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물’은 다른 지역 그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뿌리내려 숨 쉬는 모든 생명이 한라산과 곶자왈을 거쳐 흘러나오는 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각종 난개발, 환경파괴로 존재가 위협받고 있다. 제주 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 요즘, 남아있거나 사라진 439개 용출수를 5년 간 찾아다니며 정리한 기록이 있다. 고병련 제주국제대 토목공학과 교수의 저서 《섬의 산물》이다. 여기서 '산물'은 샘, 즉 용천수를 말한다. <제주의소리>가 매주 두 차례 《섬의 산물》에 실린 제주 용출수의 기원과 현황, 의미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제주섬의 산물] (100) 상·하모리 독·설산이 산물

모슬포는 상모 동북쪽에 위치한 ‘들메기(정지논 서북)’와 하모 서쪽에 위치한 ‘논물거리’에 처음으로 부락이 형성되어 싱모리와 하모리를 합쳐 모슬개(모슬포)라 한다. 상모슬리와 하모슬리라 하다가 '슬(瑟)' 자가 줄어져 상모리, 하모리로 개칭되었다. 상하모리 바닷가에는 세 곳에 모래판이 있어서 ‘모슬, 모살‘에 연유한 이름이다. 그래서 바닷가 모래 언덕을 아울러 모살개(사포·沙浦)가 모슬포란 명칭을 갖게 된 것이다.

상모리 산이수동(山伊水洞)은 예전에는 조수동(鳥水浦)이란 명칭으로 불러오다가 산 혹은 엉알(동산 밑)에서 물이 솟아나는 마을이란 뜻으로 산이수동(山伊水洞)이라고 개칭되었다. 마을 이름과 맹락을 같이하는 산물인 산이물(독산이물)이 있다. 

1. 산이물(독산이물).JPG
▲ 산이물(독산이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산이물이란 명칭은 파도가 소리쳐 운다는 ‘절울이’에서 송악산의 물이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다르게 ‘독사니물’로 부른 것은 하모3리에 있는 산이물과 구분하기 위해 ‘동쪽 산물’이란 뜻이다. 

산물은 서쪽 송악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송악산 밑 해안가는 드라마 <대장금> 촬영지로, 마라도로 출항하는 여객선이 정박하며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다.  2009년 산이물 복원 공사로 현대적으로 새 단장하여 산이물이란 표석을 세우고 물허벅을 진 여인상을 세우고 보전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물허벅 여인상은 없어져 버렸다. 

2.산이물(독산이물) 모습1.JPG
▲ 산이물(독산이물) 모습.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3. 산이물(독산이물) 모습2.JPG
▲ 산이물(독산이물) 모습.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안타까운 것은 재정비하면서 만든 물통들은 구배를 두지 않아 물이 원활하게 바다로 흘러 갈 수 없어서 때때로 물이 정체되어 썩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래서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은 물에서 나는 악취로 인해 외면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개선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산이물 동측 건너편 언덕 아래서 생이물이란 산물이 용출된다. 생이물의 ‘생이’는 새의 제주어로, 새가 와서 목욕하고 먹는 작은 물(鳥水)이란 뜻이다. 사람만 먹은 것이 아니라 자연과 더불어 모든 생명들이 생명수로 ‘살아 있는 물’이란 뜻을 갖는 산물이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태풍으로 일부가 파손되어 흉물처럼 방치되어 안타까움이 앞선다. 시급히 보수가 필요한 실정이다.

4. 생이물(앞)과 산이물(뒤).JPG
▲ 생이물(앞)과 산이물(뒤).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5. 파손된 생이물.JPG
▲ 파손된 생이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하모3리 바닷가 신영로36번길 서산사로 가는 올레11코스에도 산이물(설산이물,  섯(섣)산니물)이 있다. 

이 산물은 한라산에서 내려온 물이 서쪽에서 솟는 ‘서쪽 산물’이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산물 입구에 산이물이라는 돌 표지석을 세우고 입구는 돌을 붙인 아치형 문을 만들고 정비되어 있다.

6.산이물(섯산니물).JPG
▲ 산이물(섯산니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이 산물은 밀물 때 바닷물이 밀려들어 사라지기 때문에 썰물 때만 이용할 수 있는 물이다. 원형의 산물 내부는 돌담으로 둘로 나누어, 산물 하나를 여자 전용의 식수터와 남자 전용의 목욕장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7.산이물(섯산니물)1.JPG
▲ 산이물(섯산니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8.산이물(섯산니물)2.JPG
▲ 산이물(섯산니물).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산물은 남녀를 구분하기 위해 여자 전용의 식수통에서 흘러 나와 회전하듯 두 갈래의 물길을 만들고 바다로 흘러가도록 만들었다. 남자 전용에는 목욕통만 있다. 그런데 물허벅을 질 수 있는 물팡이 여자전용에 있어야 하는데, 남자 전용에 만들어 버린 것이 아쉬움이 남는다.

9.사진9 산이물(섯산니물) 식수통.JPG
▲ 산이물(섯산니물) 식수통. 제공=고병련. ⓒ제주의소리

# 고병련(高柄鍊)

제주시에서 태어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거쳐 영남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에서 수자원환경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공학부 토목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제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사단법인 동려 이사장, 제주도교육위원회 위원(부의장)을 역임했다. 현재 사회복지법인 고연(노인요양시설 연화원) 이사장을 맡고있다. 또한 환경부 중앙환경보전위원과 행정자치부 재해분석조사위원, 제주도 도시계획심의, 통합영향평가심의, 교통영향평가심의, 건축심의, 지하수심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지금은 건설기술심의와 사전재해심의 위원이다.

제주 섬의 생명수인 물을 보전하고 지키기 위해 비영리시민단체인 ‘제주생명의물지키기운동본부’ 결성과 함께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제주 용천수 보호를 위한 연구와 조사 뿐만 아니라, 시민 교육을 통해 지킴이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섬의 생명수, 제주산물> 등의 저서와  <해수침입으로 인한 해안지하수의 염분화 특성> 등 100여편의 학술연구물(논문, 학술발표, 보고서)을 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