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차귀도 해상 화재선박 침몰 "생존 가능성 남아"...수온 19~20도 '내일 새벽 4시' 전후가 골든타임

제주 차귀도 해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갈치잡이 어선 대성호. 사진=제주해양경찰서

제주 차귀도 인근 해역에서 선박 화재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해경이 수중수색을 반복하고 있지만 높은 파도로 인해 수색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사고 해역의 수온이 19~20도로 승선원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실종자 수색은 오늘 밤이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제주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5분께 차귀도 서쪽 76km 인근 해상에서 통영선적 연승어선 대성호(29톤, 승선원 12명)에서 불이 난 것을 인근에 있던 어선이 발견해 해경에 신고했다.

조사 결과 해당 어선은 갈치잡이 어선으로, 지난 8일 통영에서 단독 출어에 나섰다. AIS(선박자동식별장치, Auto Identification System)가 작동했던 마지막 시간은 오전 4시 15분께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신고 1시간여만인 오전 8시 15분께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제주청 헬기가 확인한 결과 대성호는 상부에 불이 붙은 채로 떠 있었으며, 인근 해상에 승선원은 보이지 않았다. 

헬기에 탑승한 항공 구조요원이 인근 어선으로 내려 선체 진입을 검토했으나 화염으로 인해 승선은 어려운 상황이었고, 한 시간여 후인 오전 9시20분께 도착한 해경 함정 역시 단정 소화포를 이용해 소화를 실시했으나 화염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상태였다.

결국 오전 9시 40분께 대성호는 화재로 인해 선체가 두 동강 나 전복됐다. 선미 부분은 표류중인 가운데 선수 부분은 침몰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전 10시 21분께는 제주해경청 헬기에 의해 승선원 1명이 발견돼 10시 37분께 인양됐다. 발견 당시 호흡·맥박·의식이 없던 구조자는 심폐소생술을 받으며 제주시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11시 56분께 사망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선원 1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선미만 남은 채 표류하고 있는 대성호(붉은 원 안). 사진=제주해양경찰서
선미만 남은 채 표류하고 있는 대성호(붉은 원 안). 사진=제주해양경찰서

사고 해역에는 해경, 해군, 민간 등이 총동원돼 수색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오후 2시 기준 해경함정 8척, 해군 2척, 관공서 6척, 민간어선 3척, 헬기 11대(해군2, 해경5, 산림청 1, 공군 3) 등이 동원됐으며, 구조대원과 특공대원도 추가 투입됐다.

다만 현지 기상 상태로 인해 수색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해경에 따르면 풍랑주의보가 발효된 사고 현장에는 3m의 높은 파도와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선체 절반이 이미 침몰해 있어 수중 수색도 난항을 겪고 있다.

해경은 세 차례에 걸쳐 선체 진입을 위한 수중작업을 벌였고, 두 차례 선체 내부 수색을 실시했다. 도면상으로는 선미 부분에 승선원들의 침실이 위치해 있지만, 불에 탄 흔적이 심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사고 해역의 수온이 19도에서 20도로 형성돼 있어 승선원의 생존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다. 해경의 해상수색구조 지침에는 수온 20도 이상일 경우 24시간 이상 생존 가능성이 50%라고 명시됐다.

따라서 생존자가 있을 경우 사고 발생시간으로 추정되는 마지막 교신 시간인 오늘 새벽 4시25분으로 부터 24시간이 되는 내일 새벽 4시를 전후한 시간이 이른바 생존자 구조가 가능한 '골든타임'으로 예상된다. 

이에 해경은 사고 해역을 구역별로 나눠 함선과 헬기 등의 수색작업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야간에도 조명탄을 통한 수색이 계속 이뤄진다.

대성호 승선원의 가족들도 속속 제주로 들어와 실종 선원들의 무사 생환을 기원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 등도 이날 오전 어선 사고 소식을 보고 받은 직후 "정부의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고, 행안부 장관과 해수부 장관이 즉각 제주에 도착해 해경, 해군, 지자체 등 관련 기관과 합동구조활동을 지휘하고 있다. 

한편, 해경은 AIS, V-PASS(자동위치발신장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됐는지 여부를 추가 확인하고 있다. 화재 발생 시기와 화재 원인 등에 대한 조사는 수색작업이 완료되는 직후 착수하겠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