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이 정한 세계물의날(3월22일)을 하루 앞둔 21일 제주참여환경연대(공동대표 이정훈·최  현·홍영철)가 성명을 내 제주도의 물 위기 상황을 총체적 난국으로 규정하고 제주도에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공론의 장 마련을 촉구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016년 제주하수처리장 하수 방류사태(하수대란), 2017년 중산간지역 35일 제한급수(상수대란), 지하수위 최저치 하강과 염분검출(지하수대란), 그리고 2018년 신화월드의 하수역류사태 등을 총체적 난국의 근거로 들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이러한 물위기의 근본 원인은 난개발이라고 진단했다. 

하수처리시설이 이미 포화된 상황에서도 각종 개발 사업에 대한 허가를 남발했고, 2016년 하수방류사태 이후 계속해서 기준치를 초과한 하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상황에서도 숙박시설 허가와 타운하우스 허가가 줄기차게 증가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원인으로 제주도정의 안이한 대처를 꼽았다.

2017년 제한급수 상황에서도 의무절수시설(10실 이상의 숙박시설 등)에 대한 지도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았고, 기후변화로 증발량과 유출량이 늘어 지하수 함양률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음에도 여전히 과거의 기준으로 이용량을 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제주도정이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해 물순환기본계획과 기본조례를 수립하고 있는 것에 대해선 관점과 방향성 면에서 환영을 표시하면서도 겉치레 행정에 머물고 있다고 비판했다. 

물순환 기본조례는 빗물이용이나 절수관련 계획, 저영향개발기법, 중수도 이용, 하수재처리 사용,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모니터링 등 물순환과 관련된 계획을 총체적으로 담아야 하는데도, 현재 입법예고 중인 기본조례안에는 저영향개발기법에 대한 내용만 들어있다고 주장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아무리 물문제가 시급하지만 물순환 기본조례의 입법과정과 물순환기본계획의 수립과정에서 제주도민들과 소통하고, 보완해야 한다”며 “쓰레기요일제배출처럼 행정의 일방적인 결정을 따라오라는 과거 방식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도민 소통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물 문제 해법에 대한 소통과 공론의 장 마련, 기본 조례안 입법기한 연장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