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봉개동쓰레기매립장주민대책위원회, 19일 오전 5시부터 입구 통제

 결국 제주에서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됐다. 제주시 봉개동 쓰레기매립장에서 처리해온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대형폐기물과 재활용품의 진입을 주민들이 막아서며 우려가 현실이 됐다. 

19일 오전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들이 봉개동 주민들의 반발로 쓰레기매립장으로 진입하지 못해 대기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봉개동쓰레기매립장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김재호, 대책위)는 19일 오전 5시부터 쓰레기매립장 입구를 막아섰다.
 
이날 새벽부터 봉개동 주민들이 쓰레기매립장 입구를 봉쇄했고, 행정 공무원 등이 현장에서 주민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경찰도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현장을 지켰다.
 
제주시 음식물쓰레기 차량은 총 24대다. 대부분의 차량은 오전과 오후 2차례 쓰레기를 수거한다.
 
오전에 수거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지 못하면 오후부터는 음식물쓰레기 수거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특히 제주시 동(洞)지역의 음식물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진다.
 
재활용품 수거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가연성 쓰레기의 경우 북부광역소각장으로 진입하지만, 재활용품과 대형폐기물 등은 처리시설이 있는 봉개쓰레기매립장으로 진입해야 한다. 
 

이날 오전 가연성 쓰레기 수거를 마친 차량들은 오후에는 재활용품 수거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재활용품을 수거하더라도 쓰레기매립장 진입 자체가 불가능할 전망이다.

ⓒ제주의소리
김재호 대책위원장이 투쟁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대책위가 봉개동 쓰레기매립장 입구를 봉쇄하고 주민과의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대책위는 이날 오전 6시 쓰레기매립장 입구에서 투쟁선언문을 낭독하면서 지속적인 싸움을 예고했다.

대책위는 “봉개동쓰레기매립장은 1992년 8월부터 가동됐다. 2011년, 2016년, 2018년 3차례 연장을 협약했다. '쓰레기 대란'을 막아달라는 행정의 요구에 주민들은 공익적으로 연장에 합의했다. 헌법에 보장되는 기본권인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한 권리도 침해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번의 연장도 모자라 다시금 연장을 요구하는 작금의 현실에 주민들은 통탄한다. 그동안 내려놓았던 우리의 권리를 투쟁의 깃발 아래 들고 일어서겠다. 오늘(19일)부터 봉개동쓰레기매립장 폐쇄를 선언한다. 어떠한 폐기물 반입도 금지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지난해 8월 제주도, 제주시 3자간 체결한 협약서에 명시된 2021년 10월31일까지 봉개동 음식물처리시설을 색달동 음식물류쓰레기처리시설로 이설할 수 있도록 계획을 재수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제주의소리
봉개동쓰레기매립장 주민대책위는 19일 새벽5시부터 봉개동쓰레기매립장 입구를 막고 음식물쓰레기처리 차량들의 진입을 막고 시위를 벌였다. ⓒ제주의소리

또 매립장 내에 야적된 압축쓰레기와 폐목재의 반출·처리 및 봉개동 악취관리지역 지정 관리, 매립지 최종 복토 등 협약사항 준수를 촉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제주시 관계자는 “현장에서 계속 주민들을 설득해 '쓰레기 대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봉개동 주민들은 서귀포시 색달동에 건설되고 있는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준공 지연을 원인으로 쓰레기 반입 거부에 나섰다.
 
3자 협약에 따르면 색달동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이 준공되면 봉개동 음식물처리시설을 중단키로 했다.
 
색달동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은 당초 2021년 10월께 준공 예정이었지만, 행정절차 지연 등으로 오는 2023년 상반기로 준공이 늦춰지면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