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범국민위, 지난해 교육 참가자 2000여명 설문...23%, 4.3 전혀 몰라

서울부터 포항까지, 전국 2000여명이 답한 제주4.3의 최우선 과제는 '전국화'와 '정명-이름 찾기'다.

사단법인 제주4.3 범국민위원회(범국민위)는 4.3 70주년을 맞아 제주도의 지원으로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전국 순회 교육을 진행했다. 전국 초·중등학교 100여 곳과 시민단체 40여 곳을 방문해 4.3을 통한 평화·인권 교육을 가졌다. 

총 139회에 8000여 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서울 송파구, 양천구, 전라남도, 대구, 포항 등 전국을 아울렀다. 강사는 역사학자와 4.3활동가들로 40여 명이 참여했다.

지난해 8월 31일 대구아트도서관에서 열린 4.3 교육. 제공=제주4.3 범국민위원회. ⓒ제주의소리
제주4.3 범국민위원회가 지난해 8월 31일 대구아트도서관에서 개최한 4.3 교육 장면. 제공=제주4.3 범국민위원회. ⓒ제주의소리

강의 자료는 제주관광공사에서 만든 자료와 범국민위가 준비한 것을 기본으로 했다. 더불어 미군정 촬영 영상과 국내에 공개된 다양한 영상도 활용했다.

범국민위는 13개월간의 교육 결과를 설문지로 정리했는데, 총 2096명이 설문에 응했다.

4.3에 대해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23%는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고 답했으며, 19%는 ‘4.3이라는 사건이 있었다’고 소극적으로 답했다. 42%가 구체적으로 4.3의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셈이다. 4.3의 성격은 48%가 ‘국가폭력에 의한 민간인 학살’, 17.9%가 ‘미군정과 경찰의 탄압에 대한 저항’으로 응답했다.

'북한과 연계된 공산주의자들의 반란’(7.5%), ‘남로당 지시에 따른 폭동’(4.1%) 등 11.6%가 왜곡된 인식을 보였는데 이에 대해 범국민위는 "왜곡된 인식의 대부분이 20대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설문 응답자 가운데 76%(1582명)가 20세 이하라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제주4.3 범국민위원회에서 지난해 3월 7일 송파마을공동체 즐거운가에서 진행한 4.3 교육 현장. 제공=제주4.3 범국민위원회. ⓒ제주의소리
지난해 3월 7일 송파마을공동체 '즐거운가'에서 진행한 4.3 교육 현장. 제공=제주4.3 범국민위원회. ⓒ제주의소리
지난해 12월 6일 강남 개원중학교에서 진행된 4.3 교육. 제공=제주4.3 범국민위원회. ⓒ제주의소리
지난해 12월 6일 강남 개원중학교에서 열린 4.3 교육 현장. 제공=제주4.3 범국민위원회. ⓒ제주의소리

범국민위의 교육이 도움이 됐는지 묻는 질문에는 ‘그렇다’라는 답변이 38.5%를 차지하는 등 긍정적인 의견이 83.8%를 차지했다. 구체적인 의견으로 ‘4.3의 배경으로서 제주의 역사와 특성’(35.3%), ‘4.3 당시 학살(희생의 양상과 규모)을 알게 되었다’(30.2%), ‘해방에서 분단으로 이어지는 정국 흐름과 4.3의 관계’(17.7%), ‘4.3의 진상규명과 해결 과정’(13.0%) 순이다.

70주년을 맞는 4.3의 과제로는 ‘국민들과 공유하는 전국화’라는 응답이 36.4%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4.3의 역사적 평가와 정명(바른 이름) 찾기’(25.2%), ‘배·보상 등 정의로운 청산을 위한 특별법 개정’(19.2%)이 뒤를 이었다. ‘4.3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묻는 일‘도 15.7%이나 응답했다.

범국민위는 “지난 1년 간의 강의를 돌아본 결과, 제주 안에서의 4.3강의 뿐만 아니라 섬 밖에서의 강의도 4.3의 진실을 밝히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전국화에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