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주바이오기업협회 주최, 12일 ‘제주바이오산업 특성화 전략 심포지엄’

12일 오후 3시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제주바이오산업 특성화 전략 심포지엄’이 열렸다.

정부가 기능성 표시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제주 바이오 산업을 위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박성수 제주대학교 교수(식품영양학과)는 12일 오후 3시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열린 ‘제주바이오산업 특성화 전략 심포지엄’에서 ‘일반식품 기능성표시 제도의 현황’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2016년 7882억 달러 수준이던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21년 10조658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 평균 6.22%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이다.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원료 시장도 2015년 153억7700만달러 규모에서 2021년 206억7000만달러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홍삼을 중심으로 2016년 3조5600억원 규모에서 2018년 4조2600억원 규모까지 성장했지만, 미국과 유럽, 일본 등 건강기능식품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다. 선진국의 기능성 표시는 방법과 기준 등은 세분화됐으며, 우리나라보다 표시 기준이 높지 않다.
 
우리나라는 기능성 표시 기준이 높아 세계가 인정한 건강식품 ‘김치’도 일반 식품일 뿐 기능성 표시가 없다.
 
박성수 교수가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 제도의 현황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기능성식품 등 바이오 업계 상당수는 사실상 의약품을 만들어야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다면서 표시 기준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기능성 표시 제도 개선을 추진중인데, 선진국처럼 기능성 표시 기준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
 
박 교수는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에 도움되는 일반식품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합리적인 기능성 표시를 위해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운영중이다. 아직 확정된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은 없지만, 표시 기준이 다소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조언했다.
 
이어 “기능성식품이 아니라 일반식품에도 ‘OO성분이 들어갔다’고 표시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일반식품에 기능성 표시가 가능해진다는 가정 아래 기능의 차별화, 소재의 차별화 등을 제주 바이오 산업계가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주)제주바이오기업협회, (사)제주바이오포럼, (재)제주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사)제주화장품협회, (사)제주화장품인증기업협회, (사)제주식품산업학회,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가 후원했다. 
 
김영선 제주바이오기업협회장이 개회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영선 제주바이오기업협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내년에 일반식품 기능성 표기와 HMR식품의 약진 등으로 식품 시장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대기업 등은 팀을 구성해 대응중이지만, 제주 기업은 준비가 미흡하다. 심포지엄 등을 통해 제주 기업들도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현(더불어민주당, 일도2동 을) 제주도의회 부의장은 “바이오 산업은 다양한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다. 친환경 등 트렌드에 맞춰 제주 바이오 특성화 전략을 찾는 심포지엄이 제주 바이오 산업 발전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축사했다.
 
노희섭 제주도 미래전략국장도 “제주는 1차산업과 3차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했지만, 미래세대를 위해 현재에 안주하면 안된다. 제주의 친환경과 연계된 제조업으로서 바이오 산업의 중요성은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정도 바이오 산업 진흥계획을 수립중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생태계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2일 오후 3시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제주바이오산업 특성화 전략 심포지엄’이 열렸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