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국제연대포럼, 제주다크투어 등이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스위스 제네바 머물며 제42차 UN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제주4.3의 참상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사진제공-제주4·3희생자유족회]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국제연대포럼, 제주다크투어 등이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스위스 제네바 머물며 제42차 UN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제주4.3의 참상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사진제공-제주4·3희생자유족회]

한국 인권시민사회단체들이 10일부터 닷새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2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제주4·3사건 등 한국 과거사 문제를 국제사회에 알렸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국제연대포럼, 제주다크투어 등은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스위스 제네바 머물며 제42차 UN 인권이사회에 참석했다.

첫날에는 파비안 살비올리(Fabian Salvioli) 유엔 특별보고관의 연례보고서 발표에 이어 백가윤 제주다크투어 대표가 4·3과 한국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를 언급했다.

백 대표는 “1947년부터 1954년까지 대한민국에 위치한 제주도에서는 3만 여명이 학살당했다”며 “미국 정부는 경찰 폭력과 분단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심각하게 탄압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자들은 50년 동안 침묵을 강요받았고 2000년이 돼서야 국가 차원의 조사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됐다”며 “하지만 지난 70년 간 정의도 배상도 회복도 없었다. 피해자들의 배상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특별법이 개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12일에는 ‘한국의 전환기적 정의-제주 4·3과 한국전쟁’, ‘일제강점기 하의 인권침해-위안부와 강제동원’을 주제로 UN회의실에서 토론회가 열였다.

이 자리에서는 안경호 4·9통일평화재단 사무국장과 김종민 전 4·3중앙위원회 전문위원이 ‘진실화해위원회 9년, 한국의 진실과 정의’, ‘초토화 작전과 미국의 책임’을 주제로 발표를 했다.

김 전문위원은 “대부분의 4·3학살은 미군정이 끝나고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 11월부터 약 4개월간 소위 초토화작전 때 일어났지만 대한민국 군대와 경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여전히 미군이 갖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국제연대포럼, 제주다크투어 등이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스위스 제네바 머물며 제42차 UN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제주4.3의 참상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사진제공-제주4·3희생자유족회]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국제연대포럼, 제주다크투어 등이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스위스 제네바 머물며 제42차 UN 인권이사회에 참석해 제주4.3의 참상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사진제공-제주4·3희생자유족회]

이어 “이승만 대통령과 하지 주한미국사령관이 1948년 8월 24일 체결한 한미군사협정에 따르면 대한민국 군대와 경찰에 대한 전면적인 작전상의 통제를 행사하는 권한을 주한미군사령관이 갖고 있었으며 이는 문서상으로만 존재하는 형식적인 조항이 아니었다”고 강조했다.

김 전문위원은 또 “4·3의 학살에 대해서 미국은 결코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며 “미국 정부는 4·3 당시 이뤄진 무분별한 학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하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현장 증언에 나선 김춘보 상임부회장은 “군경 토벌대에게 아버지를 잃은 사람이라면서 소위 폭도자식이라는 말을 늘 의식하며 살아왔다”면서 “8촌끼리 모여 벌초하게 되면 정작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행방불명되는 바람에 무덤이 없어 벌초를 못하게 되니 그리운 마음이 사무치게 된다”고 말했다.

김 상임부회장은 또 “어떤 것으로도 4·3의 피해를 회복할 수는 없지만 4·3이라는 아픈 과거를 덮을 수 없는 만큼 앞으로 그러한 무자비한 비극을 겪지 않으려면 후세대에게 4·3을 잘 가르쳐야 한다”면서 “평화롭고 인권이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어 가자”고 호소했다. 

마지막날인 13일에는 UN본부 앞 광장에서 거리 집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UN본부 앞에서 4·3의 진실규명을 촉구하는 현수막 시위와 함께 4·3을 알리는 영문 소책자와 4·3을 상징하는 동백꽃 배지를 나눠주며 홍보활동을 펼쳤다.

오승익 제주4·3유족회 국제연대포럼 위원장은 “공식발언, 토론회, 집회 등을 통해서 UN인권이사회에서는 처음으로 4·3을 알리는 소중한 계기가 됐다”며 “유족회 차원에서 과거사 관련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국제적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