥근 테를 맺으면 비가 온다고 전해지는 산이다. 이 산에 굴이 있는데, 이 굴 안에서 산방덕이란 처녀가 죽어 바위가 되었다고 하며, 굴 천정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데, 산방굴사의 샘은 인연을 다하지 못한 남편을 그리워하는 산방덕이의 한없는 사랑의 눈물이라는 전설로 관광객들이 연중 끊이지 않는다.

영주십경 중에 하나인 산방굴사는 해식동굴로 굴 천장에서 흐르는 물을 마시면 장수한다는 속설과 아기가 없는 여자가 물을 받아 마시고 백일정성을 드리면 효험이 있다고 전해진다. 애기를 점지할 때 물이 거의 마르면 계집아이를 점지해주고, 물이 철철 넘칠 때는 사내아이를 점지해준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한라산의 한 봉우리가 무너져 우뚝 솟았다. 방처럼 생긴 큰 석굴에서 물방울이 떨어져 샘이 되었다(俗云漢拏産一峰頹而峙于此 ...大石窟 水自石上點滴而爲泉)’고 기록한다.


# 고병련(高柄鍊)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