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동굴보호관리 제도화 방안 토론회…“등급기준 마련, 조례 뒷받침 필요”

지난 8월30일 이승아 의원 주관으로 제주도의회에서 열린 ‘제주 천연동굴 보호관리 제도화 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토론회’.  ⓒ제주의소리
지난 8월30일 이승아 의원 주관으로 제주도의회에서 열린 ‘제주 천연동굴 보호관리 제도화 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토론회’. ⓒ제주의소리

170여개에 달하는 제주도의 천연동굴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3D측량기술을 이용한 지리정보화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동굴 등급의 체계화를 통한 문화재 관리의 객관화 및 효율화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놨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지난 8월30일 의사당 소회의실에서 ‘제주 천연동굴 보호관리 제도화 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안웅산 세계유산본부 ‘제주 용암동굴의 특성과 향후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도에는 178개의 용암동굴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으며,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의 완만한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안 박사는 “최근 3D측량 기술을 활용해 제주도 천연동굴 지리정보화 작업을 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동굴 진행방향과 길이, 깊이, 전장두께 등의 수치화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 박사는 특히 “동굴에 대한 지질학적 부분 외에 고고학적 분야에서도 관심이 필요하다”며 “특히 동굴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용암동굴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과 종합적인 등급 재부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제주도 차원의 정밀조사를 주문하는 목소리가 많이 나왔다.

김련 동굴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동굴은 그대로 두면 누군가는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관리 규정이 필요하다”며 제주도 차원의 정밀조사 사업을 주문했다.

손인석 제주도 동굴연구소장은 “저희 연구소에서 2003년도에 제주도 동굴분포 158개, 2005년도 178개, 올해 3차로 209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해 발표했다”며 “이것들을 제대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현장을 보고, 거기서 생각하고 기록해야 한다. 동굴의 특징은 다 다르기 때문에 앉아서 얘기해봐야 소용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손 소장 역시 “제주도 지하세계의 GIS 구축을 위해 제주도가 시급히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동굴의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조례 제정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광춘 상지대 교수(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는 “제가 문화재위원을 10년 정도 했는데, 제주의 경우 동굴 관련 민원이 굉장히 많다. 언제까지 개별적으로 접근할 것이냐”며 “늦은감 이 있지만 이제라도 조례 제정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특히 그는 “동굴에 대한 용어 정립부터 필요하다”며 “가령 오늘 토론회 타이틀에 ‘천연동굴’이라는 용어를 썼는데 그렇다면, 인공동굴이라는 말도 쓰느냐”며 “진지동굴도 마찬가지다. 무언가 보존해야 할 가치가 많은 훌륭한 것처럼 오해를 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를 주관한 이승아 의원(오라동)은 이날 ‘제주도 동굴 보존 및 관리에 관한 조례안’을 공개하고, “토론회에서 제기된 각종 의견들을 반영해 조례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