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약자를 위해 도입한 저상버스가 정작 정차위치를 지키지 않아 승차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장애인인권포럼 부설 제주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12일 오후 2시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019년 제주지역 장애인 이동권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8월부터 10월까지 장애인 10명이 직접 제주시내 6개, 서귀포시내 9개 노선에서 저상버스에 탑승해 모니터링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전체 50대 중 38대는 승차 가능 지역에 정차했지만 나머지 12대는 승차가 불가능한 지역에 차를 세우거나 정차 위치를 무시했다.

저상버스 도착 시간도 시간표보다 평균 19분 이상 늦었다. 65분이나 늦게 도착하는 버스도 있었다. 50대 중 7대는 정류장에 버스정보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아 운행정보 확인이 어려웠다.

버스운전원의 경사로와 전용 안전벨트 조작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저상버스는 정류장 도착시 경사로를 차량 밖으로 노출시키고 탑승시 휠체어 고정 장치를 해야 한다.

확인 결과 경사로 조작에 능숙한 운전원은 50대중 39대였다. 11대는 조작이 미숙해 탑승시간이 길어지고 승객들의 불편을 초래했다.

안전벨트 및 휠체어 고정도 50대 중 33대에 그쳤다. 17대는 안전장치를 하지 않았다. 조사자가 사유를 묻자 “하지 않아도 된다”고 대답하는 운전원도 있었다.

제주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내 공간과 접근성 확보가 필요하다”며 “정류장의 연속 높이도 15~20cm로 일정하게 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저상버스가 88대로 늘었지만 여전히 보급률이 낮고 인프라도 부족하다”며 “교통약자가 정류장에 대기 중임을 알릴 수 있는 수단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